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수연-
dc.creator박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08-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communication competence is regarded as the goal to be pursued by English learn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vocabulary learning is crucial and many researches suggest that the most frequent 2000 words should be acquired first because 80% of daily conversation is composed of these words. Therefore,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acquire those words as quickly and efficiently as possible. There are two ways to learn vocabulary. The one is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the other is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is teaching vocabulary in a direct manner and students can focus just on vocabulary.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is to let students acquire vocabulary naturally while they are exposed to a target language. However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has its limitations especially in EFL settings because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in their daily lives. Also, many researchers say that EFL students should be taught vocabulary explicitly until they reach a certain proficiency level. In this research, I compared the effects of using keyword method and sentence writing method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vocabulary. In the keyword method, students use mental images in memorizing new words whereas in the sentence writing method, they write sentences which are meaningful to themselves.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better new words are processed internally, the better students learn those words. In this case, semantic elaboration is the deepest processing students can do. First, it was noted, if there were any interactions between the level of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the type of activities or not. Second, the effects of those activities were examined three times: immediate, delayed, and through the long term test. Third, the effects of those activities were also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vocabulary. Lastly,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two activities were surveyed through the questionaires. For this research,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same vocabulary ability were chosen to learn 48words for 8 periods. During the first 4 periods, group A learned new words through the keyword method whereas group B learned through the sentence writing method; for the last 4 periods, their activities were changed so that every student was allowed to experience those two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the short-term tes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udents. In the cued-recall test and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keyword method group and the sentence writing method group. Also, in nouns, adjectives, and verb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in the retention test,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udents. However, in the cued-recall test for low level students, the keyword method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sentence writing method group. And in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the keyword method group also did better than the other group. Furthermore, in learning verbs, the keyword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sentence writing method. Third, in the long term test,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udents,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tivity groups. So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vocabulary also showed little difference. Fourth, as for the attitudes towards the activities, students liked both the keyword method and the sentence writing method in that keyword method was effective in memorizing words and sentence writing method was interesting. However, they also said that the keyword method was confusing and the sentence writing method was not effective in memorizing new words. In conclusion, the keyword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entence writing method in delayed cued-recall test for low level students. The result was the same in delayed sentence-completion test for the both group combined. Also, the keyword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entence writing method in the retention of verbs. Therefore, it might be helpful to develop various kinds of activities for specified vocabulary competences and for the various types of vocabulary.;교육부가 제시한 제 7차 중학교 교육과정 중 외국어과 교육과정(1)에 따르면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목표는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있다.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그리고 적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휘 능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Coady & Huckin 1997). Schmitt(2000)는 어휘 능력을 기르고 싶어 하는 영어 학습자들은 우선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2,000 단어를 습득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 단어들이 우리가 접하는 영어의 약 80%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 기본 2,000 단어를 습득하기까지는 명시적 어휘 학습이 효과적이고 그 이후로는 암시적 어휘 학습이 가능하여 하였다. 이는 중학생의 어휘 학습에 교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Pavio의 이중부호화 이론(Clark & Pavio, 1991; Pavio, 1991)에 의하면 새로운 정보는 두 개의 통로를 통해 처리되는데 하나는 언어정보를 다루고 다른 하나는 시각정보를 다룬다. 이 둘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므로 동시에 활성화시키면 기억이 촉진된다. 시각적 정보인 심상(mental image)과 언어적 정보인 어휘의 뜻을 모두 제공하는 핵심어 기법(keyword method)은 이 이론에 근거한다. 