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지혜-
dc.creator최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3년에 걸쳐 이루어진 과학 윤리에 관련된 국외의 학술지를 분석함으로써,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의 세부 요소의 추이와 연도별 차이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과학 윤리 관련 학술지인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에 1995년부터 2007년 9월까지 13년간 게재된 총 487편의 연구 논문들의 초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을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 및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 기준은 크게 연구 영역, 연구 주제의 두 가지 분석 요소로 구성하였고, 각 요소는 다시 분석 내용으로 세분화하였다. 연구 영역은 과학 연구 영역을 공학과 기술, 임상, 사회 과학, 환경, 자연 과학, 과학, 기타로 7가지의 분석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연구 주제는 의사 결정, 과학 윤리 교육, 공동체, 연구 부정행위, 과학적 책임과 자유, 연구 대상 윤리, 인간의 권리, 윤리와 기술과의 관계, 기타로 9가지의 분석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위의 기준에 따라 연구 대상 논문을 분류·분석한 결과, 연구 영역에 있어서 공학과 기술, 과학, 임상 영역에서 대부분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사회 과학, 환경, 자연 과학 영역에서의 과학 연구 윤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연도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시간에 따른 증가·감소의 일정한 흐름을 갖기 보다는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영역에서의 연구가 더 활발히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1995년부터 1998년 사이에는 공학과 기술 영역, 1998년부터 2003년 사이에는 과학 영역의 연구 논문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런가 하면 임상 영역은 매해 비슷한 비율로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의사 결정과 과학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가 다른 주제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들의 연도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매해 의사 결정, 과학 윤리 교육, 공동체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뒤이어 연구 부정행위, 과학적 책임과 자유에 관한 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에 비해 연구 대상 윤리, 인간의 권리, 윤리와 기술과의 관계, 기타에 해당하는 연구는 매우 저조하게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의사 결정과 과학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의 연도별 경향성을 볼 수 있는데,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는 1998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3년까지 매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과학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는 2003년 이전까지는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였으나 2004년부터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는 과학 윤리의 연구 초기에는 올바른 과학 윤리에 관한 법률, 정책, 또는 연구자가 지켜야할 지침들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의사 결정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들이 충분히 설정된 이후, 이들이 충실히 실행되기 위해서는 과학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윤리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 요소일 것이다. 따라서 최근 몇 년간 과학 윤리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과 과정, 교수-학습 방법이나 과학 윤리 교육에 이용할 수 있는 주제 등을 제시한 과학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연구 영역에서 주목 받는 연구 주제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영역에서 의사 결정과 과학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 공학과 기술 영역은 모든 주제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임상 영역은 연구의 특성상 다른 연구 영역에 비해 연구 대상 윤리에 관한 연구가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국외의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결과를 보면 국외의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 초기에는 과학 윤리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부정행위 처리를 위한 지침 및 절차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생명 윤리 등 일부의 학문 분야에만 이러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는 초기 단계인 현재 우리나라의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는 과학 사회에서 지켜져야 할 과학 윤리 관련 지침, 규범, 정책, 법률을 설정하기 위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과학 윤리의 실질적인 정착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국가 주도의 기관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작업 역시 필요할 것이다. 둘째, 과학 윤리의 실질적 정착을 위해서는 사후적으로 처리하는 것 못지않게 교육과 훈련을 통한 사전적 예방을 위한 노력 역시 중요하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도 보여주듯이 과학 윤리에 관한 연구 초기에는 과학 사회의 윤리적 규범 설정에 관한 주제인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다가 이러한 규범들이 충분히 논의되어 마련된 이후에는 이들이 충실히 실행되기 위해 과학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윤리 교육에 관한 주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이 과학 윤리의 학문적 발전 과정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과학 윤리에 대한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교육 과정, 교수-학습 방법, 교재 등의 개발을 위한 연구와 이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s of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by investigating papers of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and to ultimately provide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this, I analyzed 487 literatures publish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from 1995 to 2007 related to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according to the framework constructed in this paper, and interpreted recent research trends of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The framework used in this paper, included component on area of study and subject of study. Area of study was subdivided into 1)engineering and technology, 2)clinic, 3)social science, 4)environment, 5)physical science, 6)general science, 7)others. Subject of study was subdivided into 1)policy-decision making, 2)teaching ethics, 3)community, 4)misconduct in research, 5)scientific responsibility and freedom, 6)ethics of subject in research, 7)human right, 8)relationship between ethics and technology, 9)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ly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was researched about subjects about policy-decision making and teaching ethics in area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general science and clinic. I hope that this study is based on development of research about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한계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과학 윤리 연구의 쟁점들 = 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9 A. 연구 대상 선정 = 9 B. 분석 기준 선정 = 10 C. 연구 대상 분류와 분석 = 14 Ⅳ. 연구 결과 분석 = 15 A. 연구 영역과 연구 주제에 대한 연구 동향 = 15 B. 연구 영역과 연구 주제에 대한 연도별 연구 동향 = 18 C. 연구 주제에 대한 연구 영역별 연구 동향 = 23 Ⅴ. 결론 = 25 A. 결론 = 25 B. 제언 = 27 참고문헌 = 29 부록 = 30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45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 윤리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95년부터 2007년까지-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n recent research trends of ethics in scientific research : from 1995 to 2007-
dc.creator.othernameChoi, Ji Hye-
dc.format.pagevii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