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희선-
dc.creator정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1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솔루션 프로그램의 초상권 침해가 영상적으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솔루션 프로그램의 초상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잠정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보는데 있다. 최근 들어 시청자들의 권리 의식이 높아지면서 초상권과 관련된 각종 분쟁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방송사들은 보다 강력한 자구책을 마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고, 개인의 권익 보호와 방송사의 법적 분쟁 최소화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서 초상권 침해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은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다. 그중에서도 최근 3-4년 사이에 안정적인 시청률을 기록하며 지상파 방송에 정착한 솔루션 프로그램은 주목할 만한 장르이다. 솔루션 프로그램은 일반인을 등장시켜서 짜여진 각본 없이 그들의 실제 생활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을 그대로 구현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곳곳에 숨어있는 카메라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낱낱이 드러내고 엿보기 심리를 자극하기 때문에 출연자의 초상권 침해 가능성이 매우 높은 프로그램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지상파 방송의 대표적인 솔루션 프로그램인 긴급출동 SOS24의 초상권의 침해 특성을 살펴보고, 초상권 침해를 최소화 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긴급출동 SOS 24의 초상권 침해 사례는 영상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긴급출동 SOS24에서 초상권 침해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초상권 침해를 최소화 시킬 방안 및 잠정적 제작 가 이드라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를 위해 '긴급출동 SOS24'의 첫 회가 방송된 2005년 11월부터 2007년 2월까지의 프로그램 중 '초상권 침해 문제로 출연자가 적극적으로 문제제기를 해왔거나 언론 등을 통해 초상권 침해가 공론화됨으로써 갈등이 불거진 사례' 총 18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프로그램 사례에서 초상권 침해 문제가 어떻게 영상적으로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제작진에 대한 면접을 통해 초상권 침해가 발생하는 원인과 최소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상권 침해 사례의 영상적 표현 방식을 분류 해 볼 수 있었는데, ① 직접적 초상권 노출 ② 집의 외경 노출 ③ 거주 지역 노출 ④ 집안 구조 노출 ⑤ 의상 노출 ⑥ 특정 사연 노출 ⑦ 주변 취재에 의한 노출 ⑧ 협찬 스크롤에 의한 노출 ⑨ 인터넷 추적에 의한 노출 등의 방식이 그것이었다. 이는 방송에서 출연자의 얼굴화면을 모자이크 처리하고 목소리를 변조하는 등 기본적인 초상권을 보호하더라도 집의 외경과 거주지역, 집안 구조, 의상, 특정 사연 등이 방송에 노출됨으로써 출연자의 초상권이 침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밖에 주변인을 취재하는 과정과 협찬스크롤 자막을 통해서도 초상권 침해 가 될 수 있음을 사례 분석을 통해 밝혀냈다. 이 밖에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제작진의 초상권 보호 노력과는 별개로 방송을 본 수용자(네티즌)들에 의해 출연자의 신분이 드러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었다. 그런데 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구성의 특성인 '현장성'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제작진은 네티즌들에게 초상권 침해의 심각성을 알리고 올바른 온라인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의 결론이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초상권 침해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모자이크,음성변조, 가명사용 등 직접적인 초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에는 제작진 모두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그 외의 초상권 침해 방식에 대해서는 30% 이하의 제작진만이 그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작진의 인식 조사 결과를 토대로 초상권 침해가 반복되는 이유를 분석해 볼 수 있었는데, ① 초상권 보호가 직접적 초상권 침해에 한정되어 있는 실태 ② 초상권 침해 요인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 부족 ③ 게이트 키핑의 부재④ 수용자에 의한 초상권 침해 방지 방안의 부재 ⑤ 출연자의 일거수일투족을 담아내야 하는 솔루션 프로그램의 한계 등을 꼽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솔루션 프로그램의 초상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잠정적인 제작 가이드라인을 정리해 볼 수 있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첫째, 각색된 정보를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즉 집의 외경 대신 다른 집의 외경을 사용하고, 거주지역이나 집안 내부의 노출을 막기 위해 다른 곳을 섭외해 촬영 하고, 의상 노출을 막기 위해 다른 옷으로 갈아입혀 촬영 하고, 특정 사연을 일반적인 수준의 사연으로 각색하는 등의 제작 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아파트는 외경 노출을 막기 위해 복도 장면부터 사용하고, 거주지의 특정 간판이나 건물이 드러나는 것을 피해야 하며 집안의 특정한 인테리어 앞에서는 인터뷰를 자제해야 한다. 출연자의 신분이 드러나는 특정의상(교복 등)을 입은 장면은 편집 시 배제해야 하며 협찬 스크롤은 지명이 들어가지 않도록 00처리하는 등 전달하는 정보를 최소화함으로써 직접적인 출연자의 신상정보 노출에 대비해야 한다. 세째, 제작진은 출연자에게 방송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부정적인 부분까지 가급적 설명해 주고 얼굴 모자이크만으로 초상권이 완벽하게 보호될 수 없음을 충분히 알려야 한다. 