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수현-
dc.creator나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1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y entered the general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0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mov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 group of 1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was compared with a similar group of 1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didn't.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total of 22 sessions during a winter vacation prior to entering middle school and the first few weeks of middle school. The program included as follows: 1) offering information about general middle school setting; 2) visiting middle school; 3) instructing of study skills, social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and self-care skills; 4) counseling about school life; 5) providing parents education. In this study, 'school adjust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to the general middle school. School adjustment scale consists of following sections: 1) school satisfaction; 2) academic engagement; 3) observance of the school rules; 4)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5)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school adjustment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sed by the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the score of school adjustmen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school satisfaction,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 class, and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academic engagement of inclusive class, observance of the school rules, and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n initial experience transition, especially in the area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sabilities.;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는 급격한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학업적인 면에서나 사회, 정서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된 역할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중학교로의 전이는 모든 학생들에게 어려운 문제이고 특히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더 많은 지원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후 통합교육의 강조로 일반중학교로 진학하는 장애학생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의 초등학교에서 일반중학교로의 전이 지원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장애학생들에게 중학교 진학 직전인 겨울방학동안 중학교로의 전이를 위한 단기 집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함으로써 이들이 중학교 전이 초기에 학교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완화시키고, 학교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며, 급격하게 변화된 중학교 생활 및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중학교로의 전이 직전에 실시되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일반초등학교에서 일반중학교로 진학한 특수학급 학생 30명이며, 이 중 15명은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나머지 15명은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이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실험 시작 시 21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었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1개의 중학교로 진학한 상태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초등학교에서의 학교적응도와 장애유형 및 성별, 같은 중학교로의 진학을 고려하여 1:1로 짝을 지어 배치하였고,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중학교로의 전이 직전인 겨울방학 동안 20회기, 중학교 입학 직후 2회기 등 총 22회기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는 일반중학교에 대한 정보의 제공, 중학교 사전 방문, 학교생활 상담, 중학교로의 전이에 필요한 기술(공부하기 기술, 자기관리 기술, 자조 기술, 사회성 기술, 성교육, 학교폭력 대처 기술)의 교수, 부모 교육이 포함되어 있다. 본 중재 프로그램이 실시된 이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중학교 진학 초기의 학교적응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학교적응도를 평가하였다.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는 본 연구자가 전국 중학교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과정을 거쳐 개발한 것으로 학교만족, 수업참여, 학교규칙 준수, 친구 및 교사 관계, 학교환경 적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집단 간의 초기 학교적응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적응 척도 점수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중학교에서의 초기 학교적응도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학교적응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학교적응도의 하위 영역 중 학교만족도와 일반학급에서의 수업참여도, 학교환경 적응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적응도의 하위 영역 중 특수학급에서의 수업참여와 학교규칙 준수, 친구 및 교사 관계 영역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진학 초기 학교적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 연구가 전무한 국내 상황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장애학생들의 중학교로의 전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 6 C. 연구 문제 = 7 D. 용어 정의 = 9 1.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 = 9 2. 장애학생의 중학교 학교적응도 = 9 Ⅱ. 이론적 배경 = 10 A. 장애중학생의 교육환경 개관 = 10 B.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 = 14 1. 장애학생 전이 프로그램의 개념 및 동향 = 14 2.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의 필요성 = 17 3.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 20 가. 학업적 기술의 교수 = 21 나. 자기관리 및 자조 기술의 교수 = 23 다. 사회성 기술의 교수 = 24 라. 심리적 적응을 위한 지원 = 26 마. 일반학급 교사 및 학생 지원 = 27 바. 가족 지원 = 28 C. 장애학생의 중학교에서의 학교적응 = 31 1. 학교적응의 개념 = 31 2. 학교적응의 차원 = 33 3. 장애학생의 중학교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4 가. 개인적 변인 = 35 나. 개인 외적 변인 = 36 Ⅲ. 연구 방법 = 38 A. 연구 참여자 = 38 B. 실험 기간 및 장소 = 41 C. 독립변인: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 = 42 1.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 목표 = 42 가. 심리, 정서적 지원 = 42 나. 수업 참여 지원 = 42 다. 생활 적응 지원 = 42 라. 사회적 관계 지원 = 43 마. 환경적응 지원 = 43 바. 가족 지원 = 43 2.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 개발 절차 = 43 가. 1단계: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 43 나. 2단계: 전이 지원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수들의 요구 조사 = 45 다. 3단계: 전이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특수교육전문가 자문 = 49 3.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 내용 = 50 D. 종속변인: 장애학생의 중학교 초기 학교적응 = 53 1. 종속변인 측정 도구: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 = 53 2.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 개발 절차 = 55 가. 선행문헌 고찰을 통한 학교적응 척도의 1차 문항 추출 = 55 나. 특수교육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 57 다.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58 E. 실험 설계 및 절차 = 63 1. 실험 설계 = 63 2. 실험 절차 = 64 가. 연구참여자 모집 및 선정 = 64 나. 전이 지원 프로그램 실시 = 65 다. 사후 검사 = 67 F. 자료 처리 방법 = 69 Ⅳ. 연구 결과 = 70 A.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초기 학교적응도에 미친 효과 = 70 B.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초기 학교적응도 5가지 하위 영역에 미친 효과 = 71 Ⅴ. 논의 및 제언 = 74 A. 논의 = 74 B. 연구의 제한점 = 82 C. 제언 = 83 참고문헌 = 85 부록 = 100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7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n Elementary to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Na, Su hyun-
dc.format.pageix,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