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경-
dc.creator이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교 영어 문법 수업의 실태 분석 및 교사와 학습자의 문법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중학교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문법 교수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논문에서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문법 수업의 시기적인 측면과 관련이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르면 7-a 단계인 중학교 때부터 문법 수업이 시작되고 학생들은 이때부터 교육 과정 혹은 교사 수업 방식의 영향을 받으며 문법에 대한 인식을 형성해나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이 문법 학습 초기 단계에서부터 문법에 대한 긍정적이고 흥미로운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법 수업 방식을 연구하여 활용하는 것은 영어 교사의 역할로서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목적 하에 본 연구는 교사가 연구의 주체가 되는 현장 연구 방법을 토대로 하여 진행되었다. 현장 연구의 첫 단계인 문제 인식 단계에서 한국의 중학생들이 문법 학습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흥미도와 자신감이 낮음을 알게 되었고, 그 원인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의 문법 수업 방식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진술 및 수업 자료 분석에 따르면,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적 기능에 중점을 둔 문법 수업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여전히 제 6차 교육과정 이전에 성행하였던, 구조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문법 번역식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에 따라 학생들은 읽기 학습을 위하여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 본문의 문장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식으로 문법을 배우고 있었고,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문법 학습은 어렵고 복잡하다는 인식을 갖게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수업에 대한 지침에 따라 문법의 기능 및 실용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문법 수업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의 실천 과제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천 과제는 세 가지 문법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을 가르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문법 수업은 중학교 2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차시에 걸쳐 ‘지각동사·사역동사,’ ‘비교급·최상급,’ 그리고 ‘수동태’를 ‘명시적·연역적 방법,’ ‘통합적 방법,’ 그리고 ‘명시적·귀납적 방법’을 활용하여 가르쳤다. 세 가지 문법 교수 방법이 학습자들의 즉각적인 문법 학습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법 교수 방법을 활용한 수업의 전, 후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문법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효과는 수업 전, 후에 실시한 동일한 설문조사와 사후 심화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두 번째 실천 과제는 한국 중학교 영어교사, 한국 중학생, 한국 중학교에서 문법 수업을 받은 대학생, 그리고 예비 영어 교사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었다. 이 실천 과제의 목적은 현 한국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수업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와 학습자들의 문법 수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연구자가 설계한 문법 교수 방법을 현실에 맞게 보완하려는 것이었다. 현직 교사 23명, 중학생 236명, 대학생 71명, 그리고 교육대학원생 25명, 이렇게 총 355명을 대상으로 2007년 9월에 시행하였으며, 설문 조사 항목은 ‘실태 조사,’ ‘문법에 대한 인식,’ 그리고 ‘요구 조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행한 두 가지 실천 과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실천 과제에서 세 가지의 문법 교수 방법은 학습자들의 즉각적인 문법 학습의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 가지 문법 교수는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 그리고 필요성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문법 교수 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선호도 측면에 있어서는 통합적 방법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방법은 처음에 교사의 간략한 명시적 문법 설명이 제시되고, 뒤이어 다양한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문법 사항을 재발견 및 재확인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들이 문법을 배울 때에 교사의 명시적 설명과 더불어 스스로 혹은 친구들과 협동하여 할 수 있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귀납적 활동 모두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두 번째 실천 과제의 결과를 항목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육 과정 상에서 문법을 경시한 시기도 있었지만, 한국의 중학교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하여 문법 수업이 진행되어 왔다. 문법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서는 현직 교사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학습자들의 경우 교사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주로 사용하는 문법 수업 방식은 교사의 명시적 설명과 교과서의 단문을 활용한 연습 문제 풀이 방식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만족도는 양쪽 모두 낮게 나왔다. 한편, 소수의 학생들이 귀납적 방식으로 수업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는데, 이 학생들의 경우 교사 설명과 연습 문제 풀이 방식으로 학습한 다수의 학생들에 비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2) 문법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문법 능력이란 ‘정확한 영어 문장을 말하고 쓰는 능력’ 혹은 ‘문법 규칙을 잘 파악하는 능력’과 같은 암묵적인 인지 능력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또한, 영어를 궁극적으로 잘하기 위해서는 문법 학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문법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교사들은 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여기는 반면, 중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두 능력 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낮은 인식을 보였다. (3) 문법 학습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법 수업의 양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적당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학생들의 문법 수업에 대한 흥미도에 대해서는 교사, 예비교사, 그리고 대학생은 모두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낸 반면, 중학생들은 유의미한 차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문법 수업 방식 중 교사의 명시적 설명에 대한 교사들의 선호도는 낮은 반면 학생들의 선호도는 높았고, 학생 중심의 귀납적인 수업 방식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선호도는 높은 반면 학생들의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 때 문법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여겨져 경시되었지만, 최근에 유창성과 더불어 정확성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금 주목을 받으면서 문법 수업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효과적인 문법 수업 방식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효과적인 