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옥순-
dc.creator김옥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09-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는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자 중 학습장애아가 정신지체아에 이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처럼 학습장애아들이 특수교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아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일선 교육현장의 실정이다. 학습장애아 교육이 질적으로 향상되고 효율적인 운영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장애아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들의 질적 제고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장애아 교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수행능력에 대한 연구, 특히 현장에서 학습장애아를 가르치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학습장애아들을 교육하는데 어떠한 수행능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시내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226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미국 학습장애합동위원회(NJCLD)와 미국 특수아동학회(CEC)에서 제시한 기준을 참조하였으며, 특수교육 전문가와 특수학급 교사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지 않는 부분은 현실에 부합하도록 수정 또는 첨가하고, 연구대상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제시하여 7개 하위영역에서의 총 34문항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독립표본 t 검증, 종속표본 t 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중요하다’ 고 인식하였고, 영역별로는 ‘사회․정서적 기술’, ‘교수’ 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실행도에서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고 인식하였고, 영역별로는 ‘교수’, ‘학급경영’ 영역을 실행이 잘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교직경력, 학력, 학습장애 연수 경험)에 따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의 중요도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배경변인에 따라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의 중요도를 다르게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의 실행도 인식에서는 교직경력과 학습장애 연수경험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교직경력의 경우, 교직경력이 ‘15년 이상’ 인 교사 집단이 ‘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15년 미만’ 인 교사 집단보다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학습장애 관련 연수경험의 경우, ‘5번 이상’ 인 교사 집단이 ‘2번 이하’ 인 교사 집단보다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의 차이는 .01 유의도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행도가 중요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는 교직경력과 학습장애 관련 연수경험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교직경력의 경우, ‘15년 이상’ 의 교사 집단이 ‘5년 미만’ 인 교사 집단과 ‘10년 이상~15년 미만’ 인 교사 집단보다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의 차이가 작아 실행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장애 관련 연수경험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 간 인식 차이에서도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대체로 높았으며, 교사 배경변인별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실행도 인식은 중요도 인식에 비해 낮았고, 교사 배경변인별로는 교직경력과 학습장애 관련 연수경험에서만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 비교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실행도가 중요도보다 낮았으며, 배경변인별로는 교직경력과 학습장애 관련 연수경험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교직경력이 많고, 비교적 관련 연수를 많이 받은 교사들이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에 차이가 작아 실행이 잘 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학습장애아 교육 교사들의 교수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수행능력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만들고,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영역에 대해서는 현직교육 강화나 교수수행능력 평가도구 개발 등의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In Korea, despit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in special education, their educational needs do not seem to be met sufficiently partly because of their teachers' poor understanding of LD. In order to provide these students with quality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qualifications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Nevertheles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the teachers for the students with 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mpetencies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important for their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LD and to what extent they practice the competencies, and test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importance or practice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perceived by teachers. For this purpose, 226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were selected in Seoul,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s suggested by NJCLD and CEC.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tilizing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hoc comparis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mpetencies for education of students with LD were important, and answered that they were practicing parts of such competencies. Second,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he length of teaching career,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n LD,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 of pract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ength of teaching career and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n LD; however,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their academic background. Fourth, in the comparison of important competencies with those in pract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perceived by teachers. That is, most of the teachers were practicing competencies less than they perceive important, especially in the length of teaching career and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n LD. In conclusion, in the light of that the teachers with more teaching career and training experiences on LD were practicing what they perceived important in the competencies,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ers with appropriate standards for the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D, while strengthening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developing more effective tools for competency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습장애에 관한 개관 = 7 1. 정의 = 7 2. 특성 = 9 B.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수행능력 = 10 1. 교수수행능력의 중요성 = 10 2. 교수수행능력의 구성 = 12 C. 학습장애교육 교사의 교수수행능력 구성 = 17 D. 선행연구 = 21 1.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교수수행능력 인식 = 21 2.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도구 = 27 C. 연구절차 = 30 D. 자료처리 = 31 Ⅳ. 연구결과 = 32 A.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 32 B.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 = 38 C.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실행도 인식 차이 = 40 D.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 인식 차이 = 46 Ⅴ. 논의 및 제언 = 52 A. 논의 = 52 B. 제한점 = 57 C. 제언 = 58 참고문헌 = 60 부록 = 66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8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s on their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Ok Soon-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