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소현-
dc.creator박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9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eir father, mother and peers and school bullying and correlative influence of how their attachment for their father, mother and peers effect the victims of bullying and perpetrators. The hypothese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difference in the stability of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experience (perpetration group, victimization group, perpetration-victimization group and non-experience group). 2. There is difference in the stability of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bullying by sex. 3.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stability of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bullying. 4. There is difference by sex on the influence of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 in the scale of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bullying. This study carried out the survey with 7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4th, 5th and 6th grade of 6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area, which were chosen randomly, in order to verify such matters. It surveyed the scale of attachment for their father, mother and peers and the distinction criteria of victimization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673 copies in total (355 male students and 318 female students), excluding the insincere ones. The inspection tool utilized for this survey was IPPA-R (revised version of The Inventory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 The original program was designed by Armsden Greenberg (1987) to evaluate the attachment of children for their father, mother and peers and, and then later was revised in 1991. It also used Bullying-Behavior Scale developed by Neary and Joseph (1994), which was adapted and revised by Lee Choon-jae and Kwak Geum-joo (2000), to assort the properties of perpetration group of school bullying. The researchers reconstituted after checking the difficulties on the contents of items and constitution so that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can understand easily. As a method of analysis, it figured out the basic statistical value by the collected data and perform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like following. First, the stability of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by the type of experience with bullying was shown high in the order of non-experience group, perpetration group, victimization group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group in general. The attachment for mother was shown high in the order of non-experience group, perpetration group, victimization group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group. The attachment for father was also shown high in the order of non-experience group, perpetration group, victimization group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group. In the case of attachment for peers, perpetration group and non-experience group were shown high at the same level,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group and victimization group were shown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perpetration group and non-experience group.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ub-realms of attachment for father such as reliability, communic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were the highest in non-experience group and were the lowest relatively in victimization-perpetration group, and the sub-realms of attachment for mother like reliability, communic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non-experience group and were the lowest relatively in victimization-perpetration group. Finally, the sub-realms of attachment for peer like reliability, communic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non-experience group and were the lowest relatively in victimization group.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realms of stability of attachment for father and mother by sex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were shown relative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the stability of attachment for peer; reliability and communication. In th aspect of perpetration level of bullying by sex, the perpetration level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female and victimization level was also shown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Third, there was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perpetration level and victimization level of bullying and the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in general. The perpetration level showed negative (-) correlation in the order of attachment for peer, father and mother. Particularly, the victim scale and stability of attachment for peer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it implies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experiencing victimization of bullying as the stability of attachment for peer is low. Fourth, observing the influence of the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in the level of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bullying, high stability of attachment for father showed low level of perpetration of bullying in the case of male and high stability of attachment for peers showed low level of victimization of bullying in the case of male children, while high stability of attachment for peers showed low level of perpetration of bullying and high stability of attachment for peers showed low level of victimization of bullying in the case of female children. It indicate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These results said that the attachment for father, mother, and peers influence the level of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bully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each differently.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hopefully helpful to understand how the types of bully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related to the attachment for their father, mother and peers and consequently take counsel with victims and perpetrators of bullying in schools.;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부, 모, 또래에 대한 애착과 집단따돌림과의 관계와 부, 모, 또래에 대한 애착이 집단따돌림 가해학생, 피해학생에게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집단 따돌림 가해/피해정도와 부, 모, 또래 애착안정성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2. 집단따돌림 경험유형(가해군, 피해군, 가피해군, 무경험군)에 따라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집단따돌림 가해/피해정도와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4. 부, 모, 또래 애착이 집단 따돌림 가해/피해정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4, 5, 6학년 아동 720명을 대상으로 부, 모, 또래 애착 척도, 집단따돌림 판별척도를 설문지 조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무성의하게 응답된 것을 제외한 총 673부(남학생 355명, 여학생 318명)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검사 도구는 부, 모, 또래에 대한 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Armsden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 : IPPA)를 1991년에 수정한 개정본(IPPA-R)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따돌림 가해자 성향의 집단을 선별하기 위해서 Neary와 Joseph(1994)이 개발한 집단따돌림 행동 척도(Bullying-Behavior Scale)를 이춘재와 곽금주(2000)가 수정?번안한 것을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내용 및 구성에 대한 어려움을 확인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재구성 사용하였다. 또한 다른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피해자 성향의 집단을 선별하기 위하여 Callaghan과 Joseph(1995)이 개발한 ‘또래로부터의 따돌림 척도(Peer victimization scale)’를 이춘재와 곽금주(1999)가 수정?번안한 것을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내용 및 구성에 대한 어려움을 확인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재구성해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기초 통계치를 산출하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부, 모의 애착안정성의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또래의 애착안정성의 신뢰감이나 의사소통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따돌림 가해정도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가해정도가 더 높았으며, 피해정도에 있어서도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피해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집단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은 전체적으로 무경험군, 가해군, 피해군, 가피해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 애착은 무경험군, 가해군, 피해군, 가피해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 애착도 무경험군, 가해군, 피해군, 가피해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래애착은 가해군과 무경험군이 같은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해군과 무경험군에 비하여 가피해군과 피해군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애착의 하위영역인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에 대해 무경험군의 경우가 가장 높았고, 피해 및 가해군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모애착의 하위영역인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에 대해서 무경험군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해 및 가해군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또래의 애착안정성의 하위영역인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에 대해서 무경험군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해군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집단따돌림 가해정도와 피해정도는 부, 모, 또래 애착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집단따돌림 가해정도는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 순으로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는 또래 애착, 부애착, 모애착 순으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특히, 또래 애착안정성과 피해정도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또래와의 애착안정성이 낮을수록 집단따돌림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부, 모, 또래 애착이 집단 따돌림 가해정도와 피해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남자 아이들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집단따돌림 가해정도가 낮아지고, 또래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도 낮아진다. 여자 아이들의 경우 또래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집단따돌림 가해정도가 낮아지고, 또래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집단따돌림 피해정도도 낮아져서 남아와 여아의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가해정도와 피해정도는 부, 모, 또래의 애착에 따라 달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초등학생들의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과 부모와의 애착, 또래 애착과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학교 현장에서 집단 따돌림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을 상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가설 = 4 II. 선행연구 고찰 = 5 A. 애착 = 5 1. 애착과 내적 실행 모형 = 5 2. 애착의 발달 및 분류 = 6 3. 아동기의 애착 = 8 B. 집단따돌림 = 9 1. 집단따돌림의 개념 = 9 2. 집단따돌림의 개입유형별 특성 = 13 3. 집단따돌림에서의 성차 = 16 4. 집단따돌림의 원인 = 17 5. 집단따돌림의 영향 = 22 6. 집단따돌림의 대처방안 = 23 7.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집단따돌림의 특성 = 24 C. 애착과 집단따돌림의 관계 = 25 1. 부모애착과 집단따돌림의 관계 = 25 2. 또래애착과 집단따돌림의 관계 = 26 3. 부모애착과 또래애착간의 관계 = 26 III.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절차 = 29 C. 연구도구 = 29 1. 부모에 대한 애착 = 29 2. 또래에 대한 애착 = 30 3. 집단따돌림 판별도구 = 31 D. 자료분석 = 33 IV. 연구결과 = 34 V. 논의 = 46 참고문헌 = 51 부록 = 57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27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부, 모, 또래 애착과 집단따돌림 경험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rrelative influence of how their attachment for their father, mother and peers effect the victims of bullying and perpetrators-
dc.creator.othernamePark, so hyun-
dc.format.page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