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방송 무대 공간의 색채에 관한 연구

Title
방송 무대 공간의 색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e on Colore of the Broadcasting Stage Space : Focusing on Shows & Entertainment program
Authors
윤진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TV 제작 환경은 디지털 기술에 의한 다채널화와 함께 본격적인 미디어 융합과 같은 큰 지각 변동에 직면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 TV분야에 도입되면서 화상의 처리 및 가공이 자연스러워지고 TV와 멀티미디어의 구분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미디어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영상 시스템이 디지털 HDTV이다. 1931년 미국에서 첫 시험방송이 시작된 TV의 주사선은 30개에 불과 했던 기계식 주사방식이었다. 그 이후 1937년 영국의 BBC 방송에서 세계 최초로 흑백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이래, TV방송은 놀라운 속도로 기술이 발전하였으며, 1951년 컬러TV시대를 맞이하여 현재는 HDTV시대로 발전해 온 것이다. HDTV는 기존의 SDTV의 성능을 대폭 개선하고, 화상의 세밀한 부분에서도 출력이나 현장감을 대폭 확장시켜 인간의 시각 심리효과 측면에서도 지금까지의 TV에서는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매체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TV가 궁극적으로 시청자들의 시청형태와 시청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공간 일치적인 매체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시각-심리적 몰입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미학적 차원의 변화를 동시에 수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방송제작자들은 타 방송과의 차별성과 각 채널마다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색채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인식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좀더 적합한 방송무대 공간의 연출을 위해 색채에 따라 시청자에게 어떤 이미지를 줄 수 있는가를 분석한 후 제작자와 시청자간에 공감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색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통해 방송 무대 공간의 색채계획 적용을 강조하고 그 범위와 방법을 한정한다. 제2장에서는 방송 무대와 색채 아이덴티티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방송색채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먼저 TV영상에서 색채 이미지의 중요성을 살펴본 후, 방송 무대 공간의 기본 구조와 색채감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색채 이미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하나의 공간좌표 안에 위치 시켜 객관화시킴으로서 색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장에서는 방송 색채 표현에 있어서의 변수들을 살펴본다. 일상생활에서 경험되는 색채는 상대적으로 지각된 색채이며, 경험을 통해 색채의 관계성을 느끼고, 색채적용을 보는 눈을 갖게 된다. 색채는 항상 유동적인 상태에 있으며 주변 색채 변화나 조건의 변화에 따라 항상 변하기 때문이다. 방송 색채 역시 여러 가지 변수들이 존재하는데, 그중 조명과의 관계성, 마감재와의 관계성, 송출방식과의 관계성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들을 분석하여 방송 색채가 일반적인 공간의 색채 표현과 다른점을 분석해 본다. 제4장에서는 기존의 방송 프로그램별 색채 사례를 통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방송 색채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색채계획을 적용할 대상 프로그램을 선정한 후 앞서 분석한 이론들을 배경으로 방송 무대 공간의 색채계획을 제안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여 방송 무대 공간의 색채계획의 중요성을 기술하고 향후 지속적인 색채 연구를 제안한다.;Currently, the environment of TV manufacturing is facing big change like media fusion with multi-channel via the digital technology. As the digital technology is introduced, the digital HDTV is emerged as the newly developed vision system to satisfy the new media needs at the time when the screen treatment and processing becomes natural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V and multi-media is disappearing. When the first TV broadcasting was made in America in 1931, it scanning line was 30 made by mechanical method. Since then, BBC of UK made first black-and-white television broadcasting and TV broadcasting made big progress and encountered the color TV in 1951 and now in the HDTV era. HDTV is much advanced than the existing SDTV and enhanced the output and reality in detail of screen. Therefore it is the new media which can express the human visual and psychological matters which can not be expressed by the existing TV. These changes will be placed as the space matching media while the TV influences on the watching type and watching environment ultimately. Therefore, it must accompany the change in the aesthetic dimension in order to provide the watching environment which can maximize the visual-psychological degree of absorption. At this moment, broadcasting producers began to notice the importance in the differentiation with other broadcasting service and in image making of each channel. Thus, this researcher put the purpose on the searching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color which can make consensual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s and watchers after analyzing which color can provide certain images for the producing the appropriate broadcasting stage space. This research is progressed as follow. Chapter 1 emphasize the color application in broadcasting stage throug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limits the scope and methods. Chapter 2 provides the assistance in understanding the broadcasting color through the theoretical survey of broadcasting stage and color identity. First, after searching the importance of color image in the TV image, explains the basic structure and color sensitivity of broadcasting stage space. After making the color image objective by placing into the one space coordinate according to the specific criteria, performs the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colors. Chapter 3 surveys the parameters in expressing the broadcasting color. The colors experienced at the normal life is the color sensitized relatively and feels the relation of color through the experience and have eyes on color application. The colors are always in mobile condition because it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color change and condition change. Broadcasting color also has the various parameters. Among those, relation with light and relation with the finishing material and relation with transmitting method are important. Thus after analyzing these parameters and mak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oadcasting color and general space color. Chapter 4 makes analysis on the problems in the broadcasting color currently used through the case study of existing broadcasting program. Chapter 5 suggests the color plan for the broadcasting stage based on the foregoing analyzed theory after selecting the program on which the color program shall be applied. Chapter 6 summarizes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and stipulates the importance of the broadcasting stage space and suggests the continual research on the color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