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함혜영-
dc.creator함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3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355-
dc.description.abstractThe 7th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focuses on taking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and emphasize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lthough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eam teaching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ability of students in 1995,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effectiveness of team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limited. This study seeks to explore which team teaching models are being used in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present conditions. To accomplish these, questionnaire method, interview by telephone, and direct contact and non-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or on four team teaching clas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achers wanted 'Native assistant teacher teach, Korean teacher assist type'. However, the most frequently used team teaching type was the ‘puzzle type’, which is what Native assistant teachers preferred. The 'Native assistant teacher teach, Korean teacher assist type' was the second type most frequently used. Second, the English class using team teaching was conducted in all grade levels upon the request of school masters. Although native assistant teachers preferred to conduct team teaching at one or two grades, most schools conducted team teaching class in all grade levels to give opportunities to talk with native speakers to as many students as possible. Third, Korean teachers favored the model of Korean English teacher’s team teaching class with a native assistant teacher, not with a homeroom teacher. Most elementary schools follow such requests. Fourth, the choice of Korean co-teacher influenced the team teaching type. Team teaching with homeroom teacher was easy to adapt with the 'Native assistant teacher teach, Korean teacher assist type'. On the other hand, team teaching with Korean English teacher was mostly conducted based on the ‘puzzle type’.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am teaching type in elementary school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Korean co-teacher (with homeroom teacher or with English teacher); grade levels where the team teaching class was conducted; and the roles of the Korean teacher and native assistant teacher.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eam teaching based on these types. For these reasons, further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teaching types is requested. The team teaching mode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further.;최근 영어교육은 문법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1995년도부터 공교육에서 원어민교사와의 팀티칭이 시작되었지만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팀티칭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조사, 전화인터뷰, 직접인터뷰 그리고 수업참관을 통해 서울지역 초등학교에서 원어민교사와의 팀티칭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12명의 교사와 전화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4개 학교를 방문하여 수업을 참관하고 직접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는 다른 유형의 팀티칭을 선호하고 있었다. 원어민교사는 팀티칭수업에서 한국인교사와 동등한 비중을 차지하기를 원한 반면 한국인교사는 원어민교사가 수업을 주도하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실제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팀티칭의 유형은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가 동등하게 협력하는 유형있었는데 이 유형으로 팀티칭 수업을 실시하면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다. 원어민교사가 수업의 중심이 되는 유형은 두번째로 많이 시행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한국인교사들 중 다수가 팀티칭 수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둘째, 팀티칭은 영어를 배우는 모든 학년인 3, 4, 5, 6학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하나나 두 개 학년에서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더 많았다. 3, 4, 5, 6학년 전체에서 수업을 진행하면 많은 학생들에게 원어민교사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어민교사의 입장에서는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반대로 하나 또는 두 개 학년에서만 집중적으로 팀티칭을 시행하면 원어민교사를 만날 수 있는 학생의 수는 제한되나 원어민교사의 수업 부담이 작고,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년에 한해서는 주당 수업시수가 많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교장·교감선생님은 3, 4, 5, 6학년 전체에서 팀티칭 수업을 하기를 원하였고 원어민교사는 하나 또는 두 개 학년에서만 수업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셋째, 팀티칭을 실시하는 교사는 영어전담교사와 담임교사 모두가 될 수 있으나 담임교사와 팀티칭을 실시하는 경우보다는 영어전담교사와 팀티칭을 실시하는 학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가 모두가 선호한 형태인데 원어민교사에게는 모든 담임교사와 팀티칭 수업 협의를 진행하는 것 보다는 한 명의 영어전담교사와 협의를 진행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인교사 역시 영어전담교사가 팀티칭 수업을 하기를 원했는데 이는 많은 한국인교사들이 생소한 수업 방식인 팀티칭에 익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에 자신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넷째, 팀티칭을 실시하는 한국인교사가 영어전담교사인가 혹은 담임교사인가에 따라 팀티칭 유형이 달라진다. 영어전담교사와 팀티칭을 실시할 경우에는 두 교사간 수업협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영어전담교사들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구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 협력형의 팀티칭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다. 반면, 담임교사와 팀티칭을 실시할 때는 1명의 원어민교사와 다수의 한국인교사와 수업협의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두 교사가 함께 수업을 준비하는 경우보다 원어민교사 혼자 수업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한국인교사들은 수업의 내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체 수업에 임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원어민교사 주도, 한국인교사 협력형의 팀티칭이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서울시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팀티칭 유형은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가 동등하게 협력하는 유형이며 팀티칭이 실시되는 학년은 3, 4, 5, 6학년 전체이고 팀티칭을 진행하는 한국인교사는 담임교사보다 영어전담교사인 경우가 더 많음을 설문조사를 통해 밝혔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팀티칭 유형은 팀티칭을 실시하는 한국인교사가 영어전담교사인가 담임교사인가, 팀티칭을 전체학년에서 실시하는가 하나 또는 두 개 학년에서 실시하는가 그리고 팀티칭 수업 시 원어민교사와 한국인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팀티칭의 각 유형별로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팀티칭을 실시함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델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용어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팀티칭의 정의와 유형 = 5 B. 한국에서 실시되는 팀티칭의 도입 배경 = 9 C. 팀티칭의 성공을 위한 교사의 역할 = 13 D. 선행연구 = 16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질문 = 24 B. 연구대상 = 24 C. 연구절차 = 25 D. 연구도구 = 25 E. 연구의 제한점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팀티칭 수업 실시 전 수업 형태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 = 28 B. 협의 후 결정된 수업 형태 = 34 C. 팀티칭에 대한 한국인교사의 만족도 = 57 D. 교사 연수프로그램 = 62 E. 인터뷰 결과 = 67 Ⅴ. 결론 및 제언 = 76 A. 결론 = 76 B. 제언 = 77 참고문헌 = 79 부록 = 84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59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서울지역 초등학교 영어과 원어민 활용 팀티칭 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eam teaching in English class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Seoul-
dc.creator.othernameHAM, HYE-YOUNG-
dc.format.pagev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