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혜영-
dc.creator우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96-
dc.description.abstract모든 언어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어휘 학습이며 실제 의사소통기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개별 어휘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실제 발화 상황에서 함께 결합 가능한 어휘적 지식, 즉 연어적 능력(collocational competence)의 향상이 중요하다. 어휘 지식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학자들이 효과적인 어휘 교수 방법에 관해 연구해 왔다. 특히 어휘들의 관계(co-occurrence)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언어를 구조와 개별단어를 함께 덩어리로 학습할 것을 강조하는 어휘 접근법(Lexical Approach)이 등장하였다. 이와 함께 많은 학자들은 연어의 개념 및 특징을 연구하였으며 그에 따라 연어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연어 학습을 위하여 연어 사전 또는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 방법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영어 교실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 보다는 여전히 교사의 명시적인 설명을 통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명시적이고 개별적인 정의 위주의 어휘 학습은 학습자의 개별 어휘의 의미학습에는 도움을 줄 수 있으나 개별 어휘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방법으로서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의 많은 연구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의 연어 습득 실태 조사에 머물거나 연어학습을 통한 연어 지식 향상이 아닌 개별어휘 향상만을 연구하였다. 게다가 최근 컴퓨터를 활용하여 단어들의 연어 지식 향상을 위한 학습 방법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실제 고등학교 영어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연어 개념에 대한 정확한 특징 전달과 함께 그에 적합한 연어 유형을 학습하기 위한 효과적인 연어 지도 방법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에게 연어에 대한 개념 및 특징 그리고 연어 유형의 제시와 함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연어 학습을 하게함으로써 이러한 활동들이 학습자의 연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연어 지식의 향상도를 통해 학습자 수준에 따른 연어학습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에게 제시한 두 가지 연어 유형(문법적 연어?어휘적 연어) 가운데 학습하기 어려운 연어 유형에 따른 연어 학습의 차이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학습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여 효과적인 연어 학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안양소재의 고등학교 네 학급을 선정하여 활동 중심의 연어 학습이 이루어진 실험 집단과 교사의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을 한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연어 학습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활동 중심의 연어 학습 집단과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 집단의 학습자들을 실험 이전의 지필고사 결과를 통해 상?하 수준으로 나누었다. 활동 중심의 연어 학습 집단은 스파게티 매칭, 어휘 방사선 활동, 연어 격자 만들기와 같은 세 가지 종류의 활동을 통해 연어 학습을 하였으며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 집단은 교사가 연어를 구성하는 개별 어휘들의 정의 설명과 개별 어휘들과 관련한 목표 연어들의 정의를 명시적으로 설명하며 학습이 이루어 졌다. 본 실험은 총 8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시는 연어 학습 이전 절차로 학습자들의 목표 연어 지식에 관한 사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어 학습에 따른 연어 지식 향상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의 문항은 동일하였다. 목표 어휘들은 교과서와 보충교재에 수록된 어휘들로써 여러 가지 연어유형들 중 Benson, Benson과 Ilson(1986)의 연어 유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목표 연어 지식은 모두 동사 중심의 연어들로 선정함으로써 제한적인 범위에서 활동 중심의 연어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차시부터 7차시까지 활동 중심 연어 학습 집단과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 집단의 연어 학습이 이루어 졌으며, 마지막으로 8차시를 통해 연어 학습의 효과를 사후 평가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중심의 연어 학습 방법은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 방법에 비해 연어 학습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어휘 교수에서 사용되는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 방법은 두 단어의 결합 관계를 강조하는 연어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연어 학습에 있어 활동 중심의 학습 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활동 중심과 명시적 정의 설명 학습 방법과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른 연어 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위 그룹 학습자들의 연어 지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여줬으며,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연어학습이 제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 가지 연어 유형인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에 따른 학습자의 연어 학습 효과를 알아본 결과, 문법적 연어 학습에 있어서는 활동 중심의 연어 학습 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동사와 전치사 결합 형태의 연어 유형을 학습자들이 다소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으며, 문법적 연어 학습을 위한 스파게티 매칭과 연어 격자 만들기 활동이 동사+전치사 연어 유형 학습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어휘적 연어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활동 중심 연어 학습 집단의 어휘적 연어 지식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상위 그룹 학습자들의 어휘적 연어 지식 점수가 두드러지게 향상됨으로써 상위 그룹 학습자들의 연어 학습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휘적 연어 학습을 위한 활동 중심 연어 학습 집단의 어휘 방사선 활동 형태가 동사와 명사결합의 연어 유형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에게 제시된 어휘적 연어의 개수가 문법적 연어에 비해 적은 것을 고려할 때, 연어 학습 향상도는 어휘적 연어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에게 동사와 전치사 결합인 문법적 연어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활동의 연구가 좀 더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An acquisition of vocabulary is the most basic step on language learning. Without vocabulary, we cannot convey what we want to say. Moreover,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students should acknowledge the concept of collocation, which is the way the words are used and combined together. The lack of collocational competence leads students to mistake in the real speech situation because they don't know which words come together accurately. In Korea EFL classroom, students and teachers often focus on a learning of individual words' meaning. Teachers usually explain the definition of word without various vocabulary activities and learners just memorize them individually. Explaining the definition of individual word may help students understand word's meaning and extend the vocabulary size. However, this way of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do not helpful for EFL students to improve collocational competence. With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 a lot of effective activities or methods for vocabulary learning have been studied for second language students. In particular, as the co-occurrence of words has been emphasized the lexical approach has appeared as a good language learning method. The lexical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dose not break language down into individual words and structures, but sees language in larger units. Based on lexical