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중학교 미술교사의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실태

Title
중학교 미술교사의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실태
Other Titles
The Stages of Concern about and the Actual State of Practicing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Fine Art Teachers
Authors
박소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영상정보화 사회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미디어의 시각 언어에 기초한 시각적 해독력 교육은 교사의 교육 혁신적 시도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시각적 해독력 교육이 부각되는 시대적 배경과 교육의 의미, 그리고 필요성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실제 현직 미술교사가 시각적 해독력 교육을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교육에 대한 지원방안을 도출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교사의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BAM)을 토대로 현직 중학교 미술교사의 시각적 해독력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도, 실행수준 및 실행형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다. 또한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 이 세 가지가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교사의 관심과 실천적 교육실행의 관계를 파악하여 결과적으로 교사들이 시각적 해독력 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지원방안의 모색과 교수활동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한 관심도, 실행수준 및 실행형태를 조사하기 위해 2008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직 중인 남. 여 미술교사 15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고, 조사대상자는 성별, 학력별, 경력별, 학교유형별, 전공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배부한 150부 중에 최종적으로 125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어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검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이 사용되었다. 모든 통계 분석시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한 미술교사들의 관심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전반적인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대체적으로 무관심이며 그 다음으로 정보적 관심, 운영적 관심 순으로 밝혀졌다. 교사들의 개인별 관심도 결과도 전체 미술교사의 46.4%인 58명이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해 지각적 관심(무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1단계 수준인 정보적 관심에 28.8%(36명)로 관심을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 3단계인 운영적 관심이 14.4%(18명), 6단계 수준인 강화적 관심이 9.6%(1명)로 나타났으며, 2, 4, 5단계는 0.8%, 0.0%, 0.0%로 극히 미비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미술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 분석결과는 성별의 차이에 따른 변인을 제외한 최종학력, 교직경력, 학교형태, 전공과 같은 변인은 대체적으로 미술교사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사들의 시각적 해독력 교육의 실행수준을 살펴 본 결과, 대부분의 미술교사들이 기계적 실행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탐색 실행수준과 준비 실행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일상화 실행수준과 갱신의 실행수준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사들의 시각적 해독력 교육의 실행형태를 살펴본 결과, 교수 학습방법에서만 이상적 실행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계획의 설정, 교육계획의 수립, 교육계획의 동기, 교육의 통합적 접근, 교육의 평가영역, 교육의 평가방법 등에서는 대체적으로 교사들이 수용할 만한 실행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계획안의 작성과 실행은 수용할 수 없는 실행형태로 나타났으며, 교수 학습내용에서는 수용할 만한 실행형태와 수용할 수 없는 실행형태가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각 구성요소를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평가의 세 측면에서 살펴보면, ‘편성’에서는 수용할 만한 실행형태의 모습을 나타내었고, ‘운영’에서는 수용할 만한 실행형태와 수용할 수 없는 실행형태가 병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영역에서는 수용할 만한 실행형태의 모습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한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관심도와 실행수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심도에 따라 실행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관심단계가 높아질수록 실행수준이 점차 높아진다고는 할 수 없으나, 3, 6단계에서 관심을 나타내는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실행수준이 높은 단계에서 안정됨을 알 수 있다. 둘째, 관심도와 실행형태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심단계가 낮은 교사의 경우 대체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실행형태에 가깝고, 관심단계가 높아지면 이상적인 실행형태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행형태와 실행수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행수준에 따라 실행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행수준별 실행형태의 평균을 살펴본 결과 실행수준이 낮은 수준에 있는 경우 실행형태의 평균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실행수준이 낮은 교사는 교육의 실행형태가 이상적 실행형태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시각적 해독력 교육 실행에 대한 기타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보면 교육의 주제로 교사의 58.4%가 ‘만화/애니메이션’을 주 교육내용물로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교육내용물로는 ‘사진/그림(신문, 잡지)’, ‘광고(TV, 잡지)’, ‘인터넷’, ‘영화’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의 목표는 각 문항에 비슷한 비율로 응답함으로써 시각적 인지능력, 적절한 활용능력, 창의적 제작능력 각각의 목표에 비중을 두고 있거나, 세 가지 능력 모두 비중을 두고 교육하는 경우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교육의 어려움으로는 대체적으로 ‘적절한 교육방법의 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수 참여 의사에 관한 문항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 하겠다 또는 상황적 여유가 되면 참여 하겠다’가 전부로, 참여할 의사가 없다는 응답은 나타나지 않았다. 필요한 연수교육 내용으로는 ‘구체적인 교육사례’, ‘다양한 미디어의 실제 제작기술’ 등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의 환경에서는 교육실행을 지원하는 시설설비 확보 및 기자재, 참고자료의 보유정도에 대해서 대다수 교사가 ‘아주 부족하다’, 또는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시각적 해독력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서 전체의 85.6%가 미술과 미디어의 통합적 교육으로써 ‘시각적 해독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한 미술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고, 실행수준과 실행형태는 비교적 수용할 만한 수준에 근접하거나 바람직한 수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교사가 시각적 해독력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의 필요성에 따른 변화나 개선에 참여하고 개인 또는 집단에 부응하는 구체적인 지원책들을 제공하는 변화지원자는, 시각적 해독력 교육을 제대로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세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교사들에게 꼭 필요하고 적절한 변화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In fine art education in the age of visual communication,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visual language of new media can be implemented by teachers' innovative attempts in terms of educational practices. As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ical background where emphasis is placed on visu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and necessity for the education. And then the researcher derives support strategies for the educa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at which levels and how actual teachers perceive visual literacy education and also how they adopt it. As to specific research contents, it diagnoses the present situation by taking a look at stages of concern over, levels of use of, and the innovative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actual fine art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In addition, the researcher l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seeking proper supporting strategies for helping teachers implement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teaching activitie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concern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regarding visual literacy. In order to examine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randomly chose 150 male and female fine art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s of 2008 as subjects. As for research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through dividing them by sex, educational attainment, career, types of school, and major. 