넷째, 세 번째 시도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영상 표현에 대한 제작진의 의욕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이는 비단 리얼리티 프로그램만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특별히 출연자들의 초상권 침해 개연성이 높은 솔루션 프로그램 제작진은 다시 한번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were manifested in the films of solution programs and to suggest potential guidelines designed to minimize the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in solution programs. Recent years saw an enhancement of the viewers' awareness of their rights and accordingly an increase to the number of various disputes related to right of likeness. Each of the broadcasting stations has shown enormous amounts of interest in the ways to prevent any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to reduce legal issues to the minimum. Especially attracting attention in that regard are solution programs, which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s that follow common people around in their everyday lives with no scripts. In the process, the camera picks up their human nature that's hidden all over the places and stimulates the audience's desire to be a peeping Tom, thus raising the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the right of likeness of the individuals depicted in solution programs to a considerable degree. In that vei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by Emergency Dispatch SOS 24, which was one of the foremost solution programs of Korea's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and to search for the ways to minimize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are the cases of infringement on right of likeness manifested in the films of Emergency Dispatch SOS 24?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ases of the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in Emergency Dispatch SOS 24?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plans to minimize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and potential production guidelines? Analyzed in the study were 18 cases in which disputes over right of likeness occurred among the episodes of Emergency Dispatch SOS 24 that were aired from November 2005 when the very first episode was aired to February 2007. The interviews with the concerned individuals and the contents of the episode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were manifested in the films. And the producers were interviewed to analyze the causes and minimization plans of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The analyse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anifestations of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in the films were categorized into ① direct exposure of right of likeness, ② exposure of the landscape outside the home, ③ exposure of the local area, ④ exposure of the inside structure of the home, ⑤ exposure of the clothes, ⑥ exposure of a certain story, ⑦ exposure by covering the surroundings, ⑧ exposure by the sponsorship scroll and ⑨ exposure by the investigation on the Interne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ight of likeness of the concerned individuals of the show can be violated by a variety of elements even if their basic right of likeness is protected by blurring their faces and changing their voices. Especially it's noteworthy that there are often the cases in which the concerned individuals are revealed by the netizens who watched the show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staff's efforts to protect their right of likeness. Thus it's critical to inform the netizens of the severity of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and make efforts to create a right online culture in addition to the producers' efforts to protect the concerned individuals' right of likeness. Second, the producers' perceptions of infringement on right of likenes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reasons of their repetitive occurrence were identified as ① protection of right of likeness is restricted to direct infringement, ② the producers' lack of awareness of the factors to infringe right of likeness, ③ the absence of gatekeeping, ④ the absence of the plans to prevent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on the part of the receivers, and ⑤ the limitations of a solution program that's supposed to follow the target individuals 24/7. Finally, the potential production guidelines were suggested to