정보 처리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인 처리수준 이론(level of processing theory)에 의하면 정보를 의미 있게 처리하는 것은 정보를 더 깊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정보의 처리가 깊을수록 장기기억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커진다. 새로운 어휘를 학습할 때 자신과 관련된 문장을 만들어 보는 문장만들기 기법(sentence writing method)은 새로운 어휘를 깊게 처리하게 함으로써 학습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들에 근거한 핵심어 기법과 문장만들기 기법이 학습자의 수준, 품사의 종류에 따라 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았다. 실험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두 집단이었으며 총 8차시동안 48개의 어휘를 학습시켰다. 처음 1-4차시동안 한 그룹에게는 핵심어 기법을 다른 한 그룹에게는 문장만들기 기법을 실시했고, 5-8차시동안에는 활동 유형을 바꾸어 실시함으로써 학생들 모두가 두 가지 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어휘 기억 측정을 위해서는 매 실험 직후, 실험 종료 2주와 6주 후에 각각 단서회상 평가(cued-recall test)와 문장 내 어휘활용 평가(sentence completio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학습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이 어휘학습에 미친 단기효과를 살펴본 결과,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 사이에 상호작용은 없었다. 수준별 어휘학습의 단기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단서회상 평가와 문장 내 어휘활용 평가에서도 두 집단의 점수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두 학습 활동에 의한 어휘학습의 단기효과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어휘의 품사에 따른 두 활동의 단기효과에서도 역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어휘학습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이 어휘학습에 미친 지연효과를 살펴본 결과, 단기효과와 마찬가지로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 사이에 상호작용은 없었다. 수준별 지연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단서회상 평가에서 상위집단에서는 두 활동에 의한 점수 차이가 유의미 하지 않았으나 하위집단에서는 핵심어 기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문장만들기 기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하위집단의 단서회상 능력(지연효과)에 핵심어 기법이 문장만들기 기법보다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문장 내 어휘활용 평가에서도 수준 별 두 집단의 점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수준에 상관없이 활동 집단 전체의 점수를 비교했을 때 핵심어 기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문장만들기 기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서 핵심어 기법이 문장만들기 기법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품사 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동사의 단서회상평가에서 핵심어 기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문장만들기 기법을 사용한 집단의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동사의 단서회상 능력(지연효과)에 핵심어 기법이 문장만들기 기법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어휘학습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이 어휘학습에 미친 장기효과를 살펴본 결과,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 사이에 상호작용이 없었다. 상, 하위 수준에 따른 활동 유형 별 점수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핵심어 기법과 문장만들기 기법이 어휘학습에 미치는 장기효과는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품사 별 두 활동이 어휘학습에 미친 장기효과에도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품사에 따른 두 활동의 장기효과는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 어휘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는데 어휘학습에는 핵심어 기법이 문장만들기 기법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장만들기 기법은 활동 자체가 즐겁고 또한 영어 실력에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므로 핵심어 기법과 비슷한 정도의 호감을 얻었다. 그러나 핵심어 기법의 경우 의미가 헷갈리고 문장만들기 기법의 경우 단어가 잘 외워지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어휘학습에 있어서 핵심어 기법과 문장만들기 기법의 단기효과는 비슷하나 지연효과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하위 집단의 단서회상 능력(지연효과)에는 핵심어 기법이 문장만들기 기법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전체 집단의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있어서도 역시 핵심어 기법이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품사 별로 보았을 때, 동사의 단서회상 능력(지연효과)에서도 핵심어 기법이 우월했다. 그러나 어휘학습의 장기효과에서는 두 활동 간 차이가 없었다. 이는 문장만들기 기법에 대한 핵심어 기법의 우월성이 장기적으로 지속되기는 어려웠음을 나타내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어휘 학습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효과적인 어휘학습 활동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 효과가 지속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어휘 교수 및 학습의 필요성 = 4 B. 어휘학습 이론 = 6 1. 이중부호화 이론 = 6 2. 처리수준 이론 = 10 C. 어휘 교수 및 학습 활동 = 12 1. 핵심어 기법과 어휘학습 = 12 2. 문장만들기와 어휘 학습 = 16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질문 = 19 B. 연구 대상 = 20 C. 연구 자료 = 20 D. 연구 절차 = 24 E. 연구의 제한점 = 3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1 A. 어휘학습 활동유형과 학습자 수준이 어휘학습에 미치는 단기효과 = 31 1. 단서회상 능력에 미치는 단기효과 = 31 2. 단기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3 3. 품사에 두 활동이 어휘의 단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 34 가. 단서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4 나.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5 B. 어휘학습 활동유형과 학습자수준이 어휘의 지연 학습에 미치는 영향 = 37 1. 단서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7 2.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8 3. 품사에 따라 두 활동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 40 가. 단서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0 나.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2 C. 어휘학습 활동유형과 학습자수준이 어휘의 장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3 1. 단서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3 2.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5 3. 품사에 따라 장기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 46 가. 단서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6 나. 문장 내 어휘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7 D. 핵심어 기법과 문장만들기 기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 48 Ⅴ.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5 부록 = 60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11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어휘 학습활동 유형이 중학교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핵심어 기법과 문장만들기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Different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Park, Soo Yeon-
dc.format.pagex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