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단선적 교수법과 계층적 교수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계절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단선적 교수법과 계층적 교수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계절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Relative Clauses : Linear Teaching Method or Hierarchical Teaching Method
Authors
김진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7차 교육과정에서는 언어의 유창성 못지않게 언어의 정확성이 중요시되면서, 제2언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고, 보다 정확하게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제2언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언어에 대한 충분한 노출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우리나라와 같이 목표언어에 대한 노출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에서는 문법교수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문법교수는 제2언어 학습자들이 목표언어의 특정 문법 사항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은 그 문법 내용을 내재화하여 중간언어를 목표언어에 가깝도록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관계절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문법 사항 중 하나이다. 한국어에는 영어의 관계대명사에 해당하는 항목이 없고, 관계절과 선행사의 위치가 한국어와 영어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등의 여러 가지 차이 때문이다. 전통적인 관계절 교수 방식은 관계대명사 문장을 가르칠 때, 2개의 독립된 문장을 제시한 후 관계대명사를 이용해 연결하는 문장결합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Nakamori(2002)는 이러한 전통적 방식을 단선적 교수 방식이라 명명하고, 한 개의 독립된 문장과 관계절 전체를 제시해서, 관계절이 선행사의 명사구를 수식하면서 의미를 한정하는 계층적 교수 방식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관계절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모국어와 제2언어 환경에서 관계절의 습득 순서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 학습 환경에서 관계절을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Nakamori(2002)가 제안한 단선적 교수 방식과 계층적 교수 방식이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관계절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두 가지 방식에 따라 관계절의 유형별로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고, 잦은 빈도로 나타난 오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관계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진행되었고 1주와 8주에는 각각 사전평가와 사후평가가 이루어졌다. 단선적 교수를 받는 집단과 계층적 교수를 받는 집단에게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계대명사의 문법 규칙에 대한 명시적 교수를 실시하였다. 관계대명사 교수에 사용된 관계대명사 유형은 SS유형, SO유형, OS유형, OO유형의 4 가지였다. 교사의 명시적 설명에서 나타난 차이를 제외하고는 이해 연습과 표현 연습에 관련된 개인적 활동과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사의 피드백은 모두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사후평가는 이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문법성 판단, 영어 관계대명사 문장을 우리말로 옮기기 그리고 표현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빈칸에 알맞은 관계대명사 넣기, 한글을 영어로 작문하기의 4가지 영역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선적 교수법과 계층적 교수법을 통해 관계절에 대한 수업을 받은 집단간 학습효과의 차이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제2언어 초기 학습자에게는 관계절의 학습은 이해하기에 어려운 문법 항목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단선적 교수법과 계층적 교수법이 관계대명사의 4가지 유형(SS유형, SO유형, OS유형, OO유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각 평가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 평균은 계층적 교수법으로 학습한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미성이 나타난 사후평가 영역과 관계대명사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빈칸에 알맞은 관계대명사 넣기에서는 SS유형에서 유의미성이 검증되었다. 유도작문과 문법성 판단에서는 OS유형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영어 관계대명사 문장을 우리말로 해석하기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우리말 해석 영역을 제외한 다른 평가 영역의 결과를 살펴보면, 습득 난이도가 높은 유형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습득 난이도가 낮은 유형에서는 계층적 교수법이 단선적 교수법보다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셋째, 단선적 교수 집단과 계층적 교수 집단의 사후평가를 통해 관계대명사에 관련된 다양한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빈칸 채우기에서는 주격관계대명사와 목적격관계대명사를 혼동하거나 선행사가 사람 또는 사물인지 판단해야 하는 경우에 오류가 나타났고, 유도작문에서는 잘못된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는 오류, 관계대명사와 선행사의 근접성에 위배되는 오류, 대명사를 보유하는 오류 등이 나타났다. 문법성 판단 영역에서는 단선적 교수 집단이 관계대명사의 생략과 잘못된 관계대명사에 대한 판단에서 많은 오류를 보였고, 계층적 교수 집단은 대명사 보유와 근접성에 위배된 문장에 대한 판단에서 빈번한 오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우리말 해석에서는 영어 관계대명사 문장을 단어의 배열 순서대로 해석하는 오류와 주절과 관계절을 혼동해서 해석하는 오류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에게 관계절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독립된 문장을 결합하는 단선적 교수 방식뿐만 아니라 독립된 한 문장의 의미를 형용사절인 관계절을 이용해 확장하면서 관계절을 가르치는 계층적 교수 방식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계절의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 영역과 표현 능력을 측정하는 영역에서 관계절의 유형별 학습에 따른 차이와 오류 유형을 고려할 때, 관계대명사 교수 상황에서 학습자의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을 고르게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과제를 활용해 관계대명사를 가르쳐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The effects of formal instruction on grammar rules have been investigated in ESL/EFL learning situation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cquisition of the mother tongue. EFL students in Korea have little chance to be exposed to the target language except in the classroom of school or private institutes. Therefore students need to be taught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to help develop their interlanguage. Relative clause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r items for Korean learners.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relative clauses are presented. Even one sentence containing a relative clause is shown in the textbook, Korean learners are taught relative clauses by two separated sentences first. Then these sentences should be combined into one sentence using relative pronouns. Nakamori(2002) called this traditional method the linear teaching method and proposed the hierarchical teaching method, which focuses on the relative clause as a whole unit. The relative clause is inserted into a matrix clause in a subject or object position to modify the head noun.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instruction methods, which are the linear teaching method and the hierarchical method, on learning relative claus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more effective way of learning relative claus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middle school in Seoul, Korea for 8 weeks. The linear teaching method group and the hierarchical teaching method group are consisted of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Each group was instructed, explicit grammar rules of relative clauses through the different teaching method respectively. Four different types of relative clauses were targeted; Subject-Subject(SS) type, Subject-Object(SO) type, Object-Subject(OS) type, Object-Object(OO) type.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teaching method, the other exercises, individual activities, and feedback to the whole class were identical. A post-test was administered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learners' knowledge in relative clauses through the gap-filling task, the guided English compositio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and English-Korean translation task.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esults in the post-test between the linear teaching method group and the hierarchical teaching method group. To measure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the students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and the English-Korean interpretation task were used, and to measure the production ability of those the gap-filling task and the guided English composition task were presented. However, learning relative clauses was challenging and difficult for the participants in this experiment to understand, who were onl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econd, the results considering the types of relative clauses through the four different tasks of the post-test, overall gains of the hierarchical teaching method group were higher than the other. There were some results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S type of relative clauses in the gap-filling task, OS type in the guided English composition and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task. Third, the errors produced by learners in the post-test were analyzed. Wrong relative pronouns use, non-adjacency, pronoun retention were found in gap-filling task and inappropriate word order was found in guided English composition.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tasks, students showed their tendency to translate English sentence in accordance with Korean word order. In conclusion, different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signed and instructed to help students learn grammar items better. Also, considering the error types from the post-test, various types of activities or tasks should be used to help students to comprehend and produce relative clauses. Moreo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n different proficiency level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