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용어에 대한 연구

Title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용어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istory Terms in Curren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extbook : With a Focus on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uthors
이선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출현한『한국근·현대사』교과서는 종래의 교과서보다 많은 측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근현대사 영역이 따로 분리되어 내용이나 비중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점은 이전에 비해 상당히 진일보한 성과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근현대사 영역은 교육과정 내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대상이기도 하다. 논란의 대상 중 역사용어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항상 중요한 쟁점으로 논의되는 부분이었다. 왜냐하면 역사용어는 역사적 사실(史實)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성격을 나타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근·현대사 교육에서 역사용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행 『한국근·현대사』교과서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역사용어 중에서 ‘애국계몽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역사용어가 역사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구체적으로 역사용어의 성격 및 유형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교과서 내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역사학계의 연구 동향을 통해 현재 논의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이 시기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애국계몽운동으로 보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연구 경향은 종래의 연구에서처럼 민족주의적·애국적 측면을 강조하고 국권회복을 위한 통일적·획일적 운동이 아니라 참가층과 성격에 따라 그 내부에 많은 편차가 존재하고 있던 운동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성격을 하나로 묶어 설명하기 보다는 각 계열을 그들의 운동노선에 따라 구분해서 살펴보는 연구 흐름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경향에 발맞추어 이 시기를 규정짓는 용어로서 기존의 애국계몽운동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198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한 비판도 철저하지 못하고 보수 성향도 강하며 심지어는 제국주의 이론을 그대로 수용해 이를 정당해주는 운동이었다고 평가하는 ‘계몽운동’론과 1907년을 경계로 좌파와 우파로 분화된다고 보는 ‘구국계몽운동’론이다. 마지막으로 90년대부터 제기된 탈민족의 담론 속에 대두하게 된 ‘가장운동’론은 자강운동 내에 현실적 입장을 다르게 취한 네 계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논의된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현행『한국근·현대사』교과서에서는 애국계몽운동이라는 용어를 선정하고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애국계몽운동이라는 흐름 아래 서술된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고 편향된 역사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내용들이 곳곳에 눈에 띄었다. 사상적 배경인 사회 진화론의 한계, 대표적 애국단체인 대한협회의 성격, 이 운동을 바라보는 상반된 평가 등 애국계몽운동이라는 용어 아래 서술된 교과서는 부합되지 않은 내용으로 이 시기를 표현하는 데 적절한 용어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행 교과서는 70년대 이후 민족과 근대화를 강조하던 연구경향이 정설로 굳어져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낡은 민족 담론을 통해 근현대사 교육을 이루려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 중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애국계몽운동 단원은 앞서 지적한 근현대사 교육의 문제점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부분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국계몽운동이라는 용어가 적합하지 않음을 최근의 연구경향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당시에 일어났던 일련의 운동에 대해서 비교적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최근의 연구 경향을 반영한 용어로 기존의 애국계몽운동 대신 ‘자강운동’론을 제시하여 현재 교과서 서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최근까지의 연구동향 및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현행 『한국근·현대사』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애국계몽운동이라는 역사용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적 용어 및 서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안적 용어 및 서술에 있어 학계의 연구 성과를 통해 이 시기를 표현하는 적절한 역사용어로 자강운동을 제시하였지만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어 이견이 제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술 내용에 있어서도 기존 교과서의 한계를 보완하여 당시의 시대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미흡한 면이 많아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들은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In comparison with previous history textbooks, many improvements were made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hich was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Plan. In particular, the modern history and the contemporary history were divided to enable richer content and lengthier treatmen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the most controversial item in the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use of history termswas much debated whenever curriculum revisions are made. It is because history terms attribute meanings to historical facts and characterize their historic significance.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istory terms in the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ocused on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e movement is the most hotly debated item wheneve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extbooks are written. Before elaborating on the debate, the character and types of history term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meaning of history terms in history education. Then,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history were reviewed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period began in the 1960s. Researchers have emphasized nationalistic and patriotic aspects of the movement, which was considered as unitary and undivided. Even today,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s the dominant key concept that characterizes the period. Since the 1980s,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the movement was composed of diverse trends that depend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groups. Researches have tried to differentiate movement goals of different groups. Since the 1980s, some researchers have even tried to replac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ith other terms. Some researchers argue that "Enlightenment Movement"is the better term because the movement, which was mostly conservative, was not critical enough towards imperialistic invasion and even legitimized imperialism by adopting the theories of imperialism. Researchers who propose "Enlightenment Movement to Save the Nation"as the better concept argue that 1907is the year when a division between leftists and rights began to emerge. Finally, the concept of "Self-strengthening Movement" was proposed in the 1990s. The research camp, which was engaged in post-nationalism debate, identified four different groups within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Based on the review of research trend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as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s the term used to describe the period. In many respects, however, the term may cause confusion among students and teach them biased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concept was not adequate to reveal defects of social Darwinism,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Korea Associ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patriotic organization of the era, and diverse perspectives that analyzed the movement.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still conveys the dominant view that was created in the 1970s to emphasize nationalism and modernization and does not adequately reflect recent findings in the discipline of history. Furthermore, old structure of nationalist debate was used to carry ou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chapter on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s the most problematic chapter in the history textbook and reveal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that were presented above. This study shows that the term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s not appropriate by reviewing recent literature and analyzing the textbook. The concept of "Self-strengthening Movement"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As a history term, "Self-strengthening Movement"enables more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period and reflects recent research findings. The concep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arration of current history textbook. Based on an analysis of recent history research trends and contents of the current textbook,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associated with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hich is the term used in the current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extbook. Then, alternative terms and historical narration were proposed. "Self-strengthening Movement" was proposed as the alternative. Theterm was used to propose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events of the period. The description i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concept may invite criticisms that the concept is subjective as well. Therefore, studies on this subject should be carried out to enhance obje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