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Teacher Portfolios Between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Behaviors
Authors
김주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s the demand for disabled students to blend in with other students in the classrooms increase,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uch classes are required to have greater responsibilities and teaching abilities on behalf of better quality for integrated education. In this matter, a teacher portfolio was presented to promote better teaching abilities for instructors and also to give evaluations to each of them. Not only did this method enhance the teaching but also built a stronger interaction between colleagues to cooperate. The merits of the teacher portfolio can bring abou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 collaborating environment amongst the teachers in the schools.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where a collaborative teacher portfolio was applied to evaluate the affects on efficacy of teaching and ability of teaching disabled students. The subject were 26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an integrated classroom. The first 13 teachers were moderate. While, the rest of the 13 teachers were chosen regarding the similarity in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as well as similarity in backgrounds. The controlled content was on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application of a collaborative teacher portfolio. The teacher portfolio consisted of five stages in constructing the portfolio and collecting the material for teaching, which were the sharing of philosophy, the founding of purposes and plans of the portfolio, the gathering of data, analyzing the guidelines for teaching and self-reflection. Each stage was followed by a portfolio application process on their colleagues activities and a conference held among the teacher's council. This arbitration period lasted 8 week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gulations, the tools for measuring theefficacy of teaching disabled students from the report of Kim & Park(2004) and the revised version of examination tools that were developed by Enochs & Riggs(1990) in calculating the productivity of instructing disabled students. Also, documentary research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were done to develop a checklist for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ng handicapped students. To verify what kind of effect has been done on the quantitative values on teachingefficacy and ability of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 structure, which was done before and after, of controlled subject groups were applied. Also, to analyze the data between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ANCOVA has been executed.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tative values of the teaching efficacy and ability,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is current study has encapsulated such results as below: First, the subject group involving applications of collaborative teacher portfolios between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shown a meaningful increase in teaching efficacy on instructing disabled students. Such results has drawn us a result that by the current conduct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showed a greaterefficacy in teaching students that need special care. Second, the subject group involving applications of collaborative teaching portfolios between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in teaching abilities on instructing disabled students. Such results show a tendency of the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to perform better teaching abilities when they were given certain regulations. Third, evaluated teaching efficiencies and abilities for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on disabled students have shown a deep stable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portfolio constructed between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enhanced the collaboration between colleagues and increased the productivity of educating and instructing abilities for disabilities. Also, the development in these areas brough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on between colleagues in teaching were acknowledged and proved. For this reaso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teaching portfolio as a tool to tighten the link between colleagues and improve their abilities in teaching the students that need special care.;통합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장애 학생의 교수적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장애 학생을 담당하는 통합학급교사의 책무성과 교수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가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이에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간의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실제 한국 초등학교 상황에 적합한 효과적인 협력 실행 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논의에 따라 교사평가를 위한 대안적인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 교사포트폴리오는 교수 개선에 유용할 뿐 아니라 동료 교사 간의 상호작용과 평가를 촉진하여 협력의 촉매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교사포트폴리오의 이러한 특성은 통합교육 현장에서 통합학급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위한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 교수에 대한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장애 학생을 담임하고 있는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 28명으로 중재를 적용한 실험집단에 14명, 실험집단의 교사 및 학생 변인과 유사한 배경을 가진 교사들을 선정하여 중재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14명을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인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은 교사교육을 실시한 후 철학 공유, 교사포트폴리오 목적 및 계획 수립, 자료 수집, 자기반성과 동료장학 활동을 통한 교수실행과 실행 자료 수집, 교사포트폴리오 자료 선정 및 조직의 5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졌고, 중재는 9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에 대한 교수수행능력 측정을 위한 도구로 연구자가 개발한 통합학급교사 교수수행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김주혜, 박은혜(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와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사효능감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중재가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 교수에 대한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 점수에 미친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공분산분석(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 점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증가분에 대한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교사들이 통제집단의 통합학급교사들에 비하여 장애 학생에 대한 교수수행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중재가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에 대한 교수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제시한다. 둘째,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교사들이 통제집단의 통합학급교사들에 비하여 장애 학생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중재가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이었음을 제시한다. 셋째, 통합학급교사의 장애 학생에 대한 교수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 점수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은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교수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 증진을 통해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협력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교사평가의 대안으로 접근되었던 교사포트폴리오가 장애 학생 교수를 위한 통합학급교사의 교수 향상과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으로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