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9 Download: 0

일상의 예술화와 자립을 위한 노동으로서의 공예에 관한 연구

Title
일상의 예술화와 자립을 위한 노동으로서의 공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aft as work for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and independence
Authors
홍인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의 예술화와 자립을 위한 노동으로서의 공예를 통하여 현대 산업자본주의사회에서 공예의 사회적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공예 교육의 새로운 개념적 기반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1) 현대 산업자본주의사회에서 자립은 왜 필요하며,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노동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2) 자립과 일상의 예술화를 가능하게 하는 공예의 사회적 의미와 필요성은 무엇이며, 이러한 공예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가? (3) 자립과 일상의 예술화를 위한 노동으로서 공예교육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공예교육의 발전 방안은 무엇인가? 현대 산업자본주의사회에서 인간은 스스로 행하는 기쁨을 잃고 있으며, 사회 시스템에 의존적으로 변하고 있다. 인간 본래의 자율성을 되찾아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하기 위해서는 내면적인 능동성의 회복을 통한 자립이 필요하다. 스스로 행하는 노동으로서의 공예를 통하여 인간은 기계에 의해 빼앗긴 노동의 창조적인 기쁨을 체험하고, 자립의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일상을 예술적으로 가꾸어 일상의 예술화를 이룩할 수 있다. 일상의 예술화와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공예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적인 공예가 아닌 스스로를 위한 비상업적인 공예로 모든 사람들이 자율적인 노동으로 자신의 삶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예이다. 최근 미디어와 도구의 발달은 일반인들도 쉽게 공예품을 제작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공예의 특징으로 일반인들의 공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의 역할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창조적인 정신활동과 자주적인 노동이 결합된 공예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은 예술적인 체험으로서 노동의 가치를 배우게 될 것이고, 생활 속에서 공예를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육내용 측면에서의 개선방안과 전반적인 공예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내용의 개선방안은 첫째 공예의 현대적 의미를 포함하는 공예의 개념이 제시되어야 하고 둘째, ‘쓰임’이 고려된 공예 교과 내용이 구성되어야 하며 셋째,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학습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미술교과서에서 공예교육과정이 확대되어야 한다. 전반적인 공예교육의 발전방안은 첫째, 자립과 일상의 예술화를 가능하게 하는 공예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둘째, 현대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자율노동으로서의 공예를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가정교과나 환경교과 등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영역의 확장이 필요하며 넷째, 공예교육을 위한 공간의 확보와 시설 마련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이 밑받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생활 공예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보급할 수 있는 비상업적인 목적의 전문연구기관이 마련되어 스스로 행하는 기쁨을 체험할 수 있는 생활 속 공예의 지속적인 연구와 보급으로 대중적인 공예문화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social meanings and necessity of craft in modern industrial capitalist society through the craft as work for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and independence, and then to present a new conceptual basis for craft education through this. The foci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y independence is necessary in modern industrial capitalist society, and what educational meaning does work has that makes independence possible? (2) What are the meanings and necessity of craft that makes independence and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and is such craft possible in reality? (3) What are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craft as work for independence and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and plans for the activation of craft education? In modern industrial capitalist society, human beings are losing the joy of doing by themselves, and are changed to be dependent of social systems. In order for them to recover the original human autonomy and lead a subjective life, independence is necessary through recovery of internal activeness. Through craft as work done by oneself, human beings can experience the creative pleasure of work taken away by machinery, and recover the ability to be independent. Also, they can achieve the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by cultivating their own daily lives artfully. The craft that makes artification of everyday life and independence is not the commercial craft that takes sales as its purpose but is that which is non-commercial on humans’own and with which everyone can change his/her life environment by autonomous work. Recently,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instruments provides environment in which common people can easily engage themselves in craft making, and they increasingly have interest in craft due to the pro-environmental properties of craft. Thus, the role of systematic education for this becomes more important. Through creative mind activities and craft education combined with independent work, students will learn the value of work as artistic experience, and be provided with a basis for practicing craft within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