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0 Download: 0

방과 후 무용 특기·적성교육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방과 후 무용 특기·적성교육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Dance Extra-Curriculum on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Authors
유남이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무용 특기·적성교육에 따른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무용 특기·적성교육의 참가유무와 기간,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무용 특기·적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10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현재 무용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300명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 300명을 선정하여 총 600명의 표본을 집략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564부이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으며, 각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표집집단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후, 가설 검증을 위해 무용 특기·적성교육의 참가유무와 기간,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요인에 대해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방과 후 무용 특기·적성교육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 특기·적성교육의 참가유무(참가, 비참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무용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참여한 집단이 비참여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신체적 영역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 특기·적성교육의 참가기간(참가한 적 없음, 6개월 미만, 6개월-1년, 1년 이상)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신체적 영역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무용 특기·적성교육의 참가기간이 증가할수록 사회·정서적 자기효능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 특기·적성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년(저학년, 고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하여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신체적 영역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방과 후 무용 특기·적성교육의 참여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움직임 활동을 제공하여, 신체적 영역의 발달뿐만 아니라 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무용 특기·적성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무용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무용 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체험하고 이를 통해 필요성을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더 나아가 초등학교 정규교과 수업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three main variables, such as the participation of dance extra-curriculum,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grade, on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from differences of variables and outcomes on self-efficacy. In order to successfully accomplish such mission in this research, a detailed statistical method is intergraded to minimize any possibility of errors. The samples of 600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from 10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which have dance curriculum. The total sample popul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 of 300 sampl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of the curriculum. The total number of surveys used in this research is 564. All data is processed in SPSS 12.0, a statistical program, to calculate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in variables and to find trendsin the data. Independent variabl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on main variables to prove a hypothesis about the main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found in the data, Scheffe verification is used. Using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 conclusion on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main variables on self-efficacy is form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utcomes of statistical data. First, after comparing the data of a main variable, the participation of th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he group which participated in dance curriculum had higher means in intelligent,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categories, which are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when compared to the other group. Second, after comparing the data of another main variable,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found in all sectors of self-efficacy including intelligent,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areas. The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resulted in a statistical conclusion that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especially to students'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categories of self-efficacy. Third, in the comparison of self-efficacy of different grades within the group of samples who participated in danc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found in intelligent,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categories that the samples in lower grades displayed higher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samples of higher grades. Summarizing the results, I concluded that the dance extra curriculum has substantially positive influences on students such that it not only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own creative side but also helps develop the intelligent,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areas of student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for young students to join the dance extra curriculum at school and to experience and realize the reasons, meanings and values of dance curriculum during the course of learning. Furthermore, it is demanded to continue this type of researches and studies such that the dance extra curriculum can become as one of the main and fundamental academic curriculums at the entry level of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