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상민-
dc.creator박상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여러 유형의 아동학대경험이 아동의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가정 내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심각한 수준의 학대만을 아동학대로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을 바로 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대경험이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서 사회적지지의 효과를 밝혀 학대를 경험한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사회와 환경이 제공해줄 수 있는 보호요인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사회적지지원이 매우 부족한 환경에 처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러 유형의 사회적지지원으로부터 지지를 받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의 하위유형 가운데 어느 한 가지의 지지만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도 학대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학대경험과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아동의 대인불안, 학교생활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 안산, 김포, 동두천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의 6학년 아동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아동의 학대경험, 지각된 사회적지지,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학대경험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각 하위유형이 아동의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아동학대경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대경험이 심각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관이 크게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특히 친구지지나 교사지지는 가족의 지지에 비해 학대와의 상관이 낮게 나타나 학대를 경험한 아동이라 하더라도 친구나 교사 등의 다른 사회적 지지원을 통해 지지를 추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아동학대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 중 친구지지, 정서적 학대, 가족지지, 방임이 아동의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지지, 가족지지, 친구지지, 방임, 정서적 학대는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학대는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눈에 보이는 신체적인 상처 보다 보이지 않는 마음의 상처가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 중 친구의 지지는 대인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 중 친구의 지지와 가족의 지지는 아동의 학대경험을 매개하여 아동의 대인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의 지지와 가족의 지지, 그리고 교사의 지지는 아동의 학대경험을 매개하여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회적지지의 하위유형은 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각각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대를 경험한 아동이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 가운데 어느 한 가지의 지지만이라도 받을 수 있다면 학대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위의 연구결과를 볼 때 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학대의 하위유형 가운데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만큼 아동학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바꾸어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와 방임에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가 미치는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의 기능을 밝혔다. 이 때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 중 한 가지 지지만 있을 때에도 아동학대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적응을 돕기 위해 아동의 생활환경에 있는 다양한 지지원을 확인하여 적극 활용해야하며, 아동이 사회적 지지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할 것이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types of abuse experience on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nd adjustment to school and so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domestic abuse and to straighten out the wrong idea that only serious abuse is abuse. By demonstrat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abuse experience, this study prepared a ground for giving aid to children who experienced abuse so that they are able to grow health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320 sixth?graders from 4 schools in Bucheon, Ansan, Gimpo and Dongducheon in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and AMOS 6.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 abuse is negatively correlated to perceived social supports, but the correlation is not noticeable. Especially support from friends and teachers is almost ignorable. This may indicate that children can get support from another supporters like friends or teachers even if they experience domestic abuse. Second, support from friends, emotional abuse, support from families and neglect, which are one of the subtypes of child abuse and social support ha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support from teachers, families and friends, neglect and emotional abuse have an effect on adjustment to school. Among the subtypes of child abuse, emotional abuse has the strongest impact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neglect has the strongest impact on adjustment to school. Physical abuse has no considerable impact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adjustment to school. Such findings suggest that an invisible mental wound can be more harmful than a visible physical wound. Among the subtypes of social support, support from friends has the strongest impact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from teachers has the strongest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work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effect of abuse and so reduces the negative effect of abuse experience. That is, children who experienced abuse suffer from interpersonal anxiety and fail to adjust themselves to school, but children who perceive social support can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ab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l types of social support have a profound effect on abused children. Especially support from friends and family has an effect on abused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s well a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Support from teachers cannot minimize abused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but it can help their adjustment to school. Therefore, if children who experienced abuse can perceive only one type of social support, the support may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abuse on their interpersonal anxiety or adjustment to school. Seeing from the results above, abuse exper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nd adjustment to school. Therefore, it is keenly necessary to prevent child abuse and make plans for minimizing the negative effects of abuse. Especially emotional abuse and neglect have a more negative effect on abused children. Consequently, it is indispensable to change the general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to give attention to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well as physical abuse. Also this study revealed the role of social support as protection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abuse. For helping abuse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various supporters and enhance the abused children's ability to get social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i 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A. 아동학대 6 B. 대인불안 9 C. 학교생활적응 12 D. 사회적 지지 14 E. 연구 모형 및 가설 17 III. 연 구 방 법 19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19 B. 검사도구 20 C. 자료의 분석 방법 26 IV. 연구결과 27 A.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 27 B. 측정 변인간의 상관관계 30 C. 아동학대와 사회적지지의 각 하위유형과 종속변수와의 관계 33 D.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37 V. 결론 및 논의 43 A. 연구의 요약 43 B. 연구의 함의 46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록 56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29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대인불안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buse experienced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nd adjustment to school-
dc.creator.othernamePark, Sang min-
dc.format.pagevi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