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공립 유치원 교사의 급식지도 실태와 이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Title
공립 유치원 교사의 급식지도 실태와 이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Other Title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struction on Children's use of Food Service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Authors
이선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급식운영의 실태와 교사의 급식지도 실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급식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급식지도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급식지도내용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공립유치원 중 급식을 실시하는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총 150명이었고, 학부모는 총 250명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김지숙(2003), 김은희(2004), 이명란(2006)의 논문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고 일부는 연구자가 제작한 교사용과 학부모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급식지도 내용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 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급식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의 실제 지도 부분과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급식 배식유형으로 교사는 실제로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배식하는 것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이에 대해 학부모 역시 교사와 학부모가 같이 배식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인식을 하였으며, 급식분량에 있어서는 학부모가 교사보다 유아의 개별적인 고려를 더 강조하였고, 급식 소요시간에 대해서는 교사보다 학부모가 다소 짧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의 급식지도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있어서는 식사 속도가 느린 유아에 대한 지도, 먹기 싫은 음식을 몰래 버리는 유아에 대한 지도, 좋아하는 음식만 더 먹으려는 유아에 대한 지도, 식사를 빨리 한 유아들에 대한 지도, 가정과의 연계 필요성의 이유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식사 속도가 느려 시간 안에 다 못 먹는 유아에 대해서 교사는 음식량을 줄여서 배식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이에 대해 학부모는 배식을 빨리 받을 수 있도록 배식 순서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먹기 싫은 음식을 몰래 버리는 유아에 대한 지도에 있어서도 교사는 그 자리에서 잘못된 행동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이에 대해 학부모는 나중에 따로 불러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음식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더 먹기를 원할 때 교사는 남은 음식을 다 먹어야 더 주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이에 대해 학부모는 다 먹을 것을 약속하고 더 주기를 바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식사를 빨리 한 유아들의 지도에 있어서도 학부모는 유아들이 자유롭게 휴식을 취하는 것을 가장 많이 원하였고, 이에 대해 교사는 책을 보거나 제한된 조용한 활동을 하도록 지도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교사의 급식지도 내용에 대한 실태와 이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에서는 교사의 실제 부분과 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식사 전, 식사 중, 식사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식사 전의 급식지도 내용에서는 모든 문항에 있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교사의 평균 점수가 학부모보다 높았으며, 특히 손 씻기 지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교사 4.91, 학부모 4.73으로 전체 문항 점수 중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식사 전의 식사예절과 태도에 관련된 문항 중에서 어른이 먼저 수저 들고 나서 식사하기가 교사의 평균 점수 2.51로 전체 문항 중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 학부모는 4.26으로 높은 인식을 보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식사 중의 급식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17개의 문항 중 절반이 넘는 9개의 문항에서 차이를 보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편식지도의 내용에서는 싫어하는 음식 먹기, 식사예절 및 태도에서는 바른 자세, 식사도구의 적절한 배치, 흘리지 않고 먹기, 식사시간에 돌아다니지 않기, 식사시간 내에 다 먹기의 문항들에 대한 점수가 학부모보다 교사가 높은 반면 학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들은 식사예절 및 태도에 관련된 것으로 식사도구의 올바른 사용법, 꼭꼭 씹어 먹기, 즐거운 마음으로 식사하기의 3문항이었다. 식사 후의 급식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식사예절과 및 태도 문항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4개 문항 중 3개 문항에서 학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자신이 사용한 식사도구(식판, 그릇 등) 갖다 놓기에서는 교사가 높은 인식을 보인 반면, 식사 후 이 닦기, 먹은 자리 치우기, 식사 후 감사의 마음 표현하기에서는 학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급식지도의 어려운 점으로 교사는 교사 대 유아의 높은 비율로 인해 개별적인 지도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응답했고 다음으로 편식지도, 가정과의 연계 등도 어려운 점으로 들었다. 한편 학부모는 급식지도에 바라는 점으로 편식지도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 즐거운 식사 분위기, 먹기 싫어하는 음식 먹이지 않기, 올바른 식사예절 등을 들었다.;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way food services were operated in public kindergartens and looked into parents' perception of the way the teacher instructed students on the use of food servi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1. How are food services actually operated in public kindergartens? How do parents perceive the operation of food services in public kindergartens? 2. How do parents perceive the way the teacher instructed students on the use of food service? 3. How do parents perceive instructions the teacher give to students on to the use of food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50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that operated a lunch food service and a total of 250 parents. As for research instruments, a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s and a questionnaire for the parents, which the researcher produced after modifying and complementing questionnaires used in Kim, Ji-suk's(2003), Kim, Eun-hui's(2004), or Lee, Myeong-ran's (2006) thesis, were emplo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calculat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12.0. In additi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way the teacher instructed students on the use of food service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s the teachers gave on children on the use of food service and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s were examined. As for the most desirable food serving type, the highest number of teachers answered food serving by both the teacher and the parent. The parents also showed the same reaction regarding the desirable food serving type. However, in terms of the amount of food served, the parents emphasized giving individual consideration on each of the children more than the teachers. In addition, more parents thought the food service time was a bit short. Second, the parents did not agree to the way the teachers gave instructions to the following children: children who eat very slowly; children who secretly throw away food they do not like; children who want to eat only what they like; children who eat fast.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also displayed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linking school and household to teach children eating habits. As for children who eat slowly, lots of teachers chose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served to such students, whereas parents answered the order of serving food should be arranged to allow them to be served faster than other children. In addition, with respect to children who secretly threw away food they did not like, the teachers scolded them for their inappropriate behaviors on the spot while the parents said it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teacher to talk about the matter later after they finish their meals. As for children who wanted more food even before they did not finish their food, the teachers gave food only after they finished their food, while the parents wanted to give more food if they promised to finish their food. With regard to children who finished their meals fast, the parents wanted them to have rest, whereas the teachers instructed them to read books or quietly do limited activities.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 the teachers gave instructions on the use of food service and the parents' perception of appropriate instruc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meal were examined. At all the items related to instruction on the use of food service before the meal, both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received high scores, though they displayed some differences. Overall, the mean scores of the teach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parent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instruction of washing hands, both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received the highest scores at 4.91 and 4.73 respectively. Furthermore, among items related to dining etiquette before the meal,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item, stating to eat only after grown ups first eat. While the teachers received the lowest scores of 2.51, the parents recorded 4.26 at the item. As to items related to instructions during the meal, both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overall received high scores, though they showed differences in scores of 9 out of 17 items. The teacher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parents at the following items: eating food one does not like, with regard to instruction on an unbalanced diet; appropriate dining position, the proper placement of dining utensils, eating food without dropping it, remaining seated during the meal, and finishing the meal within the food service time, with regard to dining etiquette. The parents, on the other hand,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teachers at three items related to dining etiquette. They are the proper use of dining utensils, chewing food well, and eating pleasantly. As for instructions after the meal,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s related to dining attitudes and etiquette. At 3 out of 4 items, the parent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teachers. With regard to returning dining utensils (tray, dish, and so on) one used, the teacher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parents. Whereas, the parent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teachers at the items, brushing teeth after the meal, cleaning the site after the meal, and expressing gratitude. With regard to difficulties of instructing on the use of food service, the most frequent answer by the teachers was the difficulty of giving individual instruction on each of students, followed by instruction on an unbalanced diet, linking with household. As for what the parents wanted with regard to instruction on the use of food service,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instruction on an unbalanced diet, followed by eating the meal in a pleasant atmosphere, not forcing children to eat food they do not like, and instruction on proper dining etiquet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