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청소년의 운동선호도와 운동 후 기분 변화의 관계

Title
청소년의 운동선호도와 운동 후 기분 변화의 관계
Other Titl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references of exercise and mood changes after exercise in adolescences
Authors
구영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eferences of exercise in adolescences, and to grasp the fact whether the preferences are related to the mood changes before exercise and after tha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xercise by gender. We researched this study with 498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ts environs, Kyung-gi do. We examined the preferences of exercise and profile of mood states, and analysed 463 papers finally. The paper concerning the preferences of exercise consisted of the preferences of exercise itself, the preferences of individual exercise or team, the preferences which have winner/loser or not, and need tactical judgement, the preferences about violence level, and contact level, and the preferences in soccer. The preferences about contact level, however, was erased for the difficulty of getting a construct validity. And then, we went into the result analysis. The paper concerning the mood conditions consisted of 6 subdivisions - anxiety, depression, anger, vitality, fatigue, and confusion. Foll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SAS 9.1 Enterprise and SPSS win 15.0 to operat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we discovered three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overlapping index 1 and 2 by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bout correlations between the preferences of exercise and mood changes in adolescences, we go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tion groups -the explanation index of mood changes regarding the preferences of exercise(48.2%) and the index of the preferences of exercise regarding mood changes(32.5%). And, it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s each other that the preferences of individual exercise or team to mood changes, and vitality to the preferences of exercise. Second, we set up the preference in socc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had a regression analysis into influences in emotional change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in soccer, the mood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ignificance level 0.1%, 1%, 5%. The influencing power of the preference in soccer accounted for 10.0% in vitality, 5.1% in depression, 2.5% in fatigue, 2.0% in anxiety, 1.5% in anger, and 1.4% in confusion. The more they have the preference in soccer, the more they have vitality and can diminish depression, fatigue, anxiety, anger, and confusion. Third, we set up mood changes as a dependant variable and had an independent t-test to discover average differences of mood changes between both genders. The decrease of t in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and the increase in vitality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istics(5%). But, in the decrease in fatigu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0.1%), and in the decrease in confusion,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t about 1%. Likewise, we discovered that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the preferences of exercise and mood changes. Moreover, it could get effective more to mood changes when we have more preferences in soccer,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ood changes by gender. So, we have to think of the preferences of exercise for adolescences to start exercise and maintain it, and the trainers have to consider about gender if they want them to make utmost use in mental effect by exercise.;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운동선호도를 알아보고 그 운동선호도가 운동 전후 기분변화와 관계가 있는 지, 성별에 따라 운동선호도가 차이가 있는 지, 그리고 성별에 따라 운동 전후 기분변화에 차이가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혹은 서울시 근교의 경기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남녀 중학생 498명을 대상으로 운동선호도와 기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63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운동선호도 설문지에는 운동자체선호도, 팀 개인 운동 선호도, 승부 비승부 운동 선호도, 전략적 판단이 요구되는 운동 선호도, 격렬 정도에 따른 운동 선호도, 접촉 정도에 따른 운동 선호도, 축구선호도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접촉 정도에 따른 운동 선호도는 구인타당도를 확보하기 어려워 이 요인을 삭제한 후 결과 분석에 들어갔다. 기분상태검사지에는 불안, 우울, 분노, 활력, 피로, 혼란의 6개 하위 기분 영역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SAS 9.1 Enterprise와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준상관분석, 회귀분석,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청소년의 운동선호도와 기분변화와의 관계를 정준상관분석으로 결과 중복지수 1과 2의 결과치에 따르면 운동선호도에 대한 기분변화의 설명력과 기분변화에 대한 운동선호도의 설명력은 각 48.2%와 32.5%로 두 변인군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또한 운동선호도 요인 중의 팀 개인 운동 선호도가 기분 변화에, 기분 요인 중의 활력이 기여하는 정도와 설명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가설 1을 지지하였다. 둘째, 축구선호도가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축구선호도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종속변인인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여부를 회귀 분석한 결과 축구선호도에 따라서 기분변화는 모두 유의수준 0.1%, 1%,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축구선호도가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축구선호도가 기분요인 중 활력 요인을 설명하는 비율이 10.0%이며 우울이 5.1%, 피로가 2.5%, 불안이 2.0%, 분노가 1.5%, 혼란이 1.4% 순으로 나타났다. 축구선호도가 높을수록 활력이 높아지고 우울, 피로, 불안, 분노, 혼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기분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분 변화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성별 간 기분 변화 평균차이를 독립-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불안감소, 우울감소, 분노감소, 활력상승은 t 값이 통계적으로는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피로 감소는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의 경향을 보였고 혼란감소는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운동선호도와 기분 변화 간에는 서로 상관이 있음을 밝혔고 더 나아가 축구를 했을 때 축구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기분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기분 변화의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이 운동을 시작하고 지속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운동선호도를 생각해야 하며 운동지도자는 청소년에 대한 운동선호도와 성별을 고려하여 지도해야 운동을 통한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