125 returned questionnaires in total of 150 distributed ones were used for research material and analyzed by SPSS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est, and One-way ANOVA, with the .05 significance level. Through this process were the following findings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overall stages of concern over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fine art teachers, it indicated overall indifference followed by informational and managerial concern. In terms of stages of concern by individual teachers also, 46.4% of the total, 58 teachers showed perceived concern (indifference) about visual literacy education, and next 28.8% (36 teachers) showed the first stage of concern - informational concern, followed by the third stage of concern - managerial concern (14.4%, 18 teachers), and the sixth stage of concern - reinforcement related concern (9.6%, 1 teacher). In addition, the second, fourth, and fifth stages of concern showed scarcely or did not show at all (0.8%, 0.0%, and 0.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fine art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revealed that overall,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attainment, career of teaching, types of school and major except sex did not influence stages of concern among fine art tea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levels of use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fine art teachers showed the mechanical level of use, followed by the exploratory and preliminary level of use. The daily using level and the renovated using level showed relatively l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y showed ideal configuration only regarding teaching methods, while they showed acceptable configuration regarding such as the setting up, establishment and motivation of the educational pl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education, and evaluation area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unacceptable configuration regarding the drawing up and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plan, while they showed acceptable and unacceptable configuration with the same proportion regarding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When taking a look at each element on the aspects of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the teacher showed acceptable configura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both acceptable and unacceptable configuration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again acceptable configuration regarding the 'evaluation'. And next, findings of the 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over, levels of use of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it wa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stages of concern. Overall, it can not be said that the higher stages of concern, the higher levels of use showed, but we can understand that teachers at the third and sixth stage of concern largely maintain higher levels of use stab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the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se of teachers at lower stages of concern, they were closer to unacceptable configuration, while when they approached higher stages of concern, they were closer to ideal configur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levels of use, it was revealed that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varied according to levels of use. As a result of the average of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by level of use, it was found that teachers at lower levels of use showed largely lower averages regarding the configuration. This indicates that teachers at lower levels of use are some distance from the ideal configuration of the education. When looking at other perceptions and the actual state of implementing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it was revealed that 54.8% of teachers chose 'cartoons/animations' as main educational material, followed by 'pictures/drawings (newspapers and magazines), 'advertisements (TV and magazines), 'the Internet', and 'movies'. They answers with the same proportion regarding educational objectives, indicating emphasis on each ability of visual awareness, proper utilization, and creative production, or the same emphasis on the three kinds of ability. As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the biggest difficulty was found largely to be due to 'lack of proper educational methods', and in the question regarding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all the teachers indicated the answer of 'to positively participate, and 'to participate in case that it is affordable', and there was no indicated answer of no intention to participate. As necessary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specific examples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nd producing skills of various media' are most necessary. In ligh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that 'it is very insufficient' or 'it is insufficient' regarding facilities, equipment and reference materials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And finally in the question regarding the need for visual literacy education, 85.6% of all the teachers thought that 'visual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as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fine art and media. Putting the results together, it was revealed that overall stages of concern over visual literacy education remain low, and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were closer to the acceptable level or more or less did not approach the desirable level. In addition, there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over, levels of use of,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mong fine art teachers. Accordingly, supporters for change who are in charge of providing specific aid proper for individuals or groups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necessary and suitable support for change by taking those three aspects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implement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ppropriat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