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8 Download: 0

중급 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 어휘 학습 전략 연구

Title
중급 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 어휘 학습 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Hanja words for intermediate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 focused on discovery strategies
Authors
박성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ategies of intermediate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use to discover the meaning of Hanja (Chinese characters but used in Korean words) words. The Hanja words consist a large portion of the whole Korean vocabularie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anja words of Korean language and those of Chinese language, which Chinese students should be aware of. Especially intermediate level leaners begin to learn low-frequency and advanced level hanja words. So, it's very important for learners to use proper strategies to find out the meaning of unknown hanja words. Among strategies, this study focused on “discovery strategies” which Schmitt(1997) presented in his study. The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the internal determination strategies group, which means to discover meaning of the new hanja words, learners focus on given information(use contextual clues, analyse hanja(word roots), use cognate, use common sense, use both contextual clues and hanja). The other was the external determination strategies group, which use reference strategies (use monolingual or bilingual dictionaries, ask teacher for L1 translation or meaning, ask teacher for a sentence including the new word, seek synonym of the words). Hanja words were divided four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Korean hanja words and Chinese hanja words. Those groups were as followed : Homo form and synonyms words - Homo form hetero synonyms - Hetero form homo synonyms - Asymmetry words. And strategies usage of leaners depending on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were examined.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74 Chinese learners taking Korean lectures at language institutes in Seoul. Tests were designed to measure subjects' ability of Hanja words comprehension. To find out strategies that learners were using, the discovery strategies were presented as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internal determination strategies, 40% of subjects answered they use contextual clues to discover meaning of the new hanja words. Although all words were consisted by hanja and Chinese learners already knew hanja very well, only a few learners used hanja clue. 2) In the external determination strategies, searching bilingual dictionarie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y. 3) Proficiency was correlate wit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new hanja words, but not with external determinant strategies. 4) Strategies usage are slightly different in four groups. But in all the hanja words groups, leaners were most likely to obtain correct answers when they consider both guessing from contextual clues and analysing hanja. 5) If hanja words were consisted with easy words or homo form and synonyms, learners could easily guess the meaning of the words. However the words were even consisted with easy hanja, learners were not able to guess proper meaning of Homo form hetero synonyms words.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gure out the strategies that the intermediate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used to find out meaning of the hanja words. In addition to that, I exp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in Korean studies moreover.;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한자어의 의미 발견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들이 모르는 한자 어휘를 제시한 다음, 다른 도움 없이 자신의 힘으로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과 다른 사람이나 문헌의 도움을 받아 의미를 발견하는 전략을 각각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구성과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자어 의미 발견 전략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였다. 어휘 학습 전략과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자 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 봄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한자어의 특징과 어휘 학습 전략을 중점적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Schmitt(1997)의 어휘 의미 발견 전략을 본고의 설문지 제작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실험 방법과 실험 결과 분석 방법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현재 서울의 각 대학 어학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중인 중국인 중급 학습자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근거하여 학습자들의 어휘 이해와 발견 전략을 알아 보았다. Ⅳ장에서는 실험에 대한 결과를 기술하고 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자료를 활용하지 않고 모르는 한자어 의미 파악을 해야 할 때 문맥을 활용하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제시된 단어가 모두 한자어임에도 한자를 통한 의미 발견 방식은 사용 빈도가 낮았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사전이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참고할 수 있을 때에는 한중사전 찾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다른 논문들과 비교해 볼 때 중국인 학습자들은 Schmitt의 사회적 전략보다는 결정 전략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기존에 학습했던 단어를 더 많이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발견하는 데 더 유리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어휘력과 외적 해결 사용 전략 간의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한자어 차이에 따라 사용하는 전략이 차이가 났고, 사용전략에 따른 정답률도 달라졌다. 그러나 모든 단어군에서 한자와 문맥을 함께 사용할 경우 정답률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개별 한자를 통하여 분석하였을 때 한자가 쉬운 경우 학습자들이 큰 어려움 없이 단어의 뜻을 발견하였지만 한자가 어렵거나 동형이의어일 경우에는 정확한 의미를 발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실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활용한 어휘 의미 발견 전략을 보았다는 것이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의 한자어 학습이 필요한 범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고의 결과는 실제로 의미 발견 전략을 교수할 때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전략 사용법을 지도하는 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