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오픈 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공간적 가변성에 관한 연구

Title
오픈 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공간적 가변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lexibility in space of the Apartment Unit based on Open Housing System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유형인 공동주택은 건설 후 20년 정도의 짧은 수명으로 조기 전면 철거 재건축됨으로써 자원 및 건설에너지 낭비와 폐자재 발생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구조적 내구성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조기전면 철거 재건축이 이루어져 왔던 것은 건설업자 및 소유자의 경제적 이윤추구와 정부의 양적인 공급확대정책과 연계성 등의 이유와 그리고 내력벽식 구조 방식에 따른 공간의 고정화와 획일적인 공간구성으로 인하여 거주자 및 사회의 다양한 변화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고 리모델링하기 어려움에 따른 기능적인 노후화 촉진도 주요한 이유로 생각할 수 있다. 공동주택이 장수명화 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내구성과 더불어 시간의 맥락 속에서 사용자의 요구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주거공간의 계획방법이 변화하여야 하지만 물리적인 수명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변화, 기술변화, 거주자 변화, 생활의 변화와 다양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계획적인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주택을 건설한 후에 일어날 수 있는 변화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은, 장래의 요구조건 변화의 사전예측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계획단계부터 다양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적응성이 높은 디자인 전략수립의 방법이 요구되며, 주택이 장수명화 할수록 변화에 대응하는 계획의 필요성은 증대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설계방법이 오픈하우징 시스템(Open Housing System)의 적용이다. 오픈하우징 시스템은 건물전체를 재건축하지 않고, 서포트(Support)와 인필(Infill)의 분리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성능(수용성: Capacity to Change)을 통하여 사회. 기술변화. 거주자 변화 및 거주자의 요구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픈하우징 시스템은 다양한 공간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서포트 계획과 더불어 거주자의 요구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필의 이동과 교체를 통하여 적응력이 높은 아파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가변형 아파트에 대한 개발이 각 건설업체마다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제한적인 수준이며, 기존에 건설된 아파트들이 가지는 공간 계획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가변형 주택은 거주자 각각의 다른 다양한 생활과 거주자의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에 하나의 주거가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평면형 속에서 여러 가지 생활 패턴이 가능하도록 내부공간구성은 많은 변화형을 가져야 하며, 구조체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내부칸막이나 설비 등의 인필 요소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가변형 주택은 주거 설계과정에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거주자를 참여시키고 환경측면에서 지속가능한 건축을 추구함으로서 현대 공동주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주거공간의 가변성의 개념을 필요성을 통해 문제제기를 하고 가변요소를 분류하고 가변적인 공간을 계획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서술한 후 국내 가변형 주택의 현황을 분석 정리 하였다. 제 3장에서는 주거관점에서의 오픈하우징 시스템의 개념 및 특성을 서술한 후 오픈 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디자인 방법에 대한 서술과 공간적 가변사례에 대해 분석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주호의 공간계획을 통해 오픈하우징 시스템의 공간적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최근 업체마다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가변형 주택이 개발되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가변형 주택들은 공동주택의 건설당시 거주자의 참여는 배제한 체 구조와 설비 부분의 위치고정과 내부 공간 요소의 한 방향 내지 두 방향으로의 가변요소를 가지고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증가하는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현재의 가변형 주택의 한계점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설계방법으로서의 오픈하우징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며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공간의 가변성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오픈하우징 시스템의 개념은 건설 초기 단계부터의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전제로 하며 이러한 참여를 통해 건축물은 구조체(서포트)와 내장재(인필)의 철저한 분리공급으로 주거공간의 관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자원 및 건설에너지 낭비와 폐자재 발생 등을 감소시켰다.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공간에서 물을 사용하는 공간까지도 자유로운 이동 가능성을 보였고 다양한 평면구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인필 요소들의 범위를 기존의 변경 불가능한 부분에 까지 확대하여 다양한 가변성을 수용하였다. 즉, 지구 환경보존에 대응하는 고내구성, 거주자의 생활양식 및 요구의 다양성과 변화에 대응하는 가변성, 물리적․기능적 노후화 및 변화에 대응하는 갱신성(리모델링 성능)을 만족시키는 공간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셋째, 오픈하우징 시스템은 미래를 대비한 기술이기 때문에 신축시의 건설비용증가로 인한 건설업체의 신축에 따른 이윤추구와 직접적인 관계가 적고 기존의 기술보다 높은 정밀성과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필요한 부품의 유통 등과 같은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 야기되는 문제로서 이를 해소하기위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보급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도적 측면에서 법규 및 정책과 관련된 제약요인으로 오픈하우징 시스템의 세부지침 및 기준의 미비와 세대 간 병합 및 분리에 따른 제도적 보완, 개별공사에 따른 건축 허가 및 민원 발생 등의 문제점이 보완되어야 한다. 기술적 측면에서 인필 부품의 부족 및 성능 검정 체계가 미비하며, 숙련공의 미비, 부품화 및 표준화의 미흡, 개별설계에 따른 문제점들이 보완 되어야 한다. 경제 및 사회적 측면의 경우 오픈 하우징 시스템의 개념 및 주택을 거주공간의 개념이 아닌 재산증식으로 인식하는 사회통념과, 개별 내장공사는 건설사의 수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점에서 활성화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오픈 하우징 시스템의 실현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 경제 및 사회적 측면에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입주 후 변화되는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아파트의 대안으로서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적용한 가변형 주택의 원리를 주호 공간에 적용하여 디자인 방법과 계획안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Our representative residence style(apartment), a multi-family housing causes serious problems of wasting resources and energy, producing industrial waste and deteriorating our natural environment, because it is totally reconstructed in a short period of the service less than 20 