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주-
dc.creator김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2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isual support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and to improve on-task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ed. Three developmental delayed preschool children showing high level of off task behaviors and low level of on task behaviors participated for the study. Before the visual supported self monitoring intervention, specially they were having troubled with transition, and paying attention to their teachers or mothers. The children were trained to learn how to monitor themselves utilizing visual supported self-monitorig books and self-recording papers. Maintenance was implemented 3times in 8 weeks after fading the interventio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nd the frequency of preschooler's on task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as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 support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s for all three children. Second, the visual support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resulted in improving on task behaviors for all three children. Third,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the on-task behaviors were maintained.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overall,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ed, the visual support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on-task behavior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without other person’s monitoring.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monitoring intervention using the photographs of the children was eas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ff-task and on-task behaviors and that it increased independent transition behaviors;취학전 발달지체 아동들이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규칙을 지키고 적절한 수준의 참여행동을 유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발달과제이다. 취학전 발달지체 아동들의 활동참여를 어렵게 만드는 문제행동들을 간과할 경우 입학 이후에는 학습 및 학교 규칙 지키기와 맞물려 적응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정이나 유치원에서 지켜야할 기본적인 규칙을 알고 따르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지체 혹은 장애아동들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는 이들이 부닥칠 학령기의 문제들을 예방해 줌과 동시에 가정에서의 양육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을 높이기 위한 연구물들은 매우 다양한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 자기점검법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중재전략이라 할 수 있다. 자기점검법은 보호자나 교사 의존적인 발달지체 유아에게 의존성을 줄여주어 독립적인 수행을 하도록 지원해 주는 방법이다. 또한 실행상의 단순성과 적용의 용이성으로 인해 특수교사가 아닌 일반교사가 통합 교육상황에서, 혹은 가정에서 부모에 의해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중재라 할 수 있다. 자기점검법은 다양한 장애 영역의 아동들에게 문제행동 감소나 참여행동 및 과제수행행동의 증진뿐만 아니라 학업적 성취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취학전 발달지체 아동들의 문제행동중재를 위한 국내의 자기점검법 선행연구는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는 자기점검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청각적 단서와 문서기록 방식이 취학전 발달지체 아동들에게는 연령적으로나 인지적으로 부적합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발달지체 아동의 문제행동은 자연적 성숙에 의해 사라지지 않으며 적극적인 중재가 요구되는 교육적 과제인 만큼 교사나 양육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중재인 자기점검법을 취학전 아동에게 맞게 보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학전 발달지체 아동의 문제행동감소와 과제수행행동의 증가를 위해 아동 자신의 사진과 그림을 자기점검과 평가에 이용하는 시각적 자기점검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의 종합병원 내 발달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발달지체 유아들 중 활동간의 전이가 힘들고 정리하기, 교사의 설명 듣고 과제수행하기 등의 기본적인 규칙 지키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들로 보호자와의 면담을 거쳐 선정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병원의 특수교실에서 주 2-3회 40분의 교육 회기 중 기초선, 관찰과 중재, 유지를 실시하였다. 놀잇감 정리하기 및 과제수행으로의 전이를 위해 기초선 기간 동안에는 평소와 같이 반복지시하기, 기다려주기, 정리 박수치기 등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아동자신의 문제행동 캡쳐 사진과 그림자료를 가지고 목표행동변별과 평가 기록하기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이 끝난 후에는 훈련기간에 사용한 사진으로 만든 자기점검책을 가지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점검을 하며 문제행동의 감소가 안정된 후 성인의 언어적 촉진을 소거하였다. 자기평가는 평가지의 목표행동 사진에 동그라미를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발달지체 아동 모두 시각적 지원을 이용한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세 명의 발달지체 아동 모두 시각적 지원을 이용한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였다. 셋째, 세 명의 발달지체 아동 모두 시각적 지원을 이용한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문제행동 감소와 과제 수행행동의 증가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시각적 지원을 이용한 자기점검법은 발달지체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다. 캡쳐 사진을 사용한 문제행동과 과제수행행동의 대비적 제시는 발달지체 유아들로 하여금 자기점검의 목표행동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하며 자기점검법 실행을 위한 강한 동기적 요소가 되었다. 특히 본 연구 후 부모보고 및 가정에서의 아동행동에 대한 관찰결과에 의하면 아동들은 가정에서도 독립적으로 놀잇감을 정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양육자와 함께하는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였다는 사실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자기점검법의 개념과 최근동향 = 8 B. 문제행동과 자기점검법의 적용 = 11 1. 자기자극행동의 감소 = 11 2. 일상적 과제수행에서의 문제행동 감소 = 12 C. 과제수행 행동 및 참여행동의 증가 = 14 D. 발달지체 아동을 위한 자기점검법 = 17 E. 시각적 지원과 문제행동 = 19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참여자 = 23 B. 실험기간 = 26 C. 실험환경 = 26 D. 실험도구 = 27 E. 실험설계 및 절차 = 27 F. 관찰 및 측정 = 34 G. 관찰자간 신뢰도 = 37 Ⅳ. 연구 결과 = 39 A.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39 B. 과제수행행동 증가에 미치는 영향 = 41 Ⅴ. 논의 및 제언 = 45 A. 논의 = 45 B. 제한점 = 52 C. 제언 = 53 참고문헌 = 54 부록 = 65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9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시각적 지원을 이용한 자기점검법이 발달지체 아동의 문제행동과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Visual support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on-task behaviors-
dc.creator.othernameKim, Eun-Joo-
dc.format.pagev,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