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도시공원에 있어서 생소화 수법의 적용연구

Title
도시공원에 있어서 생소화 수법의 적용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defamiliarization for city park
Authors
이보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most of ‘city park’ seem to be similar even though they have their own environmental and historic characters. These city parks which are build without environmental interrelation and build only individually make people not to enjoy over pleasure of functional aspects. So people use limited sources of city parks and make essential purposes fade away from people who use those spaces. Therefore renewing concepts of city park and getting out of chasing only visual facilities, unfitted facilities blindly, We should shape city park harmonized with their own environment. City parks should also have ‘Sense of place’ for different people at different times. People does not recognize the space as the name but as the experience or events, emotions related with the space. ‘Sense of place’ is a symbol of the space. They need to feel where they are, where they rest in, what symbol the city park represents, but as it is most of monolithic city parks do not reflect differences and identity. With Sense of place, city park should give people not only cognition by visual facilities but also cognition by experience of space. City park should be meaning to people symbol in the city environment. To get the role, we decide ‘the space’ where was not park before, now is changed to ‘city park’ and study how people can recognize ‘the space’ in a view of time to get ‘Sense of place’. We apply ‘defamiliarization’ to that space and make it possible for that parks to get their own ‘Sense of place’ expressing their history. This study shows that: In Chapter 1, describe Background, Purpose, Range, Methods of this study. And through Chapter 2, we can know that ‘defamiliarization’ is a part of ‘Rezeptionsastheti’ since environments are finally recognized by people who experience and accept. Thus the ‘defamiliarization’ is possible if users should participate in those environments. We review how using ‘defamiliarization’ environments expressed and what differences of recognition between environments of ‘defamiliarization’ and general environments. In Chapter 3, it is important to know patterns of ‘city parks’ and needs of roles as ‘phenomenon experience’ and ‘selective activities’ among roles of ‘city parks’. And in this chapter, analyzing city parks where were used as another space for another purpose before parks in city built and had another era , we try to let you know how people recognize ‘sense of place’ of those spaces. Finally in Chapter 4, present ‘Mae-hwa park’ where was used as ‘sung jin glass factory’ and analyze ‘sense of place’ of that park how the space having past time can be applicable to present space. To solving problems of present that park via analyzing, we apply ‘defamiliarization’ to it and design advanced ‘Mae-hwa city park’ to expose ‘sense of place’. We can reach to conclusions that: First, spaces where designed by non-traditional methods, some theme, analogy, resolution and etc. should be recognized as perceptual ‘defamiliarization’. Second, we stimulate users memories and make users to have analogy reaction of space by applying ‘defamiliarization’ to city parks. so we can create city parks implying ‘sense of place’ Third, people who using those city parks should not remember parks as only facilities but as a imaging and feeling. Fourth, city parks with ‘defamiliarization’ is meaningful for space possible of phenomenon experience and space possible of selective activities. Therefore we can make people so many perceptions on city parks using ‘defamiliarization’ and do people to recognize the spaces in a view of users. This study is so meaningful that it make city parks to shed off forms unified and to be a unique expressing their own ‘sense of place’.;현재 대부분의 도시공원은 환경적 조건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같은 구조와 시설물로 공원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시공원의 모습은 주변의 환경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무조건적인 시설물의 배치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기능적 측면의 만족을 넘어, 도시공원은 공공장소로써 더 이상의 의미를 주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도시공원의 이용을 제한적으로 만들며, 무미건조한 도시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각 다른 환경적 조건에 따라 그 공원만의 고유한 장소성을 형성하여 공원시설의 이용과 함께 장소에 대한 체험과 기억을 남길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도시공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장소성’의 부재를 지적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생소화 수법’을 제시한다. 생소화 수법은 ‘비인습적’인 방식과 ‘테마화’, ‘유추와 환원’등의 공간적 표현을 통해 ‘지각적 측면의 다양성’을 가능하게 하여, 환경을 인지하는데 있어 ‘신체의 체험’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생소화 수법에 의한 신체의 체험은 도시공원을 단지 기능적 이용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경험으로써 장소를 기억할 수 있게 하며, 그 기억으로 인해 장소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생소화 수법이 적용될 대상지를 선정하기위해 예전에 공원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지다가 현재 도시공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예전 장소의 시간의 흐름을 수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공원을 계획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생소화 수법이 어떠한 방식에 의해 공간에 표현되었고, 그에 따라 어떠한 인지적 측면의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로써 생소화 수법이 적용될 도시공원의 환경적 특징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생소화 수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생소화 수법에 의한 환경은 근본적으로 수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환경으로써 수용미학의 큰 개념에 포함되며, 결국 생소화 수법의 환경은 수용자의 신체적 참여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생소화 수법에 의한 환경은 어떠한 방식으로써 표현되었는지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생소화 수법에 의한 환경은 일반적 환경에서의 지각방식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제 3장에서는 도시공원의 유형을 알아보고 현재 도시공원의 역할 중, ‘현상적 체험의 환경’과 ‘선택적 활동의 환경’으로서 역할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 도시공원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예전에 공원이 아닌 다른 장소로 사용되어 또 다른 시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 도시공원은 사람들에게 장소성을 어떻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지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일반적 현황분석과 함께 대상공간인 매화공원만이 가지고 있는 ‘성진유리공장’이라는 시간의 흐름을 현재 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매화공원의 문제점을 토대로 제 2장에서 분석한 생소화 수법의 방식을 적용하여 수용자의 체험을 통해 매화공원의 ‘유리공장’이라는 장소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생소화 수법의 ‘비인습적’인 방식과 ‘테마화’, ‘유추와 환원’등의 방식에 의한 공간은 지각적 측면의 생소함으로써 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도시공원에 생소화 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수용자의 기억을 통해 공간의 연상 작용(Analogy)을 가능하도록 하여 장소성을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셋째, 생소화 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시설이용의 개념을 넘어 도시공원을 하나의 이미지와 느낌으로써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생소화 수법에 의한 도시공원은 시간의 흐름이 반영되어 현상적 체험을 할 수 있으며, 특별한 장소성이 존재하는 공원으로써 필수적 활동 이외에 선택적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으로도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에 ‘생소화 수법’을 적용시킴으로써 기존 환경의 가치와 의미를 받아들이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그 환경 안에서 수용자에게 유추의 과정과 같은 개인적 경험들이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따라서 생소화 수법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장소성’을 형성함으로써 건축의 의도뿐만 아니라 이에 반응하는 수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여러 차원들을 중시하는 환경으로써 의미가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