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NiTi scissors-bite corrector의 와이어 굵기에 따른 3차원적 치아 이동 양상

Title
NiTi scissors-bite corrector의 와이어 굵기에 따른 3차원적 치아 이동 양상
Other Titles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sizes of NiTi wire on NiTi scissors-bite corrector
Authors
전현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이동 시뮬레이션 장치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3가지 서로 다른 굵기의 NiTi 와이어로 제작하였을 때 각각의 치아 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악 우측 치조골 및 가위교합에 이환된 치아 모형을 제작하였다. 모형의 치조골 부위에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강선으로 제1대구치와 레진으로 접착하고, 0.018×0.025-in, 0.016×0.022-in, 0.016-in 굵기의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부착하여 각각 5회 실험하였다. 치아의 이동 전후에 실험 모형은 1mm 단위의 3차원 CT(computed tomography)로 촬영하고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첩하였다. 치아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여, NiTi scissors-bite corrector 와이어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상의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2대구치 치관의 설측 이동은 0.018×0.025-in군> 0.016×0.022-in군> 0.016-in군 순서로 나타났으며, 0.018×0.025-in군과 0.016-in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제2대구치 치관의 압입은 0.018×0.025-in군> 0.016×0.022-in군> 0.0016-in군 순서로 나타났으며, 0.018×0.025-in군과 0.016×0.022-in군, 0.016×0.022-in군과 0.016-in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제2대구치 치근의 압입은 0.018×0.0025-in군> 0.016×0.022-in군> 0.016-in군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든 군 간에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4. 0.016-in군에서 제2대구치의 치근이 다른 군과 달리 협측 이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5. 정출된 제2대구치를 압입하기 위하여,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식립하여 제1대구치에 연결한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사용했을 때, 고정원의 소실은 0.2mm 이하로 적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ree dimensional of tooth movement using 3 different sizes(0.018×0.025-in, 0.016×0.022-in, 0.016-in) of wire on NiTi scissors-bite corrector. This was performed by the Calorific MachineⓇ. The Calorific machineⓇ could simulate tooth movement and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CT(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experimental model before and after teeth movement were taken in 1mm thicknesses and reconstructed into three dimensional models using V-works 4.0TM. These reconstructed images were superimposed using Rapidform 2004™ and then the direction and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were measured. The lingual and intrusive movements of the crown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were increased as the size of NiTi wire increased. The roots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s moved buccally except for the 0.016-in group. The intrusive movement of the roots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s was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NiTi wire increased. Due to the use of OMI(orthodontic mini-implants) anchorage loss was under 0.2mm average. In conclusion, 0.018×0.025-in NiTi wire was most effective in lingual and intrusive movement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which was in scissors-bite position. Indirect skeletal anchorage with a single OMI was rigid enough to prevent anchorage lo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