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경-
dc.creator김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78-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writing anxiety and functional language when returning Korean students from study abroad learn Korean. How their writing anxiety changed was studied, as well as the aspect of their functional language through dialogue journal writing using email in a real writing activity.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One, the object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other preexisting studies related to dialogue journal writing using email were review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perimentally whether a dialogue journal writing using email decrease their writing anxiety or not in real writing when they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lso, the aspect of the functional language in their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in multiple aspects which writing method would be effective and appropriate in their real writing. Most preexisting studies about a dialogue journal writing were review articles based on the teachers’ direct, personal experiences during class. Most other articles were qualitative studies to analyze students’ writing themselves. Experimental studies about the change of emotional aspect in students’ writing are currently rare. In Chapter Two, the theoretical base and general design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As its theoretical basis, a dialogue journal writing is based on process oriented approach, the interaction hypothesis, communicative context and learner oriented theory. As a theory related to anxiety,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writing anxiety following it were discussed. Email is theoretically based on constructivism. The suggestive core content of constructivism is that the human being’s knowledge is created and composed rather than being discovered or remade. It insists that objective truth or knowledge is made from a learner’s experience, not from the learner’s external environment. In Chapter Three, the study method was described. Subjects were a single group of high level learners who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y and attended foreign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explained to those subjects with simple booklet in advance before the study. The total duration of this study was twelve weeks and an email as a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sent twice a week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researcher. The object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to those subjects in the first week. In the last week, a survey was conducted. Another survey about learning attitude, learners’ reaction to dialogue journal writing, and writing anxiety was done before and after the writing in order to know the learners’ response. Another survey was done in the middle of the study and made an interview individually two times during the study to encourage participation. To study functional language, all subjects did dialogue journal writing. The length and context of it was controlled (adjus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ability and interest. The teacher also did dialogue journal entry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long with her students. However, the teacher didn’t evaluate or make a connection directly, and guided the students to realize and to correct their own mistakes. The type of sentence written in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informal spoken sentences used in general talking. Students were instructed to write a dialogue journal writing freely at anytime and any place, determined by themselves, and to send it in via email. In Chapter Four, there wer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about them. Survey results showed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an effective method in decreasing the students’ writing anxiety and enhancing self-confidence in writing. It also