approach, many researchers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and classified them into a variety of types. Also some researchers conducted the collocation dictionaries according to types of collocation. In these days, with the help of computer, EFL students and teachers can search how the word collocates and can use the concordance program. Many studies on word combination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collocation study instead of the effect on collocation competence, or investigated the natures of collocation itself. There have been no studied to exam how appropriate and effective activity-based colloation teaching methods are employed to improve collocational competence for EFL learners. By investigating a variety of collocation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n activity-based collocation teaching on the verb focused collocation learning for Korea EFL high school students. Also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proficiency of English learners influences on collocation learning. For this study, 16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llocational activity group and definition-based group. Furthermore, each group was divided in upper level and lower level proficiency groups. The collocational activity group were given three kinds of activities; spaghetti matching, semantic map activity, collocation note making. The definition-based group were given explanation of individual words-definition by a teacher and presented sentences that target words are used. The target collocations we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enson, Benson and Ilson(1986) and are made of vocabularies included in the textbook and the workbook. To exam which collocation types are more difficult to Korea high school students precisely, among various type of collocation, the grammatical collocation and lexical collocation were used for learning. The classroom performed an experiment for about ten weeks. At first, the pretest for collocational knowledge was taken. After finishing the pretest, the collocational groups were given activities and the definition-based groups were given explanation by the teacher. For the last of the experiment, the post-test which had same questions as the pretest was taken.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llocational activity group achieved better score than the definition-based group in the collocation test. Secon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The upper level students with collocational activities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score than other proficiency groups. Therefore, it implies that various types of collocational activity should be presented for upper proficiency students. Moreover, for lower proficiency students, both definition based words learning and collocational activities are needed for improving collocation and vocabulary learning. Third, comparing the score between grammatical collocation and lexical collocation in the collocation test, the score of lexical collocation were better than grammatical collocation. In this study, spaghetti matching activities and collocation note mak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grammatical collocation. For lexical collocation, semantic mapp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ammatical collocation was more difficult for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implies that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prepositions followed verbs. Therefore, the more effective activities for the grammatical collocation should be studied.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llocational activities are effective on collocation learning process for especially advanced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different activities for collocation learning should be applied to students in accordance with other level groups.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s the knowledge of the individual word meaning had little to do with the knowledge of collocational competence. However, the study showes that the possibility of growth of collocational competence for students who have high proficiency vocabulary knowledge. Thus students and learners should focus on the learning collocation to use words what they learned and newly learn through effective collocational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5 A. 어휘 교수 방법 이론의 흐름 = 5 1. 어휘 교수 방법의 경향 = 5 2. 어휘 접근법 = 7 B. 연어에 관한 연구 = 9 1. 연어의 개념 및 특징 = 9 2. 연어의 분류 = 10 1) Cowie에 의한 연어의 분류 = 10 2) Benson에 의한 연어의 분류 = 13 C. 어휘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 16 1. 개별 어휘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 16 1) 사전 활용 방법 = 16 2) 의미적 정교화 = 17 2. 연어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 19 D. 선행 연구 = 22 1. 연어 학습 활동과 연어 학습 실태에 관한 연구 = 22 2. 연어 지도에 따른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 25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 문제 = 27 B. 실험 대상 = 28 C. 실험 자료 = 30 1. 연어 지식 측정을 위한 사전 · 사후 평가지 = 30 2. 수업용 연어 학습 활동지 = 33 1) 활동 중심 연어 교수 집단의 활동지 = 33 2) 명시적 정의 설명 연어 교수 집단의 활동지 = 36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39 1. 실험 절차 = 39 1) 사전 평가 = 39 2) 연어 학습 활동 절차 = 41 3) 사후 평가 = 42 2. 통계처리 = 42 3. 연구의 제한점 = 4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4 A. 활동 중심 연어 교수 방법이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4 1. 연어 학습 방법에 따른 집단 별 동사 연어지식 점수 변화 = 44 2. 연어 학습 방법과 학습자들의 능숙도에 따른 동사 연어 지식 차이 분석 = 45 B. 연어 교수 방법과 학습자들의 능숙도가 유형에 따른 연어(문법적 연어·어휘적 연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 48 1. 연어 교수 방법과 학습자들의 능숙도가 문법적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8 2. 연어 교수 방법과 학습자들의 능숙도가 어휘적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51 Ⅴ. 결론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61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21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활동중심 연어교수방법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들의 동사연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n activity-based collocation teaching on a verb-collocation learning : Focuse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Woo, Hye Young-
dc.format.pagex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