문법 수업 방식은 어느 한 가지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능력 및 특성과 교실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렇기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주는 제 2언어 연구자들의 연구와 더불어 효과적인 문법 수업을 개발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합해보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려는 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실제 교실 현장에서 진행된 본 연구는 교사의 입장에서 문법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려 시도하였고, 그 결과 효과적인 문법 수업 방법을 발견해 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전문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와 학습자 모두의 역할이 강조되는 문법 수업 방식을 제안하고 이와 더불어 영어 교재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한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영어 문법 교육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design an effective grammar teaching technique based on needs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in Korean middle school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s the target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because grammar instruction begins in 7-a,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thus, it is import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be taught with effective grammar teaching techniques in order to form positive perceptions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grammar.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action research method in which there were two actions: teaching and a survey. The first action was to design an effective grammar teaching technique based on personal and theoretical contex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echnique through direct teach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ten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teaching was implemented for twelve sessions. Three grammar rules--"perceptual and causative verbs," "comparative and superlative," and "passive"--were chosen from a functional or a practical perspective of grammar, and three different grammar teaching techniques--the explicit deductive technique, the integrated technique, and the explicit inductive technique--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the three techniques on the students' learning of the targeted grammatical features. In addition,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learners' affective aspect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cquire more detailed opinions about the techniques, an additiona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after all the sessions were concluded. To complement the results of the first action and to identify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opinions about grammar teaching, a survey was administered. Specifically, the second action of the surve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grammar instruction in English classes in Korean middle schools, and to analyze the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 groups--23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236 middle school students, 71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ducated in Korean middle schools, and 25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who were students teachers; they numbered 355 in total. The survey was administered in September of 2007,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ree areas: actual conditions, perceptions of grammatical competence, and needs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first ac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rise in the mean scores of the three post-treatment tests which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mmar teaching on learners' immediate learning of the three targeted rules. Regarding grammar teaching techniques, the students preferred the integrated grammar teaching technique most. The integrated technique consisted of a teacher's brief explicit explanations of target rules and learners' inductive activities to discover and confirm the rules themselv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teacher's explicit explanations and learners' own inductive activities work effectively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teacher's explanations activate the learners' learning, and students' inductive activities provides them with a process for confirming the rules themselves. As for the second action of the study, the result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three parts of the questionnaire: (1) In the part of "actual conditions," it was revealed that grammar instruction has continued in Korean middle schools regardless of time and frequency. However,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grammar lessons were low compared to the teachers' satisfaction. Concerning grammar teaching techniques, in most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Using explicit deductive ways" or "Doing sentence-level practice in the textbook or the handouts" were used, and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ose techniques were lower than with the other techniques. (2) In the part of "perceptions of grammatical competence," it was identifie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thought grammatical competence to be the implicit rule awareness ability, such as "exact production" or "rule familiarity." Regarding the necessity of grammar learning in mastering English, most participants thought it positiv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matical competence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teachers answered in a positive way, but the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feel a high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mpetences. (3) In the part of "needs analysis," interesting results were found in two item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me groups. First, although the students answered they liked learning grammar, most teachers, student teachers and university students answer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like learning grammar.