minimize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in solution programs; first, the producers need to provide adapted information. That is, they can use the landscape of a different house, a difference local area, or a different house. The individuals can change into different clothes to prevent exposure of their easily identifiable clothes. And a certain story can be adapted into a common story. Second, information provision should be reduced to the minimum. The aisles should be captured instead of the entire apartment building to prevent an exposure of the landscape. Certain signs and buildings in the local area should be avoided. Any interviews in front of a certain interior element inside the home should be deterred. The scenes where the individuals were interviewed in easily recognizable clothes(for instance, a school uniform) should be edited out. And the area name in the sponsorship scroll should be replaced with 00. The producers must take every caution not to expos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s of their shows directly by reducing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minimum. Third, the producers should explain even the negative aspects of broadcasting to the individuals and inform them that their right of likeness cannot be protected completely just by blurring their faces. And fourth, the producers must properly control their desire to maximize their film expressions. Although the issue is not limited to reality programs, the producers of a solution program, which has a high possibility of infringements on an individual's right of likeness, should review the issue once again. The achievements of the study include the analysis of the infringements cases of right of likeness in a solution program and the suggestion of potential guidelines to offer reference in protecting right of likeness. Despite those achievements, however, it doe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ubjects, analysis data, and strictness of analysis method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lead to follow-up researches, which will approach the ways to prevent infringements on right of likeness in a solution program in a more diverse manner and generate results that will be applied to actual production processes more a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초상권의 개관 = 6 1. 초상권의 개념과 유래 = 6 2. 한국의 초상권에 관한 법규 = 7 3. 영상 매체의 초상권에 관한 규정 = 8 4. 초상권 침해에 관한 선행 연구의 경향 = 11 B. 솔루션 프로그램의 개관 = 13 1. 솔루션 프로그램의 개념 = 13 2. 서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 = 14 가. 리얼리티 쇼 = 15 나. 솔루션 프로그램 = 17 3. 한국의 솔루션 프로그램의 특성 = 18 C. 긴급출동 SOS24 개관 = 22 1. 솔루션 프로그램으로서의 특수한 제작 현황 = 22 2. 초상권 침해와의 충돌을 내포한 소재의 특성 = 23 3. '현장성'을 강조한 구성의 특징과 초상권 침해 = 25 Ⅲ 연구문제 = 27 Ⅳ 연구 방법 = 28 A. 분석 대상 = 28 1. 분석대상 자료 선정 = 30 2. 분석대상 제작진 선정 = 30 B 분석 방법 = 30 1. 출연자에 대한 전화 면접 = 30 2. 전화면접 진행자에 대한 대면 면접 = 32 3. 프로그램 내용 분석 = 32 4. 제작진에 대한 서면 면접 = 33 5. 조사 일정 = 34 Ⅴ. 연구 결과 = 34 A. 초상권 침해 사례의 내용 분석 = 34 1. 직접적 초상권 침해 = 36 가. 동의 받은 초상 노출과 초상권 침해 = 36 나. 제작진의 부주의로 인한 초상권 침해 = 38 2. 집의 외경 노출에 의한 초상권 침해 = 39 3. 거주지역 노출에 의한 초상권 침해 = 42 가. 배경화면에 비친 간판 노출 = 42 나. 거리 풍경 노출 = 43 다. 특정 건물 노출 = 44 5. 의상 노출에 의한 초상권 침해 = 48 6. 특정 사연 노출에 의한 초상권 침해 = 49 4. 집안구조 노출에 의한 초상권 침해 = 45 7. 주변 취재로 인한 초상권 침해 = 51 8. 협찬 스크롤 노출에 의한 초상권 침해 = 52 9. 시청자들의 온라인 추적에 의한 초상권 침해 = 53 B. 초상권 침해가 발생하는 원인 분석 = 55 1. '직접적 초상권 침해'에 한정된 초상권 보호실태 = 56 2. 초상권 침해 요인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 부족 = 58 3. 게이트 키핑의 부재 = 59 4. 수용자에 의한 초상권 침해 방지방안의 부재 = 61 5. 솔루션 프로그램의 한계 = 63 C. 초상권 침해 최소화 방안 = 64 Ⅵ. 결론 = 67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 67 B.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69 참고문헌 = 72 <부록 1> 전체 분석 대상 목록 = 75 <부록 2> 서면 면접 질문지 = 77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48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솔루션 프로그램의 초상권 침해 사례 내용 분석과 제작진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긴급출동 SOS24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Infringement Cases on Right of Likeness among Solution Programs and Investigation into the Perceptions of the Producers : With a focus on Emergency Dispatch SOS 24-
dc.creator.othernameChung, Hee Seon-
dc.format.page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