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3 Download: 0

일상사물을 통한 사진적 표현 연구

Title
일상사물을 통한 사진적 표현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EXPRESSION OF PHOTO THROUGH DAILY OBJECTS
Authors
정지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사진과편집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continuous observations and reasons for some objects are the series processes to confirm, perceive and aware the essence of existence of me through the relations with objects. This researcher is prone to see and think the objects surrounding this researcher’s daily lives, as well as to maintain relations with the objects. The existence and values of objects are revived and reinterpreted, by reflecting this researcher’s individual memories, experiences and causes. This researcher means to make the active intervention on this researcher’s abundant inner awareness, anxieties and every day lives through the relations with objects, as part of a bid to take into the consideration for the essence of ego and existence. Our individual daily lives and inner memories to be disregarded can be monotonous sometimes, but other sometimes, they can be regarded as the attractive essence of life. Although small and petty daily objects are less important to be thrown, once they are broken, all of them are the ones caring and loving, for me. They are the objects to reflect the existence and behaviors of myself. In this regard, this researcher attempts to not only understand researcher myself but also attempts to view others and the world and communicate with them, through small and revived daily objects in association with recording our daily lives and inner memories. This research thesis is designed to make the analytic study on the hidden meanings, values and expressions of the photography, with the focus on “floating”, that this researcher designed, in order to reflect this researcher myself through the special relations with the beauty within our small daily objects and the objects. In the first place, this researcher has made the reexamination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photo of still life photography to be considered as the theoretical ground of “floating” that this researcher designed. And then, this researcher has made the specific analysis on the artistic results and works by Ralph Gibson (1939~), Hwang Kyu-Tai (1938~) and Irving Peen (1917~) which had the direct influences on completing work through such relations.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has made the review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influence relations of “floating”, with the focus on the conceptual factors, such as semi-meaning, segmental index, and open space by Ralph Gibson, and the work of exhibition displayed by Hwang Kyu-Tai in 2001.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grounds, this researcher aims to find out the hidden meanings and values of the newly-revived daily objects and give insights into the significance, not to speak of analyzing the concept, forms and processes of “floating”.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researcher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newly-revived and reinterpreted objects, reflect the hidden meanings and essences of the objects, and induce the extension of thought and viewpoint, as well as take into the consideration for this researcher’s individual memories, experiences, and various causes.;사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사유는 사물과의 관계를 통해 나의 존재를 확인하며 존재의 본질을 지각하고 인식하는 과정이다. 나는 일상적 공간 안에서 주변의 사물들을 바라보고 생각하고, 그 사물들을 사용하면서 관계를 맺는다. 사물들의 존재와 가치는 내 개인의 기억과 경험, 사유를 반영하면서 새롭게 재현되고 해석된다. 부유하는 내면의 의식과 불안, 일상이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적극 개입되면서 자아와 존재의 본질을 성찰하고자 한다. 쉽게 지나치기 쉬운 개인의 일상과 내면의 기억은 무료할 수 있지만 때론 매혹적인 삶의 본질로 다가올 수 있다. 작고 소소한 일상의 사물들은 깨지고 고장이 나면 버려 질 수 있는 하찮은 것들이지만 내게는“애틋하고 소중한”나의 일부가 된 것들로, 나라는 존재와 행위를 성찰할 수 있는 사물들이다. 본인의 작업은 이러한 일상과 내면의 기억을 기록하듯 재현한 일상의 작은 사물들을 통해 나를 이해하고 나아가 타자와 세상을 바라보고 그들과의 소통을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일상 사물에 스며들어 있는 아름다움과 그 사물과의 특별관 관계 속에서 나를 성찰하고자 한 본인의 작업 “플로팅(floating)”을 중심으로 이러한 일상 사물에 내재된 숨은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고 그 사진적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본인의 작업“플로팅(floating)”의 이론적 바탕이라고 할 수 있는 정물사진 이론적 배경으로 정물의 역사와 정물사진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그 관계 속에서 작품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랄프 깁슨(Ralph Gibson, 1939~ )과 황규태(1938~ ), 그리고 어빙 펜(Irving Penn,1917 ~ )의 예술적 성과와 작품을 분석하였다. 특히 랄프 깁슨의 반-의미, 단편화된 인덱스, 열린 공간이라는 개념적인 특징과 황규태의 展 (2001년)에 출품된 작품을 중심으로“플로팅(floating)”의 이론적 배경과 영향 관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론적 바탕과 배경을 기초로“플로팅(floating)”의 개념과 형성과정을 분석하며 새롭게 재현한 일상 사물의 숨은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고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새롭게 재현, 해석된 사물들을 나의 개인적 기억과 경험, 사유의 흔적을 반영하면서 소통을 시도하고 사물의 감춰진 의미와 본질을 성찰하면서 사고와 시각의 확대를 유도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