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금진-
dc.creator이금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47-
dc.description.abstract최근에는 발달지체 영유아들이 언어 및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을 경우, 장애 영유아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지도에 있어서 부모나 양육자들에게 교사나 임상가의 역할을 하도록 요구되어지는 접근방법들이 강조되어 오고 있다. 부모나 양육자들에게 교사로서의 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이러한 부모교육 또는 부모참여방법은 가족을 전문가들과 동등한 멤버로 보며,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모든 단계를 포함한 조기중재의 전체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부모에게 교수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나오게 된 접근방법으로 이러한 접근방법이 효과적임을 발표하는 선행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지도 교육 현장에서 언어치료를 할 때 부모교육 또는 부모참여프로그램의 필요성이나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확대되고 있어서 몇 군데의 기관이나 시설에서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시하는 곳이 많지 않고, 또 대부분의 부모교육 및 부모참여프로그램이 부모-교사 일대일의 부모교육, 또는 집단 부모교육프로그램으로 실시되고 있어서 부모교육 및 부모참여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들이 많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조기개입에 있어서 언어치료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유용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발달지체 영유아들의 부모들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은 발달지체 영유아들에게는 주 1회 30분씩의 언어치료가 제공되고, 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들에게는 어머니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로 구성된 소집단 부모교육 9회기와 어머니들에게 개별적으로 비디오 피드백을 주는 개별상담 3회기가 포함되어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발달지체 영유아 22명과 그 어머니 22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발달지체 영유아 11명과 그 어머니들 11명씩 구성되었다. 그리고 연구의 실시방법은 실험집단 11명의 영유아들에게는 주 1회, 30분씩 언어치료와 실험집단 11명의 어머니들에게는 2명-5명의 소집단을 구성하여 매주 1회, 1시간씩, 9회기의 부모교육과 3회기의 개별상담으로 구성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이때 부모교육은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을 증진시키고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개별상담은 1회기 당 총 30분으로 10분간은 학습, 10분간 영유아와의 놀이과정 비디오 촬영, 10분간 비디오 피드백 제공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통제집단 11명의 영유아들에게는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주 1회 30분씩 언어치료가 제공되었으나, 11명의 어머니들에게는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과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그리고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용된 종속변인의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들의 상호작용행동은 Mahoney가 개발한 어머니 평정척도(MBRS: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를 우리나라에서 타당도를 연구하여 수정한 K-MBRS로 평가하였고, 영유아들의 상호작용행동은 Mahoney의 아동 행동 평정척도(CBRS; Child Behavior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역시 우리나라에서 타당도를 연구하여 수정한 K-CBRS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유아의 언어능력평가는 영유아의 어휘능력, 구어 기능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과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그리고 구어기능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어머니와 영유아와의 자연스러운 놀이과정 15분간 찍은 자료와 연구보조자와의 놀이과정 15분간, 총 30분간 찍은 비디오 자료를 사용하여 관찰하고, 전사하여 분석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휘능력평가는 어머니들이 사전과 사후에 평가한 MB CDI-K 표현어휘력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 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와 통제집단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의 변화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은 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들의 상호작용행동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영유아와 통제집단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의 변화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은 영유아들의 상호작용행동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영유아와 통제집단 영유아의 언어능력의 변화정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점수의 차는 실험집단의 경우가 더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에서 두 집단 모두 언어능력이 향상된 결과는 언어치료를 받지 않고 있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단 영유아들에게 주 1회 30분씩 개별언어치료가 제공되었기 때문에 똑같이 언어발달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과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부모교육 또는 부모참여프로그램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구성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의 형태나 구성이 언어치료 현장에서 어머니들을 치료자로서 확대 또는 언어 및 의사소통 촉진자로서의 교육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자료라고도 할 수 있겠다. 또한 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언어치료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시할 수 있는 연구라는데 중요한 의미를 둘 수 있다.;It is recognized that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lay a critical role on their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This recognition results in developing programs that increases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on. However, these programs are implemented on the individual or large-group basis, which may not appropriately address the language/communication needs of infa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interaction behavior and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in which there were an experiment and a control group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small groups (2-5 persons per group) were formed out of 11 mother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provided with one-hour parent education every week for 9 times out of 12. The individual session was taken for 30 minutes, which comprised a 10-minute consultation, a 10-minute video recording of a mother's play with her child, and a video feedback for another 10 minutes. During the video feedback, special care was taken for the mothers who lacked technical skills for the play time with their child. Along with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language intervention was given to infants in the experiment group for 30 minutes per week.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not given to the control group, while it was provided with only 30 minute language interventions as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articipant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ere measured with Mahoney's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and Child Behavior Rating Scale. Also, the language abilities of the children were examined using the language-related data from 15 minute sessions of natural play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and 15 minute sessions of natural plays with speech therapist. The social validity of the program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mother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existed between those who receive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econd,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children i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re improved.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abilities between the groups. Fourth, the mothers who receive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reported that they satisfied with it in terms of gather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receiving emotional and child care-related support. Such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both mothers and children's interactive behaviors and children's communicative abilities. Although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implemented parent education program might have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abilities. It is shown that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promote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teractions and their communication skills. Also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can be an example for those who seek for effective programs that increase both young children's language skills and interac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7 C. 용어 정의 = 8 Ⅱ. 이론적 배경 = 10 A. 발달지체 영유아 발달을 위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 = 10 1. 언어치료에 있어서 부모참여프로그램의 중요성 = 10 2. 부모참여프로그램의 내용 = 14 3. 부모참여프로그램의 선행연구 = 16 4.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21 B.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 발달 = 22 1.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 특성 = 22 2.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의 중요성 = 24 3.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과 발달지체 영유아의 발달 = 27 C. 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 31 1. 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적 특성 = 31 2. 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 = 3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46 A. 연구참여자 = 46 B. 실험기간 = 52 C. 실험장소 = 52 D. 독립변인: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 = 53 1.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의 목표 = 53 2.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의 구성 = 53 3.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의 내용 = 55 E. 종속변인 측정도구 = 60 1.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 = 61 2.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 62 3. 영유아의 언어능력 = 63 F. 실험설계 및 절차 = 64 1. 실험설계 = 64 2. 실험절차 = 65 G. 자료처리 방법 = 70 1. 자료처리 = 70 2. 관찰자간 신뢰도 = 71 3. 평가자간 신뢰도 = 73 H. 사회적 타당도 = 74 Ⅳ. 연구결과 = 77 A.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친 영향 = 77 B.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친 영향 = 78 C.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친 영향 = 79 Ⅴ. 논의 및 제언 = 82 A. 논의 = 82 1.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친 영향 = 82 2.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친 영향 = 85 3.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친 영향 = 87 B. 연구의 제한점 = 91 C. 제언 = 92 참고문헌 = 94 부록 = 114 ABSTRACT =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98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와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및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program with speech therapy for the interaction behavior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ed and the abilities of language-
dc.creator.othernameLee, Keumjin-
dc.format.pageviii, 1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