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효과적인 지역마케팅을 위한 도시브랜드 개발

Title
효과적인 지역마케팅을 위한 도시브랜드 개발
Authors
김부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local self-government getting more active, people and capitals have become more free to transfer from place to place, and thus cities are now in an era of a so called an open competition. Each district has become more active with marketing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economic development in a variety of ways. To keep the competitiveness, the role of a local government is becoming bigger. To tourists and enterprises, cities were considered as a commodity. To enhance the value of a city, city marketing was more intensified. Building up a new enterprise, bringing in a capital, and gett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re now the main jobs of a mayor, a magistrate and a provincial governor. A brand, which was considered only as the job of an enterprise in the past, is now introduced as an instrument to a local development; cities are becoming a brand. City brand needs goals followed by a long-term planning and a coherent development. Goals of a district need to be announced through the brand. Synergy effect can be seen only if strategic and well-organized marketing is based on this. However, a majority of the districts which have developed a city brand have carried on a with city marketing that is "not strategic" and "poorly organized", and therefore are consequently are far from succeeding. With poor methodology and a lack of know-how, indiscriminated development copying that of other districts must be avoided. Therefore, this research considered city marketing as well as the definition, constituents, necessity, and strategies of a city brand through documentary records, and it studied and analyzed case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ity brands. All of this has been reflected on the developing of Samcheok's city brand. For an in-depth analysis of Samcheok, I have constantly visited the city's web site, collected articles related to the city, and did surveys with the citizens. Consequently, the city's images and visions have been derived from them. The derived images and visions of Samcheok have been reflected on Samcheok's city marketing strategies, choosing of the city brand slogan, and designing the city brand. Currently, Samcheok is at a point of transforming from a coal mining region to an overall tourist spot. At such a point in time, city marketing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 city brand that can support such city marketing are necessary. Samcheok needs to build and practice systematic city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The marketing to reinvigorate the region of Samcheok demands a development of a city brand that clearly reflects the city's visions and characteristics. The brand development that can be a strong means to Samcheok's interactive cooperation and summit diplomacy is the core of the city's image strategy. The city brand must be developed systematically. Many cases of city brands that omitted such procedure lead to numerous problems as those cases are utilized. Furthermore, an in-depth and elaborate preliminary study is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Samcheok's city brand. A coherent and constant city marketing of Samcheok must be followed by the city brand that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afore mentioned procedure. A city brand manual system must be developed to assist the city brand systematically. Post-development management is just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itself, and this goes to all the cities including Samcheok. No matter how a city brand has been developed successfully with the region's characteristics and visions put into it, the meaning of the city brand will be made pointless if there isn't enough city marketing related to the city brand, and if the designs are inconsistently kept up. As it can be commonly seen i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cities, a professional organization that would manage the city brand systematically must be established and utilized by connecting it to activities such as various festivals and campaigns.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oes beyond the functional and the aesthetical angle of a design, and focuses on a value centered on human, environment and culture.;세계화 지방화의 국면 속에 지방자치의 실시와 함께 사람과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각 지역도시들은 자유 경쟁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 각 지역들은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지역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도시들은 외부기업과 관광객들에게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도시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도시마케팅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기업을 유치하고, 자본을 도입하며 정부로부터 지원을 얻어내는 것이 시장, 군수, 도지사의 중요한 역할이 되고 있다. 기업의 전유물로만 여겨지던 브랜드를 지역 발전의 도구로 도입하여 도시를 브랜드화 함으로써 도시마케팅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시브랜드는 지역이 추구하는 장기적 계획에 따른 목표와 일관성 있는 개발을 필요로 한다. 브랜드를 통해 지역의 목표를 공지시키고 이것을 기반으로 전략적으로 체계화된 마케팅을 펼쳐야만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브랜드를 개발한 대다수의 지역들이 체계적이지 못한 도시마케팅을 펼침으로서 브랜드의 효율적인 개발과 활용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방법론과 노하우가 부족한 상태에서 타 지역이 개발하니까 우리지역도 개발한다는 식의 무차별한 도시브랜드의 개발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마케팅과 도시브랜드의 정의와 구성요소, 필요성, 전략 등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국내외 도시브랜드 개발 사례를 연구 분석하여 삼척시 도시브랜드 개발에 반영하였다. 삼척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삼척시청의 홈페이지와 삼척시 관련기사를 수집·분석하고, 삼척시민과 타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삼척시의 비전과 도시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삼척시의 비전과 이미지는 삼척시 도시 마케팅 전략과, 도시브랜드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현재 삼척시는 탄광지역을 종합 관광단지로 개발하려는 전환기적인 시점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마케팅과 또 이것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도시브랜드의 개발이 꼭 필요한 시점이다. 삼척시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도시마케팅전략의 수립 및 실천이 필요하다. 삼척시 지역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에서는 도시의 비전과 특징을 잘 대변하는 도시브랜드 개발이 요구된다. 삼척시 교류협력활동과 정상외교활동의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는 브랜드의 개발은 삼척시 이미지 전략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도시브랜드의 개발은 단계적으로 체계적이게 이루어 져야한다. 체계적인 과정 없이 개발된 도시브랜드 사례들은 활용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삼척시 도시브랜드 개발을 위해서는 심층적이고 면밀한 사전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삼척시 도시브랜드는 일관되고 지속적인 삼척시 도시마케팅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하며, 도시브랜드 매뉴얼 시스템을 개발하여 도시브랜드의 관리를 도와야 할 것이다. 아무리 지역의 특색과 비전을 담아 성공적으로 개발된 도시브랜드라 할지라도 개발 후에 도시브랜드와 연개 된 도시마케팅의 부족과 디자인을 일관성 없이 유지한다면 도시브랜드의 의미는 퇴색하고 말 것이다. 외국 도시의 도시브랜드 성공 사례에서도 공통적으로 볼 수 있듯이, 도시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전문적인 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축제 및 캠페인 등의 활동과 연계시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디자인을 기능성과 심미성의 관점에서 벗어나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인간과 환경 그리고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가치 중심적인 관점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