View : 903 Download: 0

뉴스가치가 경찰의 미디어 명성에 미치는 효과

Title
뉴스가치가 경찰의 미디어 명성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news value on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 Focusing on news value theory
Authors
황선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기업체를 중심으로 명성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업뿐만 아니라 경찰 등 정부조직체는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호의적인 명성을 쌓으려 노력하고 있으며, 그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등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 그동안 기업의 명성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경찰의 명성관련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 학자들의 뉴스가치이론을 중심으로 경찰관련 언론보도 내용을 분석하여 경찰의 미디어 명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 Shoemaker 등의 학자들은 뉴스가치를 크게 일탈성과 사회적 유의미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였다 . 그동안 의 뉴스가치 연구들이 주로 일탈성과 사회적 유의미성의 뉴스가치를 사용하거나 갈등성, 시의성, 인간적 흥미성 등 기타 뉴스가치를 사용한 두 부류로 이루어진 것을 문헌검토를 통해 알 수있었다. 뉴스가치가 경찰의 미디어 명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 한 이 논문에서는 이 두 부류의 뉴스가치를 함께 사용하여 어떤 뉴스가치가 경찰관련 보도내용에서 보다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경찰업무가 특성상 사회의 넓은 영역에 걸 쳐 있기 때문에 다양한 뉴스가치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경찰의 미디어 명성에 영향을 주는 뉴스가치가 세부적으로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논문에서 사용한 뉴스가치는 크게 일탈성, 사회적 유의미성, 저명성, 갈등성, 시의성, 근접성, 인간적 흥미성, 희귀성, 객관성, 탐사성 등 총 10가지이다. 또한 미디어가 보도내용을 얼마나 비중 있게 다루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매체 가시성 과 이슈 현저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10가지의 뉴스가치를 모두 사용하되 일탈성과 사회적 유의미성의 뉴스가치와 저명성 등 기타 뉴스가치 두 가지로 나누어 상관관계 및 위계적 다변인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뉴스가치의 영향력 등을 확인했다 . 이번 연구는 2007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경찰관련 언론보도 기사를 내용분석 하였으며, 분석대상 매체 는 조선, 중앙, 동아일보 등 3개 매체로 총 904건의 기사를 표본 추출하였다 . 연구를 위하여 우선 뉴스가치가 매체 가시성 , 이슈 현저성 , 미디어 명성에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뉴스가치는 매체 가시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뉴스가치 (일탈성, 사회적 유의미성)는 매체 가시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뉴스가치 (저명성, 갈등성, 시의성, 근접성, 인간적 흥미성, 희귀성, 객관성, 탐사성>는 매체 가시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뉴스가치는 이슈 현저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뉴스가치 (일탈성, 사회적 유의미성)는 이슈 현저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뉴스가치 (저명성, 갈등성, 시의성, 근접성, 인간적 흥미성, 희귀성, 객관성, 탐사성>는 이슈 현저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뉴스가치는 미디어 명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1> 뉴스가치 (일탈성, 사회적 유의미성)는 미디어 명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뉴스가치 (저명성, 갈등성, 시의성, 근접성, 인간적 흥미성, 희귀성, 객관성, 탐사성>는 미디어 명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매체 가시성, 이슈 현저성이 미디어 명성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 4. 매체 가시성은 미디어 명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가설 5. 이슈 현저성은 미디어 명성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분석결과 , 먼저 경찰관련 언론보도 내용에서 뉴스가치 값이 높게 나타난 것은 시의성, 객관성, 저명성, 근접성 순이었으며, 인간적 흥미성과 희귀성 등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저명성의 뉴스가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의미성의 세부항목인 문화적 중요성과 공중적 중요성이 정치적 중요성이나 경제적 중요성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뉴스가치의 매체 가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가설 1의 두 가지 항목을 위계적 다변인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가설1-1, 가설 1-2 모두 지지되었다. 그리고 뉴스가치의 이슈 현저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가설 2의 두 가지 항목을 같은 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역시 가설2-1, 가설2-2 모두 지지되었음을 확인했다. 뉴스가치의 미디어 명성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가설3-1, 가설 3-3 역시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매체 가시성, 이슈 현저성과 미디어명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가설4와 가설 5도 모두 지지되었다. 이와 같이 연구를 통해 뉴스가치가 매체 가시성과 이슈 현저성 그리고 미디어 명성 에 영향력 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특히 미디어 명성 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뉴스가치는 정 치적 중요성, 공중적 중요성, 규범적 일탈성, 갈등성 등이었으며 미디어 명성에 긍정적 영향력이 있는 뉴스가치는 근접성과 탐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 주목할 만한 것은 매체 가시성이 미디어 명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슈 현저성은 미디어 명성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로써 경찰 이 미디어의 보도를 받는 것 즉, 매체 가시성을 얻는 것은 전반적으로 경찰의 미디어 명성 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으나 사회적 이슈와 관련되어 경찰이 언론에 부각될 때에는 결과적으로 경찰의 미디어 명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경찰 개인의 일탈이나 비리와 관련된 사건보다는 경찰조직차원의 비리, 갈등문제 등이 언론의 관심을 더 받고 경찰의 미디어 명성에 부정적으로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결과가 지닌 함의점은 경찰에서는 무엇보다 이슈관리의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이다. 이슈관리는 경찰 조직의 위기관리 차원에서도 꼭 신경써야할 것이다. 따라서 경찰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직 내,외부의 이슈가 될 만한 사안들을 사전에 인 지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경찰 조직내부의 갈등문제 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결과 드러난 미디어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뉴스가치의 부정적 효과는 잘 관리해야 할 것이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뉴스가치들은 적극 발굴함으로써 경찰의 미디어 명성을 호의적으로 개선해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The importance of reputation is constantly increasing. In order to survive within the complicated environment and heated competition of modern society, not only corporations but also government bodies such as the police try to acquire and maintain a favorable reputation from their various stakeholder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reputation, there haven’t been any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of police reputation up to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olice force is portrayed in news media and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Content analysis of media coverage on the police was carried out focusing on news values for this study. Shoemaker and her colleagues said that typical news values like conflict, timeliness, interest and so forth may b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deviance (statistical deviance, social change deviance, normative deviance) and social significance (political significance, economic significance, cultural significance, public significance) in their stud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news values appear to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the first being typical news values and the second deviance and social significance.This study applied both categories of news values in order to find which category of news values has more impact on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For this study, ten kinds of news values in total (deviance, social significance, prominence, conflict, timeliness, proximity, human interest, unusualness, objectivity, investigative reporting) were utilized. Also, the concept of media visibility and issue salience were applied. Nine hundred and four news pieces were sampled from the Chosun, Joongang, and Donga daily newspapers and analyzed utilizing the method of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 regression analysis. For this study, several hypotheses were made and after verifying those hypotheses the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news value of prominence seemed to be treated importantly in the media coverage of the police. This implies that when the police event is involved with celebrities like the president or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the police commander tends to get more attention from news media. Second, news values such as political significance, public significance, normative deviance, and conflic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Conversely, news values such as proximity and investigative reporting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Third, the most significant point of this study is that issue salien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edia reputation. Media coverage on the police containing social issues tend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police need to better manage issues in order to obtain a positive reputation in the media. By monitoring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olice and establishing a system which can mediate divisive issues related to inner or outer stakeholders would also improve police reputation. The police should try to encourage news values with positive impact on media reputation and better manage the negative effect that the news values with negative impact have on the media reputation of the pol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