years. Although a structural endurance of the apartment is enough strong, it has been early and totally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conomic profit for a constructer and comsumer and supply escalating policy of the government. Moreover, the fixed space by standardized load-bearing wall system, the prevailing design patterns unmatched by changing life style of users and the functional declining by difficult remodeling have been regarded of main factors. The plan of residence space must be changed for accepting change of users as well as physical endurance in order to get a long life of the apartment, besides we essentially need a scheme to deal with social changes, technical change, resident change and life change. We have to establish a highly adaptable design strategy because it is a difficulty of predicting the change after being built a housing. Therefore, as a housing has long life we need the adaptable design strategy. It is accepting "Open Housing System" that is the best design method. "Open Housing System" is well able to deal with social, technical, resident change through the separation of Support and Infill and the Capacity to change without reconstructing in whole housing. Consequently, Open Housing System make us design highly adaptable apartment with support plan can be accepted a variable space change through movement or change of infill. Each construction company is recently trying to develop apartment with changeable wall system. However it is still limited level and couldn't suggest a solution of the space plan problem with the former built apartment. Flexible Housing system make one unit cope with a variation of the life style and cycle. There are many variational forms to be able to accept a multi-life patterns within an unit plan and Infill factors such as partition or facilities without change support. The "Open Housing System" with is one of the tools to solve the problem of modern community housing system through participating users and pursuing the sustainable housing in environment's asp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design method and plan, which apply unit plan to open housing system as an alternative apartment that flexible transform a variation of life cycle after moving and accept a variety of request from user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tents. The first chapter shows that the background, purpose, range and methods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has problem-suggesting through the necessity of the flexibility in the housing system and analyze and arrange the situation of the open housing system in Korea after classifying the flexible factors and space. The third chapter analyzes and arranges that the design methods adapting to Open Housing System and the example of the flexible wall in the past after explaining the concept and features of the Open Housing System.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at the spacious utility of the Open Housing System through the space plan adapting the Open Housing system. This study can suggest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those study methods. Above all, construction company have developed the wall changing system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the users, but it has a limitation to treat a variety of the requirement because those wall-changing housing have one or two type of flexible factors excepting residents' participation.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Open Housing System is needed to seek the alternative of the recent wall-changing housing and it has following signification of space flexibilities using the Open Housing System. Open Housing system is able to manage and change the housing space through supply system to divide the support and infill absolutely in the process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first stage of the construction. Therefore, it has diminished the unnecessary resources and useless construction debris. There is lots of possibility of moving, so it is possible to make a various unit plan even changing water using space. For the more, it contains various flexibility to enlarge infill factors to unchanging parts in the past. This space concept has a potential to satisfy the efficiency of remodeling to deal with variability and malfunction in the housing system. Third, it is very difficult to spread if construction companies are not interested in the Open Housing System because of the low interests rate and high risks that need more fine and detailed technic and requirement from users. In the aspect of institutionalization, it must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shortage of the specific guideline and standard of the Open Housing System and permission for the individual works and etc. In the aspect of technique, it must make up for insufficient factors such as the shortage of infill parts, authorization of system, and the problem of individual design. According to those aspects, we must develop and supple the institutional, technic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for good in order to realize and activate the Open Housing System. Consequently, this study flexibly suggests design method and unit plan adapting a theory of the Open Housing System as a alternative apartment to get the satisfaction for the residents through coping with life cycle and various asks after moving into the apar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