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유정-
dc.creator장유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이 아동의 친구관계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아동의 자아 존중감 수준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가 다른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중에서 한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자기표현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시행하였으며, 교사의 재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시간과 특별활동시간 중 적응영역시간을 활용해 주 2회, 5주 동안 총 10회기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Rakos와 Schroeder(1980)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만든 ‘주장훈련 프로그램’, 홍경자(1988)의 ‘자기표현 및 주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김미경(2005)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 이낙숙(2006)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 임미경(2006)의 ‘자기표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측정도구는 Rosenberg(1965)의 척도를 김문주(1988)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와 이은해와 고윤주(1999)의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서 실험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사전검사를 하고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실시 시간동안 자기표현훈련과 관계없는 활동을 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친구관계 질 사전 검사 시에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에 따른 친구관계 질의 차이, 자아존중감과 훈련효과 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양적검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로 아동들의 소감문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프로그램은 아동의 친구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아동들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 집단 아동들보다 친구관계 질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친구관계 질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친구관계 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친구관계 질의 사후검사 결과에 따르면 집단과 자아존중감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기표현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친구관계 질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아동의 활동지 및 소감문 등 회기 과정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들의 친구관계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expression training on children's quality of friendship and to examine whether the training effect was moderated by students' self-esteem level. To test the effects of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a class of 30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a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class of 30 students was designa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40-minute training program twice a week for 5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involved in activities unrelated with the self-expression training.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a complemented and restructured version that was based on the "assertion training program" by Byeon and Kim(1980) which was a Korean version of Rakos and Schroeder's self-expression program adapted by Hong(1988),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by Kim(2005),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by Lee(2006), and the "self-express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y Lim(2006).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were the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1965) translated by Kim(1988), and the friendship quality scale for school children by Lee and Ko(1999).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ok pretest and post tests consisted of self-esteem and friendship quality scales in between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o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a quantitative study, a qualitative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children's opinion during each training ses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friendship quality, in that the friendship quality of experimental group made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ose who had higher self-esteem showed higher friendship quality than those with lower self-esteem in both group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raining and self-esteem on the friendship quality. Forth, children's opinions on the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friendship quality.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lication of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in the classroom sett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가설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기표현 = 4 B. 친구관계 질 = 10 C. 자아존중감(self-esteem) = 14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대상 = 15 B. 연구절차 = 15 C.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 = 16 D. 측정도구 = 20 1. 자아존중감 검사 = 20 2. 친구관계 질 검사 = 20 E. 자료 분석 = 21 Ⅳ. 연구결과 = 22 A. 친구관계 질 검사 점수 분석 = 22 B.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의 소감문 내용 및 분석 = 24 Ⅴ. 논의 = 32 A. 결과 요약 및 논의 = 32 B. 제언 = 33 참고문헌 = 35 부록 = 38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01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구관계 질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iendship Quality-
dc.creator.othernameJang, Yu Jung-
dc.format.pagei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