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마해영-
dc.creator마해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48-
dc.description.abstract경제문제들이 사회문제화 되면서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논의가 경제교육이 학습자의 경제적 지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경제교육의 목표는 경제지식의 함양이 아닌 학습자의 합리적 경제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것임에도 학습자의 합리적 선택과 관련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이 합리적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그러나 경제교육의 효과를 논의함에 있어 학교 경제교육 외의 가정이나 학교 외에서 얻게 되는 경제적 소양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경제이해도 테스트를 통해 조사자의 경제적 지식 정도를 확인하고자 했다. 경제적 합리성은 개인적 합리성과 사회적 합리성으로 나뉜다. 따라서 합리적 선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험경제학을 활용하였다.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실험을 통해 실제 경제생활 과정에서 개인적 합리적 선택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 공공재 실험을 통해 무임승차가 아닌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경제행위를 하는지 살펴보았다. 개인의 합리성과 관련하여 경제이해도 점수와 개인의 합리성을 측정하는 문항과의 회귀분석결과 경제이해도 점수가 높을수록 개인적 합리성이 높다는 가설을 입증 되었다. 사회적 합리성과 관련하여 경제이해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합리성을 나타내는 무임승차 회피지수가 낮지만 그 정도가 아주 미미하여 통계 분석 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As problems regarding economic activity become social problem, interest and controversy about an economic education increase. Most of the controversy about the economic education is the operation of economic education on economic knowledge development of a learner. However, as though a goal of the economic education is not the economic knowledge development of the learner but the rational economic activity of the learner,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about a rational selection of the learner.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influence of the economic education on the rational selection of the learner. In the present study, economic literacy of pollee is measured through economic understanding test because economic knowledge obtained by other activity not happening in economic education such as home economics and school economics. The economic rationality is divided into personal rationality and social rationality. In the present study, an experiment economics is used to decide whether the pollee make a rational selection. In more detail, the possibility of personal rationality in real economic activity is researched through experiment about opportunity cost and sunk cost, and it is reviewed whether economic activity is realized to make social utility great through experiment about public good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the score in the economic understanding test and the score of item measuring personal rationality, it is known that the higher the score in the economic understanding test is, the higher the personal rationality is. However, the link between the score and the social rationality is very low as though the higher the score in the economic understanding test is, the more the social utility is. Accordingly, there is not meaning result in a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 social ration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4 Ⅱ. 선행연구 고찰 = 7 1. 경제교육 = 7 2. 경제지식과 태도의 관계 = 10 Ⅲ. 이론적 배경 = 13 1. 경제교육 내용 = 13 2. 경제이해력 테스트 = 15 3. 합리적 선택 = 16 Ⅳ. 조사결과 분석 = 21 1. 경제이해도 테스트와 합리성 경제실험 결과 = 21 2. 경제이해도 점수 및 각 변인이 경제적 합리성에 미치는 영향 = 39 Ⅴ. 결론 및 논의 = 51 참고문헌 = 55 부록 = 58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생들의 경제이해 정도가 합리적 경제행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경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economic knowledge of students on rational economic activity : centered on an economic education in a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Ma, Haeyoung-
dc.format.pagevi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