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중학교 2학년 미술과와 국사과의 통합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Title
중학교 2학년 미술과와 국사과의 통합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Art Subject and History Subject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2n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 Focusing on Korean Art Appreciation Class
Authors
곽서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화 사회인 오늘날의 교육은 많은 지식들을 가르치기에 앞서 학습자가 직접 정보를 선택하고 정보간의 내용을 연관 지어 자신의 실제 삶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교육이 대량화된 정보의 내용을 모두 섭렵하고, 이를 전통적인 방식의 교육과정으로 가르치는데 한계성이 보이기 시작하게 된 무렵 교육 형태는 비로소 학습자 주도적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에서 여러 교과간의 학문 내용과 정보를 융화시키고, 학습자들이 스스로 비판적 안목과 선별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기존의 획일적인 정보습득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통합적 학습 활동을 토대로 자신의 지식을 재구성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과를 분명하게 구분 짓고 있는 전통적인 교육관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교과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섞고, 혼합하여 융합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종합은 학생들에게 통합적 사고력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하고, 다중지능의 사용을 장려하며 이와 더불어 학생들이 학문의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합교육과정에서는 각각의 학문 영역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학습요소를 찾고 지도하는데 있어 모든 고유영역의 맥락이 같이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과의 학문이 감성만으로 한정된 감각활동이 아닌, 지적활동과 여러 학문 간의 특성이 융화된 통합적 활동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특성을 기초로 여러 학문들과의 연계성을 파악하여, 미술과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사과와 미술과 감상 영역의 통합을 토대로 학습자의 정적?지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 요소를 찾고자 하는데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과거 국사과 안에서의 미술작품은 시각적 참고자료로서의 역할로 부분 제시되는 것에 지나지 않았으나, 오늘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술작품의 역사적 사실을 인식하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른바 문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위해 역사와 미술감상의 통합은 학습자들에겐 여러 시점을 함께 인지할 수 있는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합 교육과정의 다차원적 교육환경은 배운 내용을 더 넓은 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며, 서로 다른 학습수용 영역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에겐 각자의 학습능력을 존중한 교수법으로 전통적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교수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효율적인 학습방안을 개발하고자 한국미술 감상영역과 국사과의 통합수업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 교육과 미술감상 교육에 대한 문헌적 내용을 정리하여 연구 배경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통합 교육의 의의와 미술교과안에서의 통합 내용을 살펴 본 다음, 미술감상?비평의 접근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찾아 본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는, 두 영역의 인과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구체적인 과정으로 두 교과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미술작품을 통해 역사를 고찰함으로서 문화와 역사의 관련성을 인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어,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두 교과를 통합하여 수업방안을 설계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이끌어 갈 수 있는 학습프로그램 양식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결과에서는, 통합적 수업방안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학습효과와 본 연구의 개선점을 검사 결과에 의해 해석해 보고, 논의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통합수업 방안을 통해 기대되는 여러 가지 교육효과를 찾을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를 간략히 정리하면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와 역사를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 통합적인 사고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정적 영역의 감상 활동에서 벗어나 지적 영역을 포함한 논리적인 감상?비평능력이 향상 될 수 있다. 셋째, 언어 전달 방식의 교수법 한계를 극복하고, 시각적 매체를 통해 학습자들의 여러 학습 수용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종적?횡적 통합을 바탕으로 교과간의 연계성을 기초로 함은 물론 역사의 시대간 흐름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안 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두 교과간의 교차되는 맥락을 파악하여 학습자들에게 통합적 경험을 제시함으로서 학습자의 인지 발달은 물론 인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In today's informatized society, education should be focused more on developing learners? abilities to choose information, interconnect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and utilize them in their real life than on just delivering knowledge. When education encounters a limitation in ranging over all the contents of extensive information and teaching them as a curriculum in a traditional way, it begins to recognize the necessity for learner‐led curriculums.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make plans for fusing academic contents and information of multiple subjects from a viewpoint of integration and inducing learners to be equipped with a critical eye and discernment and to restructure their knowledge through various integrative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acquiring information in the traditional way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integrating and mixing different subjects in a meaningful way, casting off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education that distinguishes curriculums clearly. The integration is expect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integrative thinking, encourage them to use multiple intelligences, and enable them to see both the wood and the trees of science. Generally from the viewpoint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sciences are not separated from one another but they share the same context for finding and teach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learning. According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art curriculum that it includes not only aesthetic and sensuous activities but also intellectual activities related to other subjects, we need to develop programs centering on art and connecting it to other disciplines. Thus, this study tried to find learning elements helpful for learners? affective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based on the integration of history and art appreciation. In the past, art works were merely visual reference materials in the Korean national history curriculum, but these days art works are recognized as historical facts and utilized for cultural understanding from various viewpoints. The integration of history and art appreciation for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ulture will bring in‐depth understanding to learners so that they can recognize various different viewpoints. Accordingly, the multi‐dimensional education environment of such an integrated curriculum will prepare a ground for applying the contents of learning to a wider world, and as a teaching method respecting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ability it will help them overcome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Recognizing the necessity for integrated teaching methods and in order to develop efficient learning methods, this study made a plan to integrate the classes of Korean art appreciation and Korean national history as follows. Chapter II reviewed literature on integrated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summarized the contents as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chapter, we considered the meaning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integrated contents in the art curriculum, and laid the ground of this study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pproaches to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hapter III examined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two areas, and analyzed the textbooks of the two subjects. In addition, we studied history through art works a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relevancy between culture and history. Chapter IV designed a teaching plan by integrating the two subjects based on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and developed and applied a learning program pattern for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hapter V analyzed the effects of learning through the integrative teaching plan, mentioned points to be improved in the present study, and drew out implications. Through this procedure, we could find a number of education effects excepted from the integrated class plan, and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class plan can develop integrative thinking through connecting culture and history and learning them together. Second, the integrated class plan can develop abilities to appreciate and criticize logically not only affective areas but also intellectual areas. Third, the integrated class plan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lecture‐based teaching methods and stimulate various learning channels in learners using visual media. Fourth, the integrated class plan suggests points to be considered for understanding historical flows based on connection among subjects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common context between two subjects and provided learners with integrative experiences and ultimately contributed to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as well as character buil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