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희-
dc.creator이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놀이와 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연계의 어려움을 교사 면담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놀이의 특성은 어떠한가? 2. 놀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놀이와 교육 연계 시 유치원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교육 경력 3년 이상의 경험을 지닌, 현재 공립이나 사립 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10명의 교사들이다. 연구 방법은 면담의 형식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면담 시기와 교사 개개인에 따라 비구조화된 질문과 구조화된 질문을 병행, 사용하였다. 2007년 9월부터 11월까지 교사별로 각 1회 면담을 하고 이후 추가적인 질문 요구와 면담 내용의 확인을 위하여 e-mail을 통한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약기와 녹음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분석은 전사, 영역분석, 자료의 범주화, 범주화 분석, 의미 해석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최종 범주는 놀이의 특성, 놀이와 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놀이와 교육 간의 연계의 어려움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놀이의 특성은 자발적 선택, 융통성, 긍정적 정서의 특성을 지닌 여가적 놀이와 의도된 목적, 교사에 의해 제공 등의 특성을 지닌 교육적 놀이로 나누어졌다. 둘째, 놀이와 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교사들은 ‘교육을 포함하는 놀이’, ‘놀이는 곧 교육이며, 교육은 곧 놀이’, ‘상반되는 놀이와 교육’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즉, ‘교육을 포함하는 놀이’는 놀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교육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말하며, ‘놀이는 곧 교육이며, 교육은 곧 놀이’는 놀이와 교육은 동일한 개념으로 놀이를 교육으로 상승시킬 수 있어야 함을 뜻하고, ‘상반되는 놀이와 교육’이라는 인식은 놀이와 교육이 갖는 상반된 특성으로 인한 부조화에 대한 교사의 갈등을 나타냈다. 셋째, 놀이와 교육의 연계 시 느끼는 교사의 어려움으로는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 교수매체 및 자료의 부족 등의 물리적 환경 상의 어려움과 기초적인 학습 기술 획득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와 이를 수용하려는 일관적이지 못한 기관의 교육 철학 등의 외부로부터의 압력, 잦은 행사 준비와 잡무 및 많은 공문 처리와 행정적 업무 수행으로 인해 수업에 몰두할 수 없는 분위기, 교사 스스로의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한 확신의 부족, 교사 지원체제의 부족 등이 있었다.;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by preschool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the link through interviewing the teachers. The concrete study issue for that is as below: 1.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play that is considered by preschool teachers? 2. What is the recogn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by preschool teachers? 3. What is the difficulty of the link between play and education that is felt by preschool teach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0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preschool currently with the educational career over 3 years. For study methodology, semi-structured questions were mainly applied in the form of interviewing and non-structured questions and structured questions were applied in parallel to interview time and teachers individually. We had executed the interviewing of teachers individually each 1 time per teacher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7 and executed the additional interview through e-mail for the additional questions requirements and confirmation of interview contents after that time with brief description and recording. The analysis was made by the course of transfer, area analysis, placing under category of data, analysis of placing under category, and meaning interpretation, and the final category was made up of the characteristic of play, recogn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link between play and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play recognized by teachers are divided into the play for leisure that has voluntary choice, flexibilit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sitive emotion and the educational play that has intended purpo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vision by teachers. Second, Teachers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as ‘Play including education’, ‘Play is just education and education is just play.’, ‘Contrary play and education’. In other words, ‘Play including education’ means that the educational factor is included in the big frame of play, and ‘Play is just education and education is just play.’ Means that play and education should be the same concept and play should be upgraded to education. The recognition of ‘Contrary play and education’ shoes the teachers’ conflicts against disharmony due to contrary characteristic of play and education. Third, In the difficulty felt by teachers in linking play and education, we found out high ratio of teacher to preschool child, the difficulty in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lack of instruction media and data, parents’ requirements on acquisition of fundamental studying techniques and the pressure from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inconsistent educational philosophy, the atmosphere not being absorbed in lesson because of lots of events preparations, miscellaneous duties and lots of office documents handling, and administrative work execution, lack of confidence on the play centered education by teachers themselves, and lack of teacher support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놀이의 특성 = 6 B. 놀이와 교육 = 9 C. 놀이와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 13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 참여자 = 16 B. 연구 방법 및 절차 = 17 C. 자료 분석 = 18 Ⅳ. 놀이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20 A. 여가적 놀이로서의 특성 = 20 B. 교육적 놀이로서의 특성 = 23 Ⅴ. 놀이와 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26 A. 교육을 포함하는 놀이 = 26 B. 놀이는 곧 교육이며, 교육은 곧 놀이 = 28 C. 상반되는 놀이와 교육 = 30 Ⅵ. 놀이와 교육 연계 시 교사들의 어려움 = 32 A. 물리적 환경: 높은 교사 대 유아 비율, 교수매체 및 자료의 부족 = 32 B. 외부로부터의 압력: 학부모의 요구와 일관성 없는 기관의 교육철학 = 34 C. 수업에 몰두할 수 없는 분위기 = 36 D. 교사 확신의 부족 = 37 E. 교사 지원체제의 부족 = 39 Ⅶ. 논의 및 결론 = 41 A. 논의 = 41 B.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8 부록 = 53 <부록 1> 교사 면담 전사본의 예 = 53 <부록 2> 영역 분석의 예 = 54 <부록 3> 자료 범주화의 예 = 55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27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놀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연계의 어려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cogn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by Preschool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the Link-
dc.creator.othernameLee, Youn Hee-
dc.format.pageviii,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