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전국 초등 대안학교의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및 교사의 지원 요구

Title
전국 초등 대안학교의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및 교사의 지원 요구
Other Titles
A Survey Study of Korean elementary level alternative schools' state and needs on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urrent state of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s of South Korea and their need for support on integr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eir schools. The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situ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level alternative school in Korea and their teachers' perception on this issu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teachers' needs in carrying 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sent to 186 teachers in 20 elementary level alternative schools nationwide. Among the 186 questionnaires, 159 of them were returned and 158 of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analyzing data gathered were frequencies, quotient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 1. Among the 19 schools that were included at the final analysis, 18 schools had admission polic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ted on their school administration manual, and 16 of them were integr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the 16 schools, 7 of them had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Among the four categories: the value of inclusive education, the effect on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ffect on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effect on the teaching performance of the teachers, the teachers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s on the effect on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ategory. Among the questionnaire Items, cooperation among special teachers and regular teachers and the need for setting separate instructional goals for ea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highest responses.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about educ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their non-disabled peers(84.2%) but 47.5% of them responded that their schools and teachers are not quite ready for integr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suggests that in order to carry out inclusive education, more preparation and support is needed for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3. The survey result shows most of the teachers had some knowledge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fic typ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70% of the teachers were not us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The results also shows while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and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were effective, but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other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was not. 4. Among the three areas of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the instructional methods for academic areas, the instructional methods for dailey living skills, the support for the administration. The need for the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daily living skills were greatest, the need for an administrative support was the smallest. Teachers also showed need for the parent education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behavior management and better family support and consul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ollowing follow-up studies. Firstly, the similar study on the middle school level is needed. Secondly, the survey study to find out the reasons and factors which make the parents choose alternative schools and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schools. And finally, by do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between reg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the alternative counterparts, more objective assessment of the inclusive educational situations of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will be possible.;초등 대안학교는 공동체 정신 강조, 인간성 존중, 자유와 자율의 존중, 학생 중심의 교육, 평화와 평등, 작은학교 지향이라는 공통적인 교육철학을 가지고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초등 대안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방법에는 개인 학생이 보이는 다양성과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한다는 통합교육의 기본가치가 담겨져 있다. 대부분의 초등 대안학교 운영계획서에 장애학생 입학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마다 장애학생의 입학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통합교육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일반학교에 편중되어 있고 대안학교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특수교육연차보고서에도 대안학교에 통합중인 장애학생은 배제되어 있다.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통합교육에 대한 점검과 더욱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방안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초등 대안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은 통합현황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대안학교의 통합교육 현황과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 실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대안학교에서의 통합교육 현황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통합교육 실태를 구체적으로 제기하여 초등 대안학교 통합교육의 현주소에 대해 점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20개교의 초등 대안학교 교사 186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19개 학교에서 159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질문지 중 총 63 문항에서 개인적 배경과 일반적인 통합현황을 묻는 12문항을 제외한 51문항 중 5문항 이상 무응답을 보인 질문지 1부를 제외하여 총 158부가 통계처리에 사용되었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묻는 문항은 초등 대안학교에 근무중인 모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158부의 질문지가 사용되었고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 실태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를 묻는 문항은 현재 장애아동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127부의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로는 문헌연구와 초등 대안학교 관련 인터넷, 현장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보충ㆍ수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대안학교의 일반적인 통합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 학교 19개교 중 1개 학교를 제외한 18개 학교가 학교 운영계획서에 장애학생 입학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키고 있고 16개 학교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학교 운영계획서에 통합교육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키고 있으나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학교는 그 이유를 ‘입학한 장애학생이 없어서’라고 밝혔다. 그러나 장애학생이 입학을 희망할 경우 통합교육을 실시할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를 볼 때 대부분의 초등 대안학교가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연구대상 초등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전체 학생수는 902명이고 그 중 장애학생이 59명으로 장애학생 비율이 6.5%였다. 대부분의 학교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비해 특수교사는 7개 학교에 10명이 근무하고 있어 근무 중인 특수교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초등 대안학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한다면 장애학생의 학업은 증진될 것이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장애학생을 고려하여 장애학생에게 맞는 별도의 학습목표를 세워야 한다’, ‘통합교육은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 순이었다. 현재 초등 대안학교의 상황은 특수교사가 근무하고 있지 않은 학교가 많으나 해마다 특수교사를 모집하는 학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볼 때 특수교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교사의 수행능력이 통합교육에 미치는 영향의 네 영역으로 구분한 결과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적절한 대인관계 등 사회성 기술 습득’을,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장애인식 개선’을 꼽았다. 또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원만한 통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꼽았다. 대안학교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84.2%), 그 중 ‘긍정적이기 하지만 학교체제와 교사가 준비되어 있지 않아 어렵다’는 의견이 47.5%로 초등 대안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위해 더 많은 준비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4. 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초등 대안학교 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항목을 학업지도 영역, 생활지도 영역, 행ㆍ재정적인 지원 영역의 3개 영역으로 분류한 결과 생활지도, 학업지도, 행ㆍ재정적인 지원 영역 순으로 지원요구를 나타내었다. 항목별로는 ‘장애이해를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이 가장 높은 요구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부모ㆍ형제 등 가족지원과 상담’, ‘장애학생의 행동특성 이해’, ‘문제행동 관리’ 순이었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한다면 장애학생의 학습이 증진될 것이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것에 비해 지원 요구에서 ‘특수교사의 배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가장 낮은 요구를 보인 것은 ‘학교 안에서 이동과 편의를 위한 시설을 갖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초등 대안학교는 대부분 학교운영계획서에 통합교육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키고 있고 실제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 여러 가지 지원을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