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Title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mong students in special clas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uthors
김동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djust their school life. The opportun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limited to experience various environments except school and they might have different problems to adjust school life from general students because of their special charact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dmittedly, it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ecaus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different among grades of school. In this article, we examined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nd difference in the most effective subfactor of social support for school adjustment among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440 students who are able to reply the self reported question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selected by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each school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two questionnaires,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ale of adjustment in school life was organized based on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Kim Myung-sook(1994) and School Adjustment Scale devised by Choi Jang-sook(1993). Data were treated with p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in order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is article is here.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different among special classes in three grades, especially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orrelation: high school>elementary school>middle school). Third, the most influential subfactor of social support for adjusting school life was different in each group. Support of friend was identified as major significant predictor in elementary school and support of teacher was most important subfactor in high school, but any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fluence in middle school. As mentioned above, social support might be a primary factor for adjusting school life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most influential subfactor of social support is different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ce. Support of family was the highly perceived subfactor; nevertheless it was not an effective factor for adjusting school life in this study. In conclusion, it is needed for successful school life to devise social support program and support of friend and teacher would be emphasized especiall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한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에서의 의미 있는 도움과 지원인 사회적 지지는 모든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장애학생들에게는 학교 이외의 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사회적 지지가 더욱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들은 학교생활 가운데에서 그들의 장애특성으로 인하여 일반학생보다 더 많은 부적응행동을 보이므로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일반학생들보다 더욱 많은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일반 아동 및 청소년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또한 학교급에 따라서도 사회적 지지 지각의 형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차이를 보였지만 이에 대한 비교 연구는 그동안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장애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학교급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를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기타 자원 개발을 통하여 장애학생들의 학교 및 사회 적응을 적절하게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통합된 장애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각 학교급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그러한 사회적 지지의 지각과 통합된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가 각 학교급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특수교사에 의해 선발된 자기보고식 설문에 응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장애학생으로,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440명이다. 연구도구는 김명숙(1994)의 사회적지지지각 척도와 이유선(1996)의 학교생활적응척도를 특수교사 6인에 의한 타당성검증 그리고 문항수정을 통하여 구성된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 24문항과 학교생활적응척도 45문항이다. 각 학교급별 사회적 지지 지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사용하고, 각 학교급별 사회적 지지 지각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학교급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사회적 지지 지각은 각 학교급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중학교에서 가장 높게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였으며, 두 번째는 초등학교, 마지막은 고등학교에서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각 학교급별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고등학교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은 초등학교이며, 중학교에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 지지 지각의 하위요인 중 초등학교에서는 친구지지, 교사지지 순으로 큰 영향력을 갖고, 중학교에서는 모든 요인이 낮은 영향력을 보이며, 고등학교에서는 교사지지, 친구지지 순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일반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하여 사회적 지지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장애학생들 가운데서도 학교급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어, 아동기에는 친구지지가, 청소년기로 갈수록은 교사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지지가 각 학교급별에서 가장 높게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요소이지만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학교생활적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었다. 그러므로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위하여는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 때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은 각 학교급별로 특성에 맞게 구성되어야 하며, 일반학생과도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에는 교사와 친구의 지지 요소가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장애학생의 자기보고식 검사이기 때문에 설문 응답의 민감성이 떨어질 수 있고, 경도장애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전체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