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preferred the inductive teaching technique while the students showed more a preference for the teachers' explicit explanations of the rule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 integrated grammar teaching technique could be adapted to EFL classrooms in Korean middle schools. In addition it recommends that the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own teaching techniques based on the students' needs as well as ideas or perspectives based on their own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 As for the implicat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a teacher as a guide in teaching and a supervisor in improving teaching. Also, it is recommended to adopt the integrated grammar teaching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which will be divided into two kinds such as a textbook and a workbook. Concerning the suggestion for the further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that effective techniques of grammar teaching can be further investigated by the collaborative attempts of researchers and teachers. In particular, the teachers' attempts to research the effective grammar teaching techniques from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 can provide valuable practical knowledge, which can be a great help in developing technical knowled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 1 A. The Purpose of the Study = 1 B. Limitations of the Study = 4 C. Outline of the Study = 5 Ⅱ. ACTION RESEARCH = 6 A. Definition of Action Research = 6 B.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 8 C. Overall Action Research Cycle of the Study = 9 Ⅲ. CONTEXTS = 10 A. Personal Contexts: The Statement of the Problem = 10 B. Theoretical Contexts = 14 1. Theoretical Contexts of Action I = 14 a. Options in Grammar Teaching Techniques = 14 b. Choice of Grammar Teaching Techniques = 18 2. Theoretical Contexts of Action II = 21 a. Definition of Grammar in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 21 b. Definition of Grammar Teaching in EFL = 24 Ⅳ. METHODOLOGY = 27 A. Action I: Teaching = 27 1. Notes on Action I = 27 2. Research Hypotheses = 30 3. Participants = 30 4. Materials = 31 a.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Questionnaires = 31 b. Additional Post-treatment Questionnaire = 31 c.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ests = 32 d. Teaching Materials = 33 1) Lesson 1: Perceptual and Causative Verbs = 33 2) Lesson 2: Comparative and Superlative = 34 3) Lesson 3: Passive = 34 5. Procedures = 36 6. Limitations = 38 B. Action II: Survey = 39 1. Research Questions = 39 2. Participants = 40 3. Materials = 41 a. Actual Conditions = 42 b. Perceptions of Grammar = 42 c. Needs Analysis = 43 4. Procedures = 43 5. Limitations = 45 Ⅴ. RESULTS AND DISCUSSION 46 A. Action I: Teaching = 46 1. Hypothesis 1 = 46 2. Hypothesis 2 = 47 3. Hypothesis 3 = 50 B. Action II: Survey = 56 1. Actual Conditions = 56 2. Perceptions of Grammar = 62 3. Needs Analysis = 65 Ⅵ. CONCLUSION AND IMPLICATIONS = 71 A. Conclusion of the Study = 71 B. Implications of the Study = 74 C.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 75 REFERENCES = 77 APPENDICES = 83 A.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 83 1. Language Forms Necessary to Communicate = 83 2. Communicative Function and Example Sentences = 84 B. Personal Contexts = 85 1. Survey on the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 85 2. Diagnostic Test = 85 3. Questionnaire Surveying the Students' Affective Aspects = 87 4. Teaching Materials of the Students' English Classes = 88 C. Action I: Questionnaire = 89 1.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Questionnaire = 89 2. Additional Post-treatment Questionnaire = 90 D. Action I: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ests for Lessons = 92 1. Lesson 1: Perceptual and Causative Verbs = 92 a. Pre-treatment Test = 92 b. Post-treatment Test = 94 2. Lesson 2: Comparative and Superlative = 96 a. Pre-treatment Test = 96 b. Post-treatment Test = 98 3. Lesson 3: Passive = 100 a. Pre-treatment Test = 100 b. Post-treatment Test = 101 E. Action I: Teaching Materials = 103 1. Lesson 1: Perceptual and Causative Verbs = 103 2. Lesson 2: Comparative and Superlative = 107 3. Lesson 3: Passive = 120 F. Action II: Questionnaires = 128 1. Questionnaire for Middle School Teachers = 128 2. Questionnai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131 3. Questionnaire for University Students = 133 4. Questionnaire for Graduate Students in English Education = 136 국문초록 =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04516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An Action Study on Effective English Grammar Teaching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한국 중학교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문법 교수에 관한 현장 연구-
dc.creator.othernameLee, Hye Kyung-
dc.format.pagexiii, 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