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Title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educational activities of a kindergarten for children’s adjusting to an elementary school are working and what teachers plan and put it in action like
Authors
양선화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pecific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What do kindergartens do for children adjusting to an elementary school? 2. What do teachers think of the activities for children’s adjusting to an elementary school? 293 teachers working for a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and taking on 5-year-old children answered for this study through e-mails and mails. Questionnaire for this survey has been revised five times and the raw data is processed by SPSS. χ²(Chi-square) verification also has been done to know if there ar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or not.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are running the program for students’adjustment to an elementary school. The main purpose of those programs is children’s natural transmit from a kindergarten to an elementary school. They answered that they mostly practice 1 to 10 times, and private kindergartens are practicing it more frequently. The majority of the replied answered that the programs are done when needed or in DEC. through FEB. It is done between the homeroom teachers or through the council of teachers. Second, the ratio of consulting with an elementary school is only a half. Most of the public schools are consulting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to face or by the phone while most of the private schools don’t. Third, Teachers refer to directions of Ministry of Education most. Fourth, positive recognition o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making a good relationship with a homeroom teacher are considered as most important. Looking around an elementary school’s facility is most preferred among the ways of activities. Fifth, the biggest reason for not doing adjustment programs is that it’s too far to go to an elementary school and they don’t have guidelines from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 of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for children’s adjusting is bellow: First, most of the teachers think ofha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Adjustment activities, they think it most important looking around an elementary school’s facilities. Second, lack of help from an elementary school is considered as the biggest difficulty. Third, the urgent to be done is a learning program for both an elementary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 says that teachers and managers of an elementary schoolar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kindergarten children’s adjustment programs, so effort to understand respective curriculum should be done. In addition, teachers ask for a range of opportunities to learn and developing a variety of program.;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만5세 담임교사 293명이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 조사로 전자메일과 우편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용 설문지는 SPSS/PC+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통계 처리하였다. 또, 기관 유형에 따라 실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의 실태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은 대부분의 교사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하는 이유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자연스럽게 전이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리고 유치원과 다른 교육환경에서 겪을 수 있는 유아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가 많았다. 실시 횟수는 년 1~5, 5~10회가 대부분이었으며, 사립에서 좀 더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관련 활동은 필요할 때마다 실시하거나 12월~2월 중에 실시하는 비율이 많았다. 계획은 대부분이 담임교사가 세우거나 교사협의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교육활동을 실시 할 때 초등학교와 협의한다와 협의하지 않는다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국공립에서는 다수가 초등학교와 협의하는 반면, 사립에서는 다수가 협의하지 않았다. 유치원에서는 담임교사가 초등학교에서는 1학년 부장교사가 협의 대상이 되는 비율이 많았다. 협의 방법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직접 방문과 전화를 통해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참고하는 자료는 교육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 연수 자료, 동료 교사의 조언, 교육부나 시도교육청 발간 장학 자료, 인터넷 자료, 초등학교 교사의 조언, 관련 전문서적, 원내․교내 자율장학 또는 동아리 발간 자료, 다른 유치원의 교육 계획서, 학부모의 조언 순으로 많이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활동 내용은 친구 사귀기 및 우호적 교우관계 형성하기, 유치원과 다른 물리적 환경 이해하기, 초등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담임교사와 올바른 관계 형성하기, 초등학교의 질서 및 규칙 지키기, 초등학교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 갖기 순으로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활동 방법으로는 초등학교 시설 둘러보기,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행사 참여 및 유치원·초등학교의 행사 공동 개최, 초등학교 수업참관하기, 유치원·초등학교 어린이의 공동 학습, 초등학교 선생님 초청해서 이야기 듣기, 유치원에서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부모교육 강연회, 초등학교 모의수업하기 등의 순으로 많이 실시하였다. 다섯째,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초등학교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교육청 지침이 없어서라는 이유가 많았다. 이어 초등학교 관리자의 이해 부족, 초등학교 관리자의 협조 부족, 교사 관심 부족, 유치원 관리자의 이해 부족, 유아에게 필요하지 않아서, 교사의 지식이 부족해서, 시간이 부족해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활동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 영역 중에서는 친구 사귀기 및 우호적 교우관계 형성하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활동 방법으로 초등학교 시설 둘러보기가 가장 중요하며, 초등학교 수업 참관, 부모교육 강연회, 행사 참여 및 공동 개최, 초등학교 모의수업에 대해서는 비교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활동을 실시하면서 가장 큰 장애로 초등학교 관리자의 협조 부족, 교육청의 지침 미비, 초등학교 관리자의 이해 부족, 프로그램 및 자료 부족 요인을 들었다. 셋째,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유치원 교육활동을 위하여 가장 시급히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연수 실시, 교육청의 지침 마련, 우수사례 발굴 및 프로그램·자료 개발, 유치원과 초등학교 관리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연수라고 하였다. 넷째, 개선방안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의 교사와 관리자의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깊이 있는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연수 기회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시․도교육청과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