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해리-
dc.creator장해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04-
dc.description.abstractAs the scientific technology such as cloning, stem cells, and genome projects has brought a ripple effect on the society, decision making by contemporary members of community becomes important.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undergraduates`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verifying whether their majors influence informal reasoning patterns and decision making, and finally suggesting a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leading students to ethically and rationally decision making. This study involves 20 undergraduate students in 5th~7th semester and show how two different groups, biology majors and non-biology majors, respond on socioscientific issues. Informal reasoning consists of three types as follows: rationalistic reasoning based on cognitive consideration, emotive reasoning on sympathy, and intuitive reasoning on intuitive reac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2 times respectively for analyzing the students` decision making patterns based on 6types scenarios in respect to genetic therapy and human cloning. The results shows that the participants given socioscientific issues used the above three types of informal reasoning collectively rather than one at a time. In particular, 93% of them choose rationalistic reasoning when they make a decision. On the other hand, both emotive and intuitive reasoning are influenced by distinctive circumstances. Moreover, biology majors hardly use intuitive reasoning compare to non-biology majors. Most of the participants take more consideration on social factors. Some participants perceive ethical and moral implications of the issues, but they do not consider them seriously. Acknowledgement on morality is not a crucial factor of decision making and some participants make their decisions depending on their own value. 65% of the participants use information rooted from mass media when they make decision. When it comes to the majors, biology major group take into deep consider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while non-major group seems to interpret the given scenarios with simple concept. This implies content knowledge in respect to the issues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ctor of increasing level of their decision making. On the other hand, gender gap does not seriously affect on decision making and informal reasoning. For developing education materials or programs for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we should include emotive and intuitive reasoning since they are also significant factors for the participants to make decis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students are not responsible for their decision. As a result, they come to make decisions based on their value rather than considering various other factors. Therefore, science educators should teach students how to recognize ethical aspect of scientific issues and be responsible for their decision making on them. Furthermore, difference in their decision making between biology major and non-biology major is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distinction of their content knowledge of socioscientific issues. Nevertheless, any of contemporaries cannot help facing with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research of acquiring scientific knowledge for the citizen required to deal with socioscientific issues with 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articipants are influenced by mass media when they make decision. This implies that the way of transferring scientific knowledge to people through mass media is to be developed. When people with science knowledge are eager to transfer the scientific knowledge using mass media, it would be possible for people to diminish prejudice toward science, which has been always difficult for them, and to accept science as a part of their lives. At the same time, we need to find alternatives to practically use mass media for improvement of their decision making.;복제, 줄기세포,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과학기술들은 어떻게 사용되는 가에 따라 사회적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는 특히 구성원들의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여 문제 해결을 위해 학생들이 보이는 비형식적 추론의 형태와 쟁점화 된 과학문제와 관련된 배경 지식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윤리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과학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5~7학기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생물학 전공자 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으로 나누어 배경 지식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비형식적 추론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는데, 이성적 형태는 인지적 고려에 기반을 둔 추론이며, 감정적 형태는 인물에 대한 동정심에, 그리고 직관적 형태는 상황에 대한 즉각적 감정에 기반을 둔 추론이다. 유전자 치료와 인간 복제를 주제로 하는 6가지의 가상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보이는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2회에 걸쳐 반구조화 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접한 참가자들은 한 가지 비형식적 추론 형태만을 사용하기보다 세 가지 추론 형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의사결정에 있어 주로 이성적 추론 형태를 사용하였다(93%). 반면 감정적 형태와 직관적 형태는 상황의 특수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또한 생물학 전공자의 경우 비전공자와 비교하여 직관적 형태의 비형식적 추론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참가자들은 의사결정에 있어 사회적 요인에 대해서 가장 많이 고려하였으며, 문제의 윤리성·도덕성에 대해 인식하였으나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윤리성에 대한 인식이 의사결정에 있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학생들 중 일부는 자신의 가치관에만 의존하여 의사를 결정하였다. 참가자의 65%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대중 매체로부터 얻은 정보를 사용하였다. 전공에 따라서 생물학 전공자들은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사고를 하였으나, 비전공자들은 주어진 상황을 단순하게 해석하는 차이를 보여 문제와 관련된 배경 지식이 전공자의 의사결정 수준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의사결정 과정이나 비형식적 추론 형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학생들은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때 문제에 대한 이성적 판단 외에도 감정적인 부분과 즉각적인 반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으므로 의사결정력 향상을 위한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들은 의사결정 결과가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 본 연구 결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결정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관에만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였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과학 교육자들은 현실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해 학생들이 윤리적인 측면을 자각하고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해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내용을 구성하고, 교육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한 비전공자들은 평소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한 관심이 낮았으며, 문제를 접했을 때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접하게 되고, 자신의 의사결정이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므로 일반인이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과학적 지식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 결과처럼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대중 매체가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대중 매체를 활용하여 일반인들에게 필요한 과학 지식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또한 전공자들은 대중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지식 전달에 앞장서서 사람들이 과학을 생활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고, 나아가 쟁점화 된 과학문제에 대해서도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의 의사결정력 향상을 위해 대중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모색도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활용한 교육(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 4 1. STS 교육의 문제점 = 4 2.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활용한 교육의 전제조건 = 6 B. 비형식적 추론(Informal Reasoning) = 8 1. 비형식적 추론과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와의 관계 = 8 2. 개념적 이해가 비형식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 9 C. 과학교육과 질적 연구 = 10 1. 과학교육에서의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10 2. 과학교육에서 질적 연구 수용의 필요성 = 13 3. 과학교육과 관련된 질적 연구의 탐구 방법 = 14 4. 과학교육과 관련된 질적 연구의 탐구 주제 = 17 D. 선행 연구 = 18 Ⅲ. 연구 방법 = 22 A. 연구 절차 = 22 B. 연구 대상 = 24 C.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 선정 = 25 D. 면담 = 25 E. 분석 준거 설정 = 28 1. 비형식적 추론 형태의 분석 준거 = 28 F. 자료의 수집 및 분석 = 2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1 A.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접한 대학생들의 비형식적 추론 형태 분석 = 31 1. 이성적 형태의 비형식적 추론 = 33 2. 감정적 형태의 비형식적 추론 = 34 3. 직관적 형태의 비형식적 추론 = 35 4. 비형식적 추론의 혼합 형태 = 36 B. 전공에 따른 비형식적 추론 형태의 차이점 = 40 C.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접한 대학생들의 의사결정 과정 분석 = 41 1. 사회적 요인에 대한 고려 = 41 2. 주제의 윤리성 · 도덕성에 대한 인식 = 42 3. 개인적 가치에 의존한 의사 결정 = 43 4. 대중 매체에 의한 영향 = 44 D. 전공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의 차이점 = 46 E. 성별에 따른 비형식적 추론 형태와 의사결정 과정의 차이점 = 48 Ⅴ.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부록 = 58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90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과학문제를 접한 대학생들의 의사결정을 위한 비형식적 추론 과정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dc.creator.othernameJang, Hae Ri-
dc.format.pagei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