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현경-
dc.creator오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85-
dc.description.abstractIn the intensive urbanization in moder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needs for emotional stability and composure in life are growing. Therefore contemporary people perceive the flower in nature as a factor for cultivating sentimental character, resulting in movement to build a natural environment in their indoor spaces, as more attractions were given to house life. This thesis was motivated by the growing demands of harmonic vases which could make the indoor space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motionally stabl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formative factor of traditional geometric shapes to develop modernized and sensational vases. To make any kinds of geometric shape, tools of physical structures are mandatory. In addition, geometric shape gives brief and intellectual impression by its regular and ordered figure, while it shows structural form in the established rule and standard after being manufactured in mathematical standards. The ultimate simplicity helps visual communication in ease. The simplicity of geometric shape sets the beauty of flower off and its polished style is effectively appealing to the contemporary finally. Being structured by geometric shape, it becomes possible to make formative meanings with the possibilities of indefinite formative expression.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developing geometric vases which match with ambient environment well as a portion of creative and liberal formative arts, giving a sense of beauty with flowers, not limited with flowers, having formative character for its own. After investigating the definition, character of geometric shape and the formative character of geometric combination in books to apply the image of geometrical formative combination effectively a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thesis aimed to help in manufacturing vases, based on geometric principle of combination through researching the types of vases, properties, geometric characteristic seen in vases. Studies of geometric vases and formative character shown in previous works which applied geometric combinations were investigated, too. To give brief and simple features, slabs were used in works. In contract to the roughness of slabs, slip casting was also used to make multiple structures, which gives sharp and neat features. After wheel-made, the works used the way of cutting and attaching slab to fit into the concept of design and shapes. As clay bodies for slabs, clay with stones was used to express rough texture, which has few deformation in drying and firing. In slip casting, Bunchung-clay and Sanchung-clay were used to express dark-color of potter’s clay effectively and super-white clay was also used to emphasize white color. Kneaded white porcelain clay and clay with stones to express texture of pottery and to make Wheel-made works easier were preferred. Texture of natural material such as rock, wood were used to soften the strict image of geometric shape, resulting in emotional, visual stability and composure. Partial uses of translucent glaze or non glaze methods were used in slip castings. In slabs, matte glaze to make works intensive was used and then partial adaptation of black glaze and iron-oxide, copper matte glaze, white matte glaze, matte ash glaze and black glaze were used. 1st firing was done at maximum temperature of 800℃ in electric-kiln(0.3㎥) for 8hrs, 2nd firing was done at maximum temperature of 1250℃ for 10hrs in oxidizing flame. 3rd firing with Terra Sigillate in the 2nd and 5th work was done at maximum temperature of 1050℃ for 9 hrs in oxidizing flame. The research combined and repeated geometric shapes such as hexahedron, cone, cylinder, polyhedron and sphere in which 3-dimentional characters, based on the tree geometric formation factor(dot, line and surface), to express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and to reach to the visual amusement while it maintained its original function of containing flowers. In conclusion, combining various geometric shapes in ceramics arts is an effective motive in producing more practical works through the principal of combination referring to repetition, color change, dimensional change, chiaroscuro, contrast of texture, etc. It is also visually so simple in nature that the visual messages I willing to depict could be expressed in precise and accurate way. After focusing on objective transformed vases which could not carry water, it was found out that imitation flowers or dried flowers could be used for decoration in the creative and natural way, not to saying that natural flowers could be used with various tools when required. Being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ses and flowers while manufacturing