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윤경-
dc.creator나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18-
dc.description.abstract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based 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conduct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n=38) and a control group (n=40) sampled at random from the families of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2 to May 20, 2008. The experiment protocol was to measure state anxiet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needs in operation patients’families by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operation using Internet short message service directly from the room where the operation was being performe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usual nursing services on the situation of opera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operation using Internet short message service. Satisfaction of nursing needs was measured with the questionnaire on the needs of operation patients’families developed by Carmody et al. (1991) and translated by Park Jeong?eun (2002), and anxiety was measured with the state anxiety scale developed by Spielberger (1972) and translated by Kim Jeong?taek and Shin Dong?gyun (197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The subjects’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tested through x²-test and t?test,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was tested through Cronbach’s a,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t-test. Results: 1) Hypothesis 1 “Satisfaction of nursing needs will b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short messages on the progress of operation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such information” was accepted (t=?6.294, p=.000). 2) Hypothesis 2 “The score of state anxiety will b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short messages on the progress of operation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such information”was accepted (t=6.044 , p=.000). 3) Hypothesis 3 “Blood pressure and pulse will be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short messages on the progress of operation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such information” was rejected (systolic blood pressure t=?.818, p=.416, diastolic blood pressure t=-.361, p=.178, pulse t=1.187, p=.239) Conclusion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operation using short message servi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lood pressure and pulse of the patients’families, bu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their state anxiety and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of nursing needs.;본 연구는 수술환자가족을 대상으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수술진행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와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수술환자가족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수술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8년 4월 22일부터 5월 20일까지 약 1개월간 서울 소재 대학병원 수술실에서 수술을 받은 전신마취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실험군 38명, 대조군 40명을 임의표출하였다. 수술정보제공은 홍희정과 이명애(2000)가 조사한 내용을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후 인터넷의 문자정보제공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술진행정보를 환자가족에게 제공하였다. 연구도구로서 간호요구만족도는 Carmody 등(1991)의 수술환자가족요구도 문항을 박정은(2002)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태불안은 Spielberger(1972)의 도구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상태불안 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양군간의 동질성 검증은 -test, t-test,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한 가설검증은 t-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술 진행상황에 대한 SMS를 받은 실험군이 정보제공을 받지 못한 대조군에 비해 간호요구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6.294, p=.000). 수술 후 간호요구만족도 점수는 실험군이 57.08점, 대조군이 47.5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수술 진행상황에 대한 SMS를 받은 실험군이 정보제공을 받지 못한 대조군에 비해 상태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t=6.044, p=.000). 수술 후 상태불안 점수는 실험군 38.53점, 대조군 50.0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술 진행상황에 대한 SMS를 받은 실험군이 정보제공을 받지 못한 대조군에 비해 혈압과 맥박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수축기혈압 t=-.818, p=.416, 이완기혈압 t=-.361, p=.178, 맥박 t=1.187, p=.239). 이상의 결과에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수술진행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혈압과 맥박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간호요구만족도를 높이고 상태불안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의 수술진행정보제공방법은 추후 수술간호중재에 적합한 구체적인 프로토콜 및 실무지침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4 C. 연구 가설 = 4 D. 용어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A. 수술환자 가족을 위한 정보제공 = 7 B.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 = 10 C. 수술환자 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 = 12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설계 = 15 B. 연구대상자 = 15 C. 자료수집 방법 = 16 D. 연구도구 = 20 E. 자료 분석 방법 = 21 F. 윤리적 고려 = 21 G. 연구의 제한점 = 2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3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3 B. 가설검증 = 26 V. 결론 및 제언 = 32 A. 결론 = 32 B. 제언 = 34 참고문헌 = 35 부록 = 42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6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SMS를 이용한 수술환자 진행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와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Operation Patients Using Short Message Service on Satisfaction of Nursing Needs and State Anxiety in the Patients' Families-
dc.creator.othernameNa, Yun Kyoung-
dc.format.pagevii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