showed that a dialogue journal wri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is highly effective in multi aspects. The final result was that functional language was used with many varieties in a dialogue journal writing with all above results, my conclusion was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of writing in communication and could be used very effectively. In Chapter Five,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 were described. This study experimentally showed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using email decreased the students’ writing anxiety in real writing when they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writing activity in their real writing by studying the aspect of the functional language in their dialogue journal writing.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by survey how a dialogue journal writing changes students’ definition of writing anxiety. Based on this, if other studies of wri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ccumulated, it will be helpful to upgrade the level of Korean education internationally.;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일지 쓰기(dialogue journal writing)가 대화일지 쓰기가 귀국 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감 및 기능적 언어 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주된 연구문제에 구체적으로 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자 우편을 이용한 대화 일지 쓰기를 함으로써 향후 이 활동을 통하여 실제로 쓰기 활동 시 학습자들의 쓰기에 대한 불안감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 지 살펴보고, 아울러 대화 일지 쓰기에 나타나는 기능적 언어(functional language)의 양상도 같이 고찰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했으며, 전자 우편을 이용한 대화 일지 쓰기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했다. 전자 우편을 이용 한 대화 일지 쓰기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귀국 교포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제 쓰기 활동을 할 때, 불안감을 감소시키는지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대화 일지 쓰기에 나타난 기능적 언어의 분포 양상을 살펴서 귀국 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활동에 어떤 쓰기 학습이 효과적이고 적합한 쓰기 활동인지를 밝히는 데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이는 대화 일지 쓰기에 나타난 기능적 언어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대화 일지 쓰기가 상호 작용에 근거한 다양한 이점을 가진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쓰기 활동인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대화 일지 쓰기를 다각도에서 검증하기 위함이다. 선행연구를 검토 한 결과 지금까지의 대화식 일지 쓰기가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실제 현장에서 교사가 느낀 경험을 기반으로 한 문헌 연구 중심 이었다. 대화일지 쓰기의 연구는 대화일지 쓰기에 기록된 학생의 글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실제로 정의적인 측면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실험 연구는 다소 미비한 편이었다. II장에서는 전자 우편을 이용한 대화 일지 쓰기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연구 문제 설정 및 연구 방법 설계에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먼저, 대화 일지 쓰기는 과정 중심 쓰기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과정 중심 쓰기와 함께 상호작용가설과 의사소통상황중심, 학습자 중심 이론 등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아울러 불안감과 관련된 이론으로 외국어 학습 불안과 이에 따른 쓰기 불안을 고찰했다. 전자우편에 관해서는 구성주의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었다. 구성주의에서 핵심적으로 전제된 내용은 인간의 지식은 발견되거나 재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창조되고 구성된다는 데 있다. 구성주의에서는 객관적인 진리나 지식이 학습자의 경험에 의거하여 구성되는 것이지 학습자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III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국내의 외국인 학교에 재학중인 귀국 동포 학생 중 고급수준의 학습자들을 단일 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실험에 참여할 학습자들에게 대화일지 쓰기의 안내문을 통해 대화일지 쓰기를 쓰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실험 기간은 12주 동안으로 일 주일에 2회에 걸쳐 대화일지 쓰기를 교환 하기로 했다. 첫 주와 마지막 주에는 대화일지 쓰기 실험에 대한 취지 및 방법을 설명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화일지 쓰기를 쓰기 전과 후에는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태도, 대화일지 쓰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쓰기에 대한 불안감”이라는 내용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실도를 높이기 위해 실험 중기에 중간 설문지와 2회에 걸쳐 면접을 하였다. 다음으로 언어 기능을 위한 연구를 위해 대화일지 쓰기를 실제로 쓰게 하였다. 대화일지 쓰기의 내용과 길이는 학습자의 능력과 화제에 맞춰 조절해 나갔으며 교사는 동등한 대화자의 입장에서 질문과 대답을 통해 대화일지 쓰기를 써 나갔다. 그리고 직접적 평가나 오류 수정은 하지 않았고 답 글을 통해서 바른 표현을 보여주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스스로 깨닫고 수정하도록 지도하였다. 