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자연사 박물관의 감각 체험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Title
자연사 박물관의 감각 체험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recting Space for Sense Experience at the Natural History Museum
Authors
최하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an educational medium that delivers various topic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exhibition of natural history, a natural history museum functions as the sole means of expressing an intrinsic value of locality. Therefore, as local residents as well as visitors to an exhibition create chemistry for local nature, their expectation of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xhibition at a natural history museum becomes higher and the appropriate type of exhibition fulfilling the expectation is required in reality. As the word exhibition itself signifies, an exhibition may be one means of directly and effectively delivering information containing specific contents which are supposed to be deliver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general public via diverse methods in a certain place and period. The main purpose of visitors to a museum is to see exhibition articles, and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educate them about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by preparing space that provokes many more visitors’ curiosity and attention through more effective exhibition methods. This means that the purpose of exhibition design may be to seek an optimal solution for delivering the effect of education as well as practical information through exhibition articles while allowing visitors to sensibly experience the contents of exhibition. Since design appeals to the sensory organs of humans, and is a determinant factor in whether visitors will see exhibition articles or not as intended, it takes a very significant position. Exhibition space that such a purpose has is required to focus also on the sense and perception between space and exhibition articles from the visitors’ perspectives and the production procedure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unlike any other spaces also in the course of perceiving the space. Human beings perceive movements mainly through vision in perceived information, and vision is one of the important senses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space. However, in today’s society which is being converted to a multi-media society, plane visual media such as existing newspapers, magazines, and video are not sufficient to satisfy the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any more, and today’s people expect more direct, multi-sensory, and active encounters with an exhibition. Accordingly, it might be natural that the efficiency of a digital interface as a solid and complicated vehicle of delivering information which would cope with the five human senses directly is being highlighted in our society. With this aim,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the sensory experience of a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definition of digital space, and the type of digital interface, and attempts to design exhibition space in a way that visitors can experience an exhibition space sensibly by using appropriate media for the contents of an exhibition and creating space by theme.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s to prepare guidelines for creating space where visitors are able to receive information dynamically, by preparing and detailing media design as gestalt language for the creation of necessary for an exhibition space for the delivery of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and most effectively expressing the topic of creating the topic of an exhibition spac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In Chapter I, the study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In Chapter II, the study considers the general definition of a natural history museum and understands the general features of mainly used senses and perceptions in a natural history museum,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s and space, and proposes a framework for analyzing sensory experiential factors. In Chapter III, the study reviews the application type and cases of digital interface by defining a digital interface and classifying a currently used digital interface, analyzes the cases of similar organizations, and investigates the sense applied to the creation of the space in the target museum and the digital interface. In Chapter IV, the study designates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as a target of design, and withdraws gestalt language and proposes the space design modeling case of a natural history museum by using necessary sense and digital interface in order to design the space, again. Lastly, in Chapter V, the study summari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design modeling case created intended space from the conceptual, spatial, sensory, and digital interface adaptive aspects of a natural history museum. As mentioned, this study aims to seek the possibility of the creation of a visitor-oriented exhibition space design that enables visitors to become absorbed in an exhibition and withdraws new exhibition techniques and exhibition contents for visitors with design methodologies that help the sensory experience by introducing a digital interface for exhibition spaces for the distance between non-existing nature and living things particularly by using vision, hearing, and touching, among the five senses.;자연사 박물관은 전시가 자연사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전달하는 교육적 매개공간으로서, 그리고 그 지역이 가진 내재적 가치를 표출하는 유일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지역 주민과 전시를 관람하는 관람객이 그 지역의 자연과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면서 새로이 자연사 박물관 전시의 의의와 역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이에 부응하는 적합한 전시의 형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시(Exhibition)는 단어 자체에 의미가 내포되어 있듯이 전시란 일정한 장소와 시기에 일반 대중과 직접적인 만남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내용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시키는 직접적인 정보 전달 수단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박물관에 찾아오는 관람객의 주된 관심사는 전시물을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박물관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전시방법을 통해 더 많은 관람객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공간연출로 전시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육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즉, 관람자가 전시의 내용을 감각적으로 체험하며 전시품을 통한 실질적인 정보, 교육의 효과가 어떻게 제공 될 수 있는 가에 대한 최적의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전시디자인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은 인간의 감각기관에 호소하며, 관람자가 전시물을 관람 할지 안할지 얼마나 의도한대로 받아들이는지를 결정하게 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목적 공간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전시 공간은 공간을 인지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다른 여타의 공간과는 달리 관람자의 입장에서의 공간과 전시물간의 감각과 지각, 전시 내용의 연출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인간은 지각 정보에 있어서 통상 보는 감각 즉 시각을 우위로 움직임을 인지하게 되며 이러한 시각을 우리가 하나의 공간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데 중요한 감각 중 하나다. 그러나 다매체 사회로 전환되어가는 현대 사회에서 기존의 신문, 잡지 및 영상 등과 같은 평면적인 시각전달 매체는 더 이상 일반 대중의 관심을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현대인들은 보다 직접적이고 다감각적이며 능동적인 전시와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오감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정보전달 수단으로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효용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연사 박물관의 감각적 체험과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개념정의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알아보고 전시 내용에 적합한 매체의 사용과 테마별 공간 연출을 통해 관람객이 감각적으로 자연사 박물관 전시 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전시 공간의 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전시내용 전달에 필요한 공간연출과 정보전달을 위한 매체 디자인을 형태언어화 시켜 구체화하여 관람자가 다이내믹한 정보 전달을 받을 수 있는 공간 연출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I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II장에서는 자연사 박물관의 일반적 정의를 알아보고 자연사 박물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감각과 지각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이해하고 감각이 공간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위한 감각적 체험요인의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제 III장에서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현재 상용되어지고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분류하여 적용방식과 사례에 대하여 고찰한 뒤 유사기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대상 박물관의 공간 연출에 적용된 감각과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본다. 제 IV에서는 디자인 대상을 국립자연사 박물관으로 선정하고 재 디자인하여 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감각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형태언어를 도출하고 자연사 박물관의 공간 연출 모형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디자인 모형 사례가 연구자가 의도했던 공간이 연출되었는지를 자연사 박물관의 개념적 측면, 공간적 측면, 감각적 측면, 디지털 인터페이스 적용적 측면에서 종합 및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오감 중 시각과 청각, 촉각을 이용하여 현존하지 않는 자연과 생물들의 거리감을 전시공간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도입으로 감각적 체험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테크놀러지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돕는 디자인 방법론으로서 관람객을 위한 새로운 전시기법과 전시내용으로 이끌어내는 관람객이 중심이 되는 몰입 가능한 전시 공간 디자인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