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희주-
dc.creator류희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01-
dc.description.abstractOur living environment is now full of various information and visual culture than ever. This social environment has led us to have doubts about the existing way of thinking which only judges based on one value. Thus we now need to have a new way of thinking that is dealing with relative values and diverse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phenomena, in the education field, an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on how to reach an agreement though the interaction with respect to the diversity has been investigated rather than how to find the proper answ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revised proposal reflect these efforts and thus emphasize on the practical study experience for students and the student based roles.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is keeping step with the trend having a high regard for the diversity as well thus making a hard effort on student based education. However, in education field,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is not being well reflected and the cramming method of education is still maintained by teachers. Under this kind of education in art subject, students are assess by a fixed standard, and the students who cannot reach the standard level are depressed and thus keep away from art. This phenomenon not only ends up as a problem in a subject but also influences on the students’ self concept. Especially, it negatively affects on forming the art self concept for the adolescent students who start loosing aesthetic interest by feeling frustrated in express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aesthetic interest decreasing in adolescence. There are several study results that prov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helping students have confidence and interest in art appreciation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and environments and improve aesthetic sense rather than expression. On this, the study aims to maintain and improve art self concept of adolescent students through the appreciation education with the relativistic thinking and students based teaching method and investigated the student based art appreciation program. The methods and experiments employ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contemplates the former studies for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versation based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art self concept.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study explores the ways of appreciation education by designing the conversation based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Third, with 21 participants from grade 1st, 2nd and 3rd grades in S middle school in Seoul, conduct experiments for 9 times from September 1st 2007 to October 20th 2007. By comparing the measures of art self concept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the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art self concepts of participants. I tried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recording attitudes and activiti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through the program. Fourth,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 on the changes in measures of art self concept and the records during the program experiment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educative effects of ‘the conversation based teaching – studying method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rough above methods and experiments is as followed.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based art appreciation program, the measured point of male students’ art self concept was increased Therefore, this implies that the conversation based teaching – studying method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art self concept.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based art appreciation program, the male students became able to confident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respect others’ thoughts. This result exhibits that the conversation based method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effective in fostering the attitude of respecting creativity and diversity. For the students who will be living in the period where the culture becomes competition, the school education should take a part in helping the students get closer to the culture. The previous self expression based education that only required the fixed, right answers cannot draw attention from the students who are living in rapidly changing society. Emphasizing on the original features of art subject respecting creativity and diversity, the teachers should have the attitude respecting the creative thinking and diversity first. However, this study is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of the short study length. Further expanded study in time length and numbers of cases is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studies on the various teaching methods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coming up later on.;우리의 생활환경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정보와 시각문화로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기존의 하나의 가치로 판단하는 사고에 대한 회의를 가지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가치와 개념을 아우를 수 있는 상대주의적 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하나의 정해진 답을 찾아가는 교육방식이 아닌 다양성을 존중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더 나은 합의점을 찾아가는 교육방식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7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 반영되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경험과 학습자 중심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게 되었다. 미술과 교육과정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다양성을 존중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힘쓰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취지가 잘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미술교과에서의 이러한 교육으로 인해 학습자는 일정한 기준에 의해 평가되고 그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습자는 좌절하고 미술을 멀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과목 하나의 문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자아개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표현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게 되어 미적 관심이 쇠퇴하는 청소년의 미술자아개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청소년기의 쇠퇴하는 미적관심을 유지․ 발전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그 방법 중 하나로 표현보다는 미적 안목을 넓히고 타인, 환경과의 교류를 통해 미술 감상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학습자에게 상대주의적 사고와 학습자 중심의 교수 방법으로 감상교육을 하여 미술자아개념을 유지․발전시키려하는데 목적을 두고 학습자 중심의 대화 중심 미술감상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 중심 미술감상교육과 미술자아개념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연구한다. 둘째,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대화 중심 미술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감상 교육의 방법을 탐색한다. 셋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서울 S 남자 중학교 1, 2, 3학년 2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2007년 9월 1일부터 2007년 10월 20일 동안 총 9차시에 걸쳐 실험 처치한다. 실험 전 후의 각각 미술자아개념 척도를 통해 연구 대상의 미술자아개념의 변화를 살펴본다. 그리고 본인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연구 대상인 학습자의 태도와 활동을 관찰 기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넷째, 프로그램 실험의 과정의 기록과 미술자아개념 척도 변화에 대한 통계적 결과를 토대로 ‘미술감상교육에서 대화 중심 교수-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 내용과 방법을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 중심 미술감상 프로그램 참여 후 남자 중학생들의 미술자아개념 척도점수가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높아져 미술자아개념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미술감상교육에서 대화 중심 교수-학습법이 미술자아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대화 중심 미술감상 프로그램 참여 후 남자 중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자신 있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감상교육에서의 대화학습이 창의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효과가 있다. 문화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를 살아갈 청소년들에게 문화를 흥미 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의 일정부분은 학교교육의 역할이다. 이전의 자기표현중심, 획일적인 답만을 요구하는 교육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살고 있는 학습자의 관심을 받을 수 없다. 창의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미술교과의 본연의 성격을 살려 교사들이 먼저 창의적인 사고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간이 짧았던 점에 있어서 일반화에 무리가 있다. 시간적으로 사례수적으로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미술감상교육에서의 다양한 교수법 활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대화 중심 미술감상교육 = 4 1. 사회적 구성주의와 대화학습 = 4 2. 대화학습을 활용한 미술감상교육의 의의 = 5 3. 아레나스의 미술감상지도 방법 = 6 B. 미술자아개념 = 8 1. 미술자아개념의 의미 = 8 2. 자기효능감과 미술자아개념 = 12 Ⅲ. 연구 방법 = 13 A. 연구 대상 및 절차 = 13 1. 연구 대상 = 13 2. 연구 절차 = 14 B. 연구 도구 = 16 1. 수업도구 = 16 2. 측정도구 = 51 Ⅳ. 연구 결과분석 및 논의 = 59 A. 프로그램 활동 관찰 결과분석 및 논의 = 59 B. 미술자아개념 검사 결과분석 및 논의 = 86 Ⅴ. 결론 및 제언 = 94 참고문헌 = 97 부록 = 99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68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감상교육에서 대화 중심 교수-학습법이 미술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nversation Based Teaching-Studying Method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on Students’ Art Self Concept-
dc.creator.othernameRyu, Hyi ju-
dc.format.pagev,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