또 대화체는 일반적인 대화에서 사용되는 비격시체를 사용하였다. 대화 일지 쓰기는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자신이 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자유롭게 써서 전자 우편으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 문제 별 연구결과를 밝히고 그에 따른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먼저 설문지 결과 대화일지 쓰기가 학습자의 쓰기 불안감을 감소시켜주며, 쓰기에 대해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는 데에 효과적인 쓰기 활동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화 일지 쓰기가 학습 태도 및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화일지 쓰기의 효용성은 다각적인 면에서 높다는 것이다. 마지막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대화일지 쓰기에서는 기능적 언어사용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대화일지 쓰기는 의사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쓰기 학습법으로 그 활용 가치가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V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을 기술했다. 본 연구는 전자 우편을 이용한 대화 일지 쓰기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귀국 교포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제 쓰기 활동을 할 때, 불안감을 감소시키는지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대화 일지 쓰기에 나타난 기능적 언어의 분포 양상을 살펴서 귀국 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활동에 대화 일지 쓰기가 효과적이고 적합한 쓰기 활동인 것을 밝히었다. 본 연구는 대화일지 쓰기가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설문지 분석을 통한 실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발판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쓰기 활동에 관한 다른 연구가 축적된다면 한국어교육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확대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 7 1.2.1. 연구 문제 = 7 1.2.2. 연구 가설 = 7 1.3. 용어의 정의 = 7 1.3.1. 대화일지 쓰기 = 8 1.3.2. 쓰기 불안 = 8 1.4. 선행 연구 = 8 II. 이론적 배경 = 20 2.1. 쓰기 = 20 2.1.1. 쓰기의 정의, 특성 및 중요성 = 20 2.1.2. 쓰기 교육 = 22 2.1.3. 쓰기 교육의 유형 = 25 2.1.3.1. 결과 중심 쓰기 교육 = 25 2.1.3.2. 과정 중심 쓰기 교육 = 28 2.1.3.3. 장르 접근법 = 32 2.1.3.4. 의사소통 중심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법 = 33 2.1.4. 쓰기의 유형 = 34 2.1.5. 과정 중심 쓰기와 대화일지 쓰기 = 36 2.2. 대화일지 쓰기 = 41 2.2.1. 대화일지 쓰기의 배경 = 41 2.2.1.1.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적 상황의 제시 = 41 2.2.1.2. 학습자 중심 = 43 2.2.1.3. 의사소통 중심의 문법 지도 = 44 2.2.2. 대화일지 쓰기의 정의 = 45 2.2.3. 대화일지 쓰기의 종류 = 48 2.2.4. 대화일지 쓰기의 역사 = 49 2.2.5. 대화일지 쓰기의 실제 = 51 2.2.6. 대화식 일지 쓰기의 특징 = 52 2.2.7. 대화일지 쓰기의 장점 및 효과 = 54 2.2.8. 지도 시 고려할 점 = 58 2.3. 불안감 = 62 2.3.1. 외국어 학습 불안 = 62 2.3.2. 쓰기 불안 = 68 2.3.2.1. 쓰기 불안의 정의 = 68 2.3.2.2. 쓰기 불안의 원인 = 69 2.4. 전자 우편 = 71 2.4.1. 구성주의적 관점 = 71 2.4.2. 구성주의와 전자 우편 = 72 2.4.3. 전자 우편 활용의 교육적인 효과 = 74 2.4.4. 전자 우편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학습 = 77 III. 연구 방법 = 80 3.1.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 80 3.2. 연구 대상 = 83 3.3. 연구 도구 = 84 3.3.1. 쓰기 불안감 측정 도구 = 84 3.3.2. 학습에 대한 태도 및 대화일지 쓰기에 대한 반응 측정 도구 = 89 3.4. 연구의 제한점 = 93 IV. 결과 및 논의 = 94 4.1. 대화일지 쓰기가 쓰기 불안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 94 4.1.1. 대화일지 쓰기를 쓰기 전과 후의 쓰기 불안감 변화 = 94 4.1.1.1. 쓰기에 대한 자신감(WAT1) 변화 = 95 4.1.1.2. 쓰기에 대한 거부감 (WAT2) 변화 = 98 4.1.1.3. 쓰기 평가에 대한 불안감(WAT3) 변화 = 100 4.2. 대화일지 쓰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 102 4.2.1. 학습자들의 대화일지 쓰기 전의 반응 = 102 4.2.2. 학습자들의 대화일지 쓰기 중간의 반응 = 118 4.2.3. 학습자들의 대화일지 쓰기 후의 반응 = 125 4.3. 기능적 언어 사용에 대한 분석 = 138 4.3.1. 기능적 언어 사용 분석 = 139 4.4. 대화일지 쓰기의 질적 분석 = 142 4.4.1. 대화일지 쓰기 사례 1 = 142 4.4.2. 대화일지 쓰기 사례 2 = 143 4.4.3. 대화일지 쓰기 사례 3 = 144 4.4.4. 대화일지 쓰기 사례 4 = 145 4.4.5. 대화일지 쓰기 사례 5 = 146 4.4.6. 대화일지 쓰기 사례 6 = 147 4.4.7. 대화일지 쓰기 사례 7 = 151 4.4.8. 대화일지 쓰기 사례 8 = 152 4.4.9. 대화일지 쓰기 사례 9 = 152 4.4.10. 대화일지 쓰기 사례 10 = 153 V. 결론 및 제언 = 155 참고문헌 = 161 부록1: 대화일지 안내문 = 177 부록2: 사전 설문지 = 179 부록3: 중간 설문지 = 187 부록4: 사후 설문지 = 190 Abstract = 1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9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화일지 쓰기가 귀국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자 우편을 이용한 대화일지 쓰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Writing When Returning Korean Students from Study Abroad Learn Korean : Focusing on Dialogue Journal Writing Through Email-
dc.creator.othernameKim, Su-kyoung-
dc.format.pagexiii, 2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