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소현-
dc.creator안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9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 및 양육행동간 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어머니 관련변인이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소재한 7개의 재활병원과 복지관에서 입원 및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만 3~5세의 뇌성마비 유아의 어머니 99명과 그들의 담당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있어서 뇌성마비 유아의 장애 정도와 인지 수준에 따른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뇌성마비 유아의 담당 작업치료사들을 통해 DDSTⅡ(Denver Development Screening Test Ⅱ)를 실시해 대 근육 발달이 네발기기 이상이고, 언어수준이 36개월 이상인 유아로 대상을 제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를 전혜인(200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해 Halberstadt(1986)의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FEQ)를 안라리(2005)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박성연과 이숙(1990)이 개발한 척도를 김미숙(2005)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Achenbach(1978)의 아동 행동에 관한 질문지(Child behavior checklist)와 Quay(1972)의 정서적 부적응 질문지를 참고로 김영숙(1988)이 제작한 정서적 부적응 행동 검사 도구를 김순정(2001)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애정, 합리적 지도, 적극적 참여의 양육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의 양육행동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애정, 적극적 참여의 양육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의 양육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합리적 지도, 애정, 적극적 참여의 양육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의 양육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에 있어서 정서표현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적극적 참여의 양육행동에 있어서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고, 양육스트레스와 권위주의적 통제의 양육행동에 있어서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보호, 합리적 지도의 양육행동에서는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뇌성마비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뇌성마비 유아의 위축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정서표현성 및 권위주의적 통제의 양육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행동은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의 양육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유아의 퇴행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적극적 참여의 양육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박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뇌성마비 유아의 과잉행동에는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을 통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어 애정, 권위주의적 통제, 적극적 참여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지지뿐만 아니라 장애유아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적절한 정서 표현을 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애정, 적극적 참여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높이고 권위주의적 통제의 부정적 양육행동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 양육행동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는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상담과 중재에 있어서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와 어머니와 뇌성마비 유아간의 긍정적 정서교류, 합리적지도와 적극적 참여의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갖을 수 있도록 좀더 포괄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한다면,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안정과 앞으로의 사회적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behaviors of the mother who have child with Cerebral Palsy( CP ),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related variables on the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CP.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inety nine mothers who parent child with CP and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them. Those children with CP were three to five years old, and institutionalized into seven different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wel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do.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degree of disability and cognitive factor, relevant child with CP for this study was limited to only those who show more than 36month developmental level of quadri-pedal and linguistic ability, based on DDSTⅡ.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adapted by Jun(2006) from Abidin(1990) wa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FEEQ) adapted by Ann(2005) from Halberstadt(1986) was used to evaluate th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 order to measure the parenting behavior, the scale that is developed by Park& Lee(1990)and modified by Kim(2001) was utilized. The measure tool used to assess the CP infant'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is the one/questionnaire that Y.S. Kim(1988) has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chenbach, 1978) and the emotional maladjustment questionnaire (Quay, 1972) and then S.J. Kim (2001) has reconstituted for the teacher's use.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SPSS WIN 12.0 software program. The SPSS was utiliz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t is significantly positive-correlated with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behavior,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s significantly negative-correla -ted with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Second, some mediating roles of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have been explored. The positive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s between parenting stress, affection, and active involvement. And the negative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authoritarian control.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related variables and the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CP has been evaluated. There were some tendency that the child's cowered-behaviors are affected by maternal parenting stress, positive expressiveness, and authoritarian control, the child's aggressive behaviors are affected by mother's logical way,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the child’s withdraw-behaviors are affected by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active involvement the child's obsessive-behaviors are affected by maternal parenting stress. Based on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behaviors on the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CP that, this study found it is proposed that more comprehensive parent-education, which includes management of maternal stress, good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desirabl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logical way and active involvement, is required in order to understand and intervene the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C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뇌성마비의 정의 및 발생률 = 6 B. 장애유아 어머니의 특징 = 7 1. 양육스트레스 = 7 2. 양육행동 = 9 3. 정서표현성 = 11 4.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 및 양육행동 = 12 C. 장애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13 1. 정서적 부적응 행동 = 13 2.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15 D.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16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도구 = 20 1. 양육스트레스 = 20 2. 정서표현성 = 21 3. 양육행동 = 22 4. 정서적 부적응 행동 평가지 = 25 C. 자료 분석 = 26 Ⅳ. 연구결과 = 27 Ⅴ. 결론 및 논의 = 39 참고문헌 = 45 부록 = 51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1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뇌성마비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Behaviors to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dc.creator.othernameAn, So Hyun-
dc.format.pageix,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