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윤진-
dc.creator신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29-
dc.description.abstractOsteoporosis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as growth of old age population. The achievement of maximal peak bone mass in early lif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Bone mineral density(BMD) is affected by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nutritional factors are also considered to be of particular importance to BM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affecting BMD, including age, weight, height, hematology data, lifestyle, dietary habits, daily nutrient intake, and osteoporosis knowledge of young aged women. We enrolled 112 healthy women aged 20-39y from December 2006 to December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to assess the daily food intake of the upper 50%(HI:high intake) and the lower 50%(LI:low intake). The mean BMD of lumbar spine were 1.00 ± 0.10g/cm2 in HI, 0.95 ± 0.10g/cm2 in LI, BMD level of H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I. The mean daily intake of energy were 1964.4±383.7kcal in HI, 01458.3±329.1kcal in LI, energy intake amount of H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trient intake of HI and LI except for the intakes of retinol. HI had significantly greater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than LI. Regular exercise,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nutrient supplement, and weight control experienc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 and L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height, weight, bmi, and waist circumstance of HI and LI .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BM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nergy, protein, animal protein, animal fat, carbohydrate, fiber, calcium, plant calcium, phosphorus, iron, plant iron, animal iron, sodium, potassium, zinc, vitamin A, carotene, vitamin B6, niacin, folate, and vitamin E. Drinking alcohol and coffe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MD. The frequency of milk, milk products, and vegetab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MD. Therefore, in this study confirmed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maximize bone mineral density in young aged women is to maintain an adequate body weight and have a balanced diet.;본 연구는 2006년 1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20-39세 건강한 여성 112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자료, 혈액검사자료, 생활습관, 식습관, 영양소 섭취, 골다공증 관련 지식 정도를 조사하여 요추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체 대상자들은 평소 식사량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1일 평균 식품섭취량을 기준으로 섭취량의 상위 50%의 고섭취군과 섭취량 하위 50%의 저섭취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고섭취군의 평균 골밀도는 1.00±0.10g/cm2으로 나타난 반면 저섭취군의 평균 골밀도는 0.95±0.10g/cm2으로 고섭취군의 골밀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섭취군의 1일 평균 열량섭취량은 1964.4±383.7kcal이었으며 저섭취군은 1458.3±329.1kcal로 고섭취군의 열량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레티놀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 섭취량에서 고섭취군이 저섭취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식품 섭취 경향은 고섭취군이 저섭취군에 비하여 우유 및 유제품을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습관 중에서 규칙적인 운동, 음주, 흡연, 활동량, 영양 보충제 복용, 체중 조절 경험 등은 고섭취군과 저섭취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골다공증 지식 점수는 고섭취군과 저섭취군 사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나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에서도 두 그룹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방,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식물성 칼슘, 인, 동물성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A, 카로틴, 비타민C,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E가 골밀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식품섭취에 있어서는 우유 및 유제품과 야채의 섭취가 많을수록 골밀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던 반면, 커피의 섭취가 많을수록 골밀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을 조사한 결과 음주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골밀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최대골량형성기에 있는 여성들이 체중미달 및 불균형한 영양 상태 등으로 인하여 골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칼슘, 단백질, 인 등의 영양소 섭취와 우유 및 유제품, 야채, 커피 등의 섭취와 음주 등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6 A. 연구대상 = 6 B. 일반사항 및 식이섭취조사 = 8 C. 신체계측 및 혈액검사 = 9 D. 골밀도 측정 = 10 E.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 11 Ⅲ. 연구 결과 = 12 A. 일반사항 = 12 1. 일반적 특성 = 12 2. 신체계측 = 14 3. 생활습관 = 15 B. 혈액검사 = 17 1. 혈청화학검사 = 17 2. 일반혈액검사 = 18 C. 골밀도 = 19 D. 영양섭취상태 = 20 1. 식품섭취 = 20 2. 영양소섭취량 = 22 3. 식습관 = 25 E. 골다공증지식 상태 = 26 F.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 1. 나이, 신체계측치와 골밀도 = 28 2. 혈액검사치와 골밀도 = 29 3. 생활습관과 골밀도 = 30 4. 식습관과 골밀도 = 32 5. 식품섭취와 골밀도 = 33 6. 영양소섭취와 골밀도 = 35 7. 골다공증지식과 골밀도 = 37 G.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상관관계 = 38 Ⅳ. 고찰 = 40 Ⅴ. 요약 및 결론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58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43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가임기 여성에서 영양 상태와 골밀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bearing period woman-
dc.creator.othernameShin, Yoon Jin-
dc.format.pagev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