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5 Download: 0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저녁 일과시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저녁 일과시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During the Night Daily Routine at Home.
Authors
문회원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ffec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 in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during the night daily routine at Home. In this study,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showing problem behaviors at home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functional assessment process designed to yield a usefu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s. Structured interviews and direc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which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at home. Based on Hypotheses derived from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 multicomponent intervention was design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children's problems,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sessions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during the night daily routine at home was reduced by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 multicomponent intervention in which families participated. Secondly, the effects of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participated in by families proves that it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to modify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during the night daily routine at home.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y demonstrated that functional assessment identified variables that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each participants' problems and appropriate behaviors. As a result, this data contributes to the growing recognition of how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families participated in can be influenc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비혐오적이면서 상황에 적절한 긍정적인 방법으로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접근하는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은 아동의 문제행동 자체의 소거만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문제가 발생한 선행사건과 사후결과까지 고려하는 기능분석과 그것을 통한 다중요소 중재를 그 주요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연구들은 학교상황이나 비교적 구조화된 환경에서 발생하는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의 소거에 목표를 두고 실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장애아동의 가족지원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문가들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시선을 돌리게 되었고, 이와 함께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으로 인한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의 삶의 질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으며, 무엇보다 훈련된 전문가의 지원이 가정 안에서도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외국에서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가족의 역량강화를 목표로 한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유치원, 학교, 그리고 구조화된 통합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에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가정에서의 문제행동을 다룬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가족지원의 필요성과 가정 내에 가족과 함께 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가정 안에서 저녁일과 중 발생하는 문제행동에 관하여 긍정적 행동지원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인천시 부평구에 소재한 B복지관 조기교실로부터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을 추천받은 후, 연구자의 평가를 통하여 선정된 자폐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기능평가와 중다요소 중재를 통해 각 대상유아의 가정과 문제행동에 적합한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가족과 함께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특별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일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다요소 중재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중재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종결 4주 후 3회기 동안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3명의 자폐유아 모두의 저녁 일과시간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으로 감소된 3명의 자폐유아의 저녁 일과시간 문제행동이 중재 종료이후에도 유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 안에서 의미 있는 중재자로서 가족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체계적인 가족지원 서비스 확대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리고 전문가와 가족 간 협력을 통하여 대상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부모와 가족의 역량강화, 더 나아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본질적인 내용을 가정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국내에서도 가족과 함께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