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

Title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nity Space Design of Apartment houses
Authors
맹주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초기의 공동주택은 국가의 ‘경제발전’의 목표아래 급격한 도시의 인구증가와 주택난, 토지의 효율적 이용 등의 해결방법으로 발전되었다. 공동주택은 도시 주거형태로의 양적인 발전과 주거 생활의 근대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급격한 발전은 지역적 특성이나 주변 환경과의 관계, 거주인의 요구 등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획일적인 공급의 형태로 이루어졌었다. 그로인해 자연환경의 파괴, 도시의 인구과밀, 이웃 간의 단절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후 초기에 발생되었던 문제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 신도시 개발 단계나 재개발 계획 시에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커뮤니티 공간의 연구를 하였다. 오늘날의 공동주택은 거주인의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공적 영역인 커뮤니티 공간도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자는 거주인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공동주택 내의 커뮤니티 공간을 제시하며, ‘기능’ 중심의 공간 제시에서 거주인의 ‘행태’ 중심의 공간을 제시하며, 인간과의 관계, 자연과의 관계는 물론 환경을 ‘지속하고 유지하는’ 미래와의 관계까지 고려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Ⅰ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한다. 제 Ⅱ장 문헌조사를 통해 공동주택과 커뮤니티에 대해 고찰한다. 제 Ⅲ장 행태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행태와 환경, 공간, 심리 관계에 대해 서술한다. 제 Ⅳ장 커뮤니티 공간의 사례를 분석하고 거주인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요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행태에 의한 공간 분류를 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다. 제 Ⅴ장 대상지의 선정과 대상지에 대한 전제를 한정한다. 커뮤니티 공간의 디자인 개념을 시각화하고, 디자인 조형요소를 도출한다. 도출한 원리를 통해 지상 녹지공간과 지하 커뮤니티 공간을 연결하며, 물리적, 심리적 요소로 공간의 특성을 강화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을 한다. 제 Ⅵ장 공간 특성을 기준으로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연구의 가치와 타당성을 제시. 연구의 한계를 밝힌다. 디자인 평가를 통해 추후 연구 계획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커뮤니티 공간의 ‘기능주의적’ 접근 방법에서 배제되었던 인간의 ‘행태’를 고려한 접근 방법이다. 둘째. 공간의 구획에 있어 ‘행태’를 고려한 접근은 기존의 ‘기능’ 중심의 공간 구획에서 나타는 중복 기능의 공간을 통합하며,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대상지 선정에 있어 지상의 과밀화된 공간을 지하공간으로 영입함으로써 지하공간의 활용도를 강화시킨다. 지상과 지하공간의 연계는 지하의 물리적, 심리적 개방감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지상공간의 녹지 확보로 인해 거주자의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개선하며,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주인의 관계 개선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거주자의 ‘행태’에 의한 계획 제시함으로 전과는 다른 접근 방법에 의의를 두며, 지상 녹지와 지하 공간을 연계함으로써 녹지 공간의 확장과 지하 공간 활용을 높이는데 본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Apartment houses in an early stage were developed as a solution of a population growth, a housing shortage and an effective use of plots under the goal of the 'economic growth' of the nation. Those houses influenced modernization of the quantitative growth and the housing pattern as a form of urban housing. But the rapid development of apartment houses was fulfilled standardized form of supply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relations with other surroundings, and residents’ demands. It caused lots of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disruption, overpopul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s. Therefore Researches of community space are fulfilled to prevent those problems from happening in many developments of new city or redevelopment plans. To improve in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the community for public spaces is considered when apartment houses are planned currently. This research will suggest a community space for improvement of residents’ relationships, a functional space for space for residents’convenience in both mental and physical ways, and a sustainable space for better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ature. This is the process by which these studies, researchers could conclude the following. In chapter Ⅰ,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Ⅱ, the theories of apartment houses and community in documentary records will be considered through surveys. In chapter Ⅲ,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behaviors and environment, space and residents’ mentality will be described through considering in the residents’ behaviors. In chapter Ⅳ, Cases of community space will be analyzed and precedent researches about residents’ demands for community space will be researched. the direction of community space design will be created based on these precedent researches. In chapter Ⅴ, Selecting the location and preconditions of the location will be limited. The concept of space design will be visualized, and formative design elements will be derived from theories of the relation improvement. A green space of land and underground community will be connected to intensify a space as the characteristic of mental and physical elements through the above derived theory. In chapter Ⅵ, the consequences of the research will be synthesized by the standard of the space characteristics. The value and propriety of the research will be suggested and the limit of the research will be revealed. The afterwards research plan will be suggested by evaluate designs. Following consequences will be concluded through above the research process. First, the behavior-centered access to approach community space is a new access which was excluded by existing functionalism access. Second, the behavior-centered access synthesizes and makes full use of duplicated spaces which were caused by division of a functional space. Third, use of the underground space will be strengthening by application of overpopulated ground spaces to underground. This connection between ground and underground will enhance physical and mental openness of the underground. Fourth, ensuring green spaces on ground improves relations between residents and nature environments. Moreover, it strengthens physical and mental access to the community space as well. This research values to approach a new access to suggest a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for their better relations. Furthermore,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o make the better use of underground spaces through connecting green spaces of ground and underground spa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