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경-
dc.creator이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25-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정보 이용 행태의 변화로 인해 교사와 학생들은 인쇄매체보다 멀티미디어매체에 더 익숙해지고, 적극적인 이용을 하게 되었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정보 이용 행태를 고려했을 때,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은 가장 쉽고, 빠르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초등 사회교과 단원 중 지도교육의 경우 시각자료의 부족과 함께 교과서에 실린 작은 시각 이미지에 의존한 교사 중심의 정보 안내의 학습에 그치고 있다. 교사들의 설문에 따르면 교사들은 필요한 다양한 그림 자료나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내용을 일일이 재편집하여 학습 자료를 만들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글맵과 초등사회 교과와의 매쉬업(Mashup:웹으로 제공하고 있는 정보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을 이용한 지도교육 콘텐츠의 제안이다. 즉, 지도학습 시 학습자에게 다양한 주제지도의 정보를 제시하고, 사진자료, 멀티미디어자료 등을 제공한다. 자기주도적인 학습 유도와 상호작용이 병행되는 학습활동을 위해 학습자가 직접 고장정보를 조사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이론 배경으로서 웹2.0과 구글어스, 구글맵의 의의와 사례를 살펴보고 지도학습의 이론 고찰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고찰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핵심 기술인 구글맵 API의 특징과 유형을 파악하고 사례조사를 하였다. 셋째, e-러닝 콘텐츠의 현황과 사례조사를 하며, 초등 사회교과 과정의 목표를 알아보고 일선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지도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지도교육의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지도교육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넷째, 구글맵과 지도교육 단원과의 매쉬업의 방안을 모색하고, 지도교육 콘텐츠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계한다. 본 콘텐츠를 이용 했을 때 사용자의 정보탐색 과정을 계획하고 설계와 정보등록과정을 설계하였다. 다섯째, 콘텐츠를 제안하고 이러한 콘텐츠를 모형화하여 교사들과 학습자에게 제시 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수업에 호기심과 열의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호기심과 흥미를 가져야만 동기부여가 성립되며 동기를 가진 학습자가 스스로 교과내용의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면 시각적인 형태의 정보와 실물자료를 제공받는 상호작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상호작용은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지도정보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추구한다. 본 연구에서의 학습방식은 교사가 단원을 제시하면 학습자가 직접 지도 콘텐츠를 통해 단원의 지역을 탐색해 나가고 해당 지역의 다양한 주제지도와 사진자료, 위성지도, 멀티미디어 자료를 접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지역의 위치 이해가 용이하다. 무엇보다 사용자가 직접 지역 정보를 등록하고 제공하면 고장의 이해와 지역의 특성 단원에서 학습자는 지도정보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질 것이며 지도학습의 향상과 함께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학습은 사회과 단원의 목표에 부합하는 학습이 될 것이다. 또한, 교사에게는 다양한 주제지도 정보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여 사회교과 지도교육의 향상과 교사의 자료수집 시간 단축에 의의를 둔다. 다만 본 연구가 초등 사회교과 지도학습에 있어 인터페이스의 설계와 모형의 제안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주사용자인 학습자의 모형적용에 따른 효과 검증과정이 병행이 되는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구글맵과의 매쉬업을 통한 다양한 교육 콘텐츠의 개발을 기대한다.;With a change in the means of using information, teachers and students are getting more and more familiar with multimedia than with printed media, and are vigorously using multimedia. Given the change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Internet can provide information the fastest and easiest. However, the map curriculum of the social subject division in elementary school is lacking in visual materials, depends only on small visual images published in textbooks, and centers on teachers' explanation of inform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should search diverse necessary picture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particular themes, and reedit such searched contents one after another to make learning materials, which took a long time and complicated procedures.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se problems by proposing map education contents using a mashup of Google Maps and social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 mashup refers to a process by which information and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Web are combined to make new software, service or database). Likewise, this aims to provide diverse information on maps concerned in class for students, as well as photo materials and multimedia materials. To induce self-initiated learning and facilitate learning activities with interaction, the research also seeks to enable learners to survey and register the information of their home towns. For research methodology, first, the research examined Web2.0, Google Earth, Google maps, and related actual cases, theories on map learning, and self-initiated learning. Second, the research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Google Maps API, the key technology in this research, and surveyed related cases. Third, the research surveyed the status of e-learning contents, and their actual cases, reviewed the objects of the social subject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nd surveyed the status of map education targeting teachers. Also, it surveyed prior research on map education to work out measures to improve map education. Fourth, the research worked out measures to mash up Google Maps and textbook units of map education, and designed the interface information for map education contents. With regard to the use of these contents, it planned and designed users' information search proc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fficient self-initiated learning, through this process, should motivate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es with curiosity and interest. Likewise, learners should have interest in the process of learning with curiosity to be motivated, and if such motivated learners voluntarily search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subject contents, they will be able to interact with visual information and materials. Interaction is a key element for education, and this research pursues an activate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map information. For the proposed learning method, if a teacher presents a contents unit of the textbook, learners will be able to explore regions shown in the unit through map contents, and to access the related region's diverse theme maps, photo data, satellite maps, and multimedia data. Above all, this method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location of various regions. If users can directly register and provide regional information, learners will be able to interact with the information of maps in the unit of the understanding of their tow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us improving map learning and producing effective education. This learning will meet the objectives of social subject units. Also, the research seeks to provide teachers with diverse information of theme map, and multimedia materials, so as to improve map education of the social subject curriculum, and to help curtail the time that teachers take to gather data. This research focuses on designing the interface in social subject curriculum and map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on proposing this model;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model according to its application to learners. Also, on the basis on this research, diverse education content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through the mash-up with Google Ma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2 1.3. 연구의 제한점 = 3 2. 이론적 배경 = 5 2.1. 웹2.0과 구글맵.구글어스의 고찰 = 5 2.1.1. 웹2.0과 구글맵.구글어스의 특징 및 사례 = 5 2.1.2. 구글맵 API의 특징 및 매쉬업 사례 = 10 2.2. 지도교육 콘텐츠 사례 = 13 2.3. 지도학습의 본질과 선행연구 고찰 = 16 2.4. 자기 주도적 학습의 의의와 e-러닝의 의의 및 사례 = 19 3. 초등과정 사회과 지도.지리 교육의 고찰 = 25 3.1. 현 초등과정 사회과 교육의 현황과 실태 = 25 3.1.1. 사회교과 과정의 목표와 고찰 = 25 3.1.2. 사회과 교육현장의 실태조사 = 27 3.3. 지도교육 개선 방향 고찰 = 41 4. 콘텐츠 설계 및 모형화 = 44 4.1. 콘텐츠 설계 계획 및 설계과정 = 44 4.1.1. 인터페이스 설계 계획 및 설계과정 = 44 4.1.2. 구글맵 API와 지도교과의 매쉬업 방안 = 48 4.1.3. 사용자의 정보탐색 과정 = 50 4.1.4. 사용자의 정보등록 과정 = 53 4.2. 콘텐츠 제안 = 56 4.3. 프로토타입의 모형화 = 62 4.3.1. 키워드 검색 = 62 4.3.2. 카테고리분류 검색 = 67 4.3.3. 정보등록 = 71 4.4. 콘텐츠의 실제 및 검증 = 77 5. 결론 및 제언 = 82 참고문헌 = 84 부록 = 86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4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구글맵API 매쉬업을 이용한 지도교육 콘텐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생3,4학년 사회과 주제지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tents of Map Education Using the Google Map API Mashup-
dc.creator.othernameLEE, Hye-kyung-
dc.format.page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