and researching vases, I made efforts to meet the requirement of formative character of arts comparing with traditional vases which showed passive decorative characters by emphasizing practicality. It is obvious that vases will be close to contemporary life and enlarge their uses, united with unrestricted imagination, mor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innovative formative-character. Therefore it is desired to provide the new concept for the traditional definition and role of vases, as a part of formative art.;현대의 주거환경은 집약적인 도시 형태로 인하여 정서적인 안정과 여유로움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자연의 꽃은 정서함양의 요소로 인식되어가고,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실내공간에 자연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커졌다. 이에 실내공간을 보다 자연 친화적이고 정서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줄 조형적 화기 개발이 요구되어 지는 것이 연구 동기가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인 형태의 결합을 주된 모티브로 하였고, 이를 화기에 적용하여 감각적이면서도 현대적인 화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기하학적 형태의 특징은 어떠한 형태든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만들 수 없으며 물리학적 구조를 가진 도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는 외형이 규칙적이고 정리되어서 명쾌하고 지적인 인상을 주고, 수학적 질서에 의하여 일정한 법칙에 따라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한 질서와 법을 가진 구조적 형태를 지닌다. 또한 극도로 단순화된 형태이기 때문에 시각적인 전달이 빠르다. 따라서 기하학적 형태의 간결함은 꽃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며, 세련된 느낌이 현대인의 감성과도 잘 맞아 떨어진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결합구조는 특별한 조형적 의미를 지니며, 무한한 조형표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꽃과 어우러져 새로운 미감을 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만으로 조형성을 가진 작품으로써, 화재(花材)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고 창조적인 조형 예술의 일부분으로 주위환경과도 잘 어울릴 수 있는 기하학적인 결합 형태의 화기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이 갖는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과 특징, 기하학적 결합의 조형성에 관해 문헌을 통하여 알아 보았고, 화기의 특징과 종류, 화기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형태의 연구를 바탕으로 화기에 대하여 좀 더 심도 있게 고찰하여 기하학적인 결합원리를 응용한 화기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기학학적 결합을 응용한 화기 사례를 살펴보고 기존의 화기에 표현된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을 탐색해 보았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단순하고 명료한 느낌을 주기위해 판을 이용한 판성형을 사용하였고, 판 성형의 투박한 느낌과 대비를 줌과 동시에, 결합을 통한 반복 구성을 위해 깔끔하고 날렵한 느낌의 이장주입 방법을 사용 하였다. 또한 디자인의 특성과 형태를 위해 물레 성형을 한 후에 판을 접합하고, 자르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시에 태토는 판 성형의 경우 건조와 소성 시 변형이 적고 거친 질감을 표현하기 적합한 조합토를 사용 하였다. 이장 주입 성형의 경우 백색도가 좋은 슈퍼화이트와 태토의 색을 짙게 표현하기 위해 분청토와 산청토를 사용하였고, 슬립에 왕겨를 첨가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텍스쳐를 주고자하였으며, 색상의 변화가 필요할 시에는 안료를 혼합한 색토를 사용하였다. 물레성형의 경우 백자토와 조합토를 섞어 반죽하여 질감을 나타냄과 동시에 물레성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의 딱딱함을 완화하기 위해 돌이나 나무 같은 자연물의 텍스쳐를 주어 시각적,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고자 하였다. 유약은 이장주입 성형의 경우 무유 처리를 하거나 부분적으로 투명유를 시유하였으며 판 작업의 경우 주로 매트(Matt)유를 사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흑유나 산화철을 바르고 닦아낸 후, 동매트유와, 백매트유, 무광재유, 흑유로 시유하였다. 또한 작품에 회화적이면서도 좀 더 거친 느낌을 주기위해 3차소성에서 산화철과 안료가 포함된 테라시질라타를 사용하였다. 1차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800℃로 8시간 동안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1250℃로 10시간 동안 산화염으로 소성하였다.<작품2>와 <작품5>에 사용된 테라시질라타는 3차소성에서 최고온도 1050℃로 9시간 동안 산화염으로 소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형태요소인 점. 선. 면을 기본으로 기하학 형태의 삼차원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육면체와 원뿔, 원기둥, 다면체, 구를 결합시키거나 반복시켜 다양한 형태 변형의 가능성과 시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기하학적인 형태의 결합은 반복, 색채변화, 크기변화, 명암의 변화, 질감의 대비 등의 결합원리를 통하여 다양하면서도 새로운 형태를 창조 할 수 있으며, 보다 실용적인 형태를 제작하는데 효과적인 모티브임을 알았다. 또한 시각적으로 매우 명쾌하여 본 연구자가 전달하려는 시각적인 언어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물을 담을 수 없는 오브제적인 변형화기 위주로 작품을 제작하고 연구하면서 이에 대한 방안을 연구한 결과 조화나 건조화등을 사용하여 자유적이고 창의적으로 꽃꽂이 연출이 가능하며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생화장식도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실용성에 치중하여 소극적인 장식성을 가지는데 중점을 둔 기존의‘화기’와는 달리 예술적인 조형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본인은 이와 같이 화기가 자유로운 상상력과 좀 더 많은 부분들의 감성적 소통, 획기적인 조형성으로 제작되어 생활에 밀착됨으로써 생활공간에서 그 영역을 확대해 갈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조형 예술의 한 부분으로써 화기의 고정적 개념과 역할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기하학 형태와 결합 = 4 2.1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과 종류 = 4 2.2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과 조형성 = 8 3. 기하학적 결합형태의 작품 사례 연구 = 11 4. 화기에 대한 고찰 = 18 4.1 화기의 특징과 종류 = 18 4.2 기하학적 형태의 화기 = 22 5. 작품제작과정 및 해석 = 27 5.1 디자인 과정 = 27 5.2 작품 제작과정 = 49 5.3 작품 해석 = 54 6. 결론 = 74 참고문헌 = 76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249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을 통한 화기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Vase Modeling by Using Geometric Forms-
dc.creator.othernameOH, Hyun-kyung-
dc.format.page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