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참여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이 언론의 공정성과 자율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참여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이 언론의 공정성과 자율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ffect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s on the Media's Equity and Autonomy : Centering on the news reporters' viewpoint
Authors
김예령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Until now, communication scholars and journalists have rendered an opposing judgment on the press corps. While communication scholars are generally in the negative focusing on the side effect of the press corps, not a few journalists hold an opinion that we should acknowledge its efficiency in reality. For this reason, it is true that the main stream of the opinion this while has been to improve the press corps rather than completely abolish it. That is, it is claimed that since the pressroom system and the reporters’awareness or news-gathering practices haven’t changed basically or much, dissolution of the press corps has no effectiveness. In this context, the alternative which was brought up with the launch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2003 was the introduction of open-type briefing system, reporter’s room opening, and prohibition of news gathering at office. The reporter’s room restructuring which began putting on acceleration this way had gone on to Measures for Developing an Advanced Media Support System of May, 2007. And then, with a finished construction work on the joint briefing center in the annex to the Central Office Building, the reporter’s workspace in the eleven ministries of it, including the Foreign Ministry, came to be closed one after another. At last, in the press,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media controls began to be brought forward. Most of the journalists began to resist insisting tha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ried an artificial restructuring on the existing reporter’s room at will and that this new system included the element of the press suppression. Of course, there was the other side who would maintain that this was an opportunity to put right the systematic evils of the reporter’s room and the wrong news-gathering practices. However, most of news reporters demonstrated a great apprehension particularly about the restriction on news gatherings at office, which was the core of the briefing system, and came to argue that as its resultant opaque news gatherings soon appeared as an actual limitation, it was affecting as far as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is was led to the criticism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s a ‘break-in of the media.’ After all,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shown the phase of opposition to the media from its beginning to the ending stage. Going through this period, the news reporters maintained with one voice that the state and the media should jointly discuss and set up the media policy by prioritizing the autonomy of the press over anything else for the sake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This thesis considered, among the media policies attempted by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effects of Measures for Developing an Advanced Media Support System on the equity and autonomy of the media, from a viewpoint of the news reporters. It is the writer’s hope and expectation that this thesis is going to contribute to the setting up of rational and advanced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media’s freedom and equity and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at it will serve in the future as a momentum to make the needed sound, tensed relationship between the newly elected government and the media.;이제까지 기자단에 대해 언론학자와 언론인은 서로 상반된 평가를 내려왔다. 언론학자는 기자단의 부작용에 초점을 맞춰 대체로 부정적인 반면 언론인은 기자단의 효율성을 현실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그동안 기자단을 전면 폐지하기보다는 개선해야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던 것이 사실이다. 즉, 출입처 제도는 근본적으로 변화가 없고 기자들의 의식이나 취재 관행에도 큰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기자단 해체는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2003년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나온 대안이 개방형 브리핑제 도입과 기자실개방, 사무실 취재금지였다. 이렇게 가속도가 붙기 시작한 기자실 개편은 2007년 5월,「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 후 중앙청사 별관 합동 브리핑 센터 공사가 완료되면서 점차 외교부 등 정부 중앙청사 11개 부처 기자 송고실이 폐쇄되기에 이르렀다. 결국 언론계에서는 언론통제와 관련한 근본적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언론인들은 대부분 참여정부가 자신들의 의지에 따라 기존의 기자실에 대해 인위적인 개편을 시도했으며, 이 제도에 대해 언론탄압이라는 요소가 포함 되어 있다며 반발하기 시작했다. 물론 또 다른 한쪽의 의견은 기자실의 제도적인 폐단과 잘못된 취재 관행이 바로 잡힐 수 있는 기회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보도기자들은 특히 브리핑제의 핵심인 사무실 취재제한에 대해 큰 우려를 나타냈으며 이에 따른 투명하지 못한 취재가 곧 현실적인 한계로 나타나면서 국민의 알 권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게 됐다. 또 이것은 곧 참여정부의 ‘언론 길들이기’ 라는 비판으로까지 이어졌다. 결국 참여정부는 시작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언론과 대립되는 양상을 보여 왔다. 보도기자들은 이 시기를 거치면서 무엇보다도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언론의 자율성을 우선시해 국가와 언론이 언론정책을 함께 논의하고 수립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참여정부가 시도한 언론정책 중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이 언론 공정성과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도기자들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이 논문이 앞으로 언론의 자유와 공정성, 국민의 알 권리에 부합하는 합리적이고 선진적인 정책이 수립되는데 있어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향후 새로운 정부와 언론간의 건전한 긴장관계가 향상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