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어린이에 있어 시지각 콘텐츠에 의한 창의성 평가 실험 연구

Title
어린이에 있어 시지각 콘텐츠에 의한 창의성 평가 실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reativity through Visual Perception Contents for Children : With emphasis on design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childre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Authors
장수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society undergoes rapid changes and people's lives become more complex, the ideal human pursued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is no longer capable of keeping pace with the changes of our times. Amid the ever-changing competition of modern society, individuals are in need of greater information. Aligning and consolidating the infinite volume of knowledge there is today in a differentiated approach requires enhanced creativity and flexible thinking. Moreover, developing creativity is also necessary in modern societies where novel ideas and unique thinking are valued over mere memorizing. In this regard,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early stages of primary school during which children gain access to systematic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heir creative thinking. The subject of art is widely known to have much relevanc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particular, the design domain included in art curriculums seem to have a direct impact on creativity development since it focuses on the process of inquisitive problem solving. What creativity and design share in common is that they both search for the best solution to a single problem and create new ideas by integrating a number of different factors. The purpose of design education is to respect and develop the diverse thinking of children and thereby enable them to use their creativity in problem solving through their visual perception.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as general education aimed at producing creative individuals that can enjoy and engage in design and not as education for breeding professional designers. Providing such education for children during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period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ir creativity and visual perception. Design education oriented to creativity allows for expansive thinking and, in a broader sense, generates positive learning benefits when combined with other subjects. This study measures the creativity and visual percep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through the creativity diagnosis contents established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ntent and creative thinking can be derived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contents which are comprised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Furthermore,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homeroom teachers of the children who took part in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s creative lifestyl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higher points in the creativity diagnosis contents provided in this study have a higher likelihood of actually being more creative.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has generally been dealt with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creativity evaluation contents were developed and experi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llectual level of primary school children,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taught with design methodologies in undergraduate curriculum. The contents, comprised of three approaches - 'instant cognitive ability', 'what is it?' and 'completing unfinished pictures' - are related to creativity components, which are, for each approach, inquisitiveness and sensitivity, flexibility and openness, and ingenuity and fluency. The scores extracted from the test results can be used to explain the correlation to creativity. The contents developed were tested on 102 primary school childre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to measure their creativity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while a survey on the teachers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erms of creativity.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by a three-member expert group were applied on a scale of one to five. The total average score was 3.18 and the average of the children with the top ten scores was 4.12. Results of the teacher survey, based on a scale of one to three, showed a total average of 1.97 and an average of 2.21 for the children with the top ten scores, suggesting that teachers viewed children with higher scores as being relatively more creativ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children with higher scores on their creativity evaluation tests set forth here in this study seem to have stronger creativity components than other children, and thus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more creative. Recognizing the creativity and visual perception level of children using the creativity evaluation test contents and subsequently conducting education proper to each level can help efficiently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and visual perception. Therefore, design education should take advantage of contents that are developed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ies and providing such education in the early stages will prove to be a short cut to producing creative, talented individuals.;사회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생활이 복잡해지면서 기존의 지식기반 사회가 추구하던 인간상으로는 시대 변화에 따를 수 없게 되었다. 급변하는 현대 경쟁사회 속에서의 개인은 많은 양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무한한 양의 저장된 지식들을 타인과 차별되는 방식으로 배열하고 종합하기위해 보다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 지식의 암기 보다는 새로운 발상과 독특한 사고가 중요하게 여겨지므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의성 신장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인간은 체계적인 교육을 접하게 되는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창의성 교육을 받아야 하고 창의성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일반적으로 미술과목은 창의성 개발과 연관성이 크다고 알려져 왔다. 특히 미술교과 안에 포함된 디자인 영역은 탐구적 문제 해결과정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창의성 신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창의성과 디자인은 한 가지 문제에 직면했을 때 여러 가지 해결안 가운데서 가장 좋은 하나의 해결점을 찾거나, 몇 가지 요소를 통합하여 새로운 안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디자인 교육은 어린이의 다양한 사고를 존중하고 개발하여 문제 해결 시 시지각적인 사고를 통해 창의적인 발상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은 전문 디자이너 육성을 위한 교육이 아닌, 디자인을 즐기고 영위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일반 교육으로 접근해야 한다. 또한 지적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면 창의성과 시지각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 또한 얻을 수 있다. 창의성 중심의 디자인 교육은 확산적 사고를 가능하게하고 타 과목과 접목하여 넓은 의미에서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시지각 이론은 일반적으로 고등 교육 내에서 다루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과정에서 디자인 방법론으로도 교수되는 시지각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어린이의 지적 수준에 맞춘 창의성 평가 실험 콘텐츠를 제작하여 실험해 보았다. ‘순간인지능력’, ‘무엇일까?’, ‘미완성 그림 완성하기’의 3가지 방식으로 구성된 콘텐츠는 각 항목별로 창의성 구성요소인 탐구성과 민감성, 융통성과 개방성, 독창성과 유창성과 연관되어있으며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점수를 토대로 창의성과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개발한 내용을 초등학교 1,2,3 학년 어린이 102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창의성 및 시지각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였고, 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의 담임교사에게 어린이 개인의 창의적 특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해 3명의 전문가 집단이 평가기준을 수립하여 5점 척도로 채점하였을 때 전체 평균은 3.18점, 상위 10명의 평균은 4.12점으로 나타났다. 3점 척도인 담임교사 설문 결과 전체 어린이 평균 점수는 1.97점, 상위 10명의 평균은 2.21점으로 조사되어 실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의 담임은, 그 아동들이 다른 어린이들에 비해 조금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본고에서 제시한 창의성 평가 실험 콘텐츠를 통해 높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은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능력이 타 아동에 비해 뛰어난 것으로 보여지므로 실제로 창의성이 우수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의성 평가 실험 콘텐츠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창의성과 시지각 능력 수준을 인지한 후, 각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시행 할 수 있다는 점은 어린이들의 시각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효율적으로 개발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시지각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한 콘텐츠를 이용하여 디자인 교육을 진행해야 하고 나아가 이러한 교육을 조기에 실시한다면 창의성이 발달된 우수한 인재를 얻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