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혜림-
dc.creator나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3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도덕 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사회 부적응으로 고통 받는 청소년들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청소년들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변화와 발달을 겪으며, 이에 따른 새로운 역할 기대를 갖게 된다. 그 가운데 많은 청소년들은 급격한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 하지 못한 채,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수록, 그들은 비정상적인 생활양식에 빠져 심적 고통을 겪게 되고, 사회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들이 겪는 내 ·외적 고통의 근본 원인이 그들의 낮은 자기존중감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자기존중감은 한 개인이 자신의 가치에 대한 주관적 판단과 평가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모든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로서, 행동의 동기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건전한 발달에 영향을 주는 필수적인 가치이다. 이제 교육은 인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에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 특별히 도덕 교육은 인간의 전인적인 발달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도덕 교육을 통해 지·정·의(知·情·意)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고, 내재된 잠재력을 실현하게 된다. 그러나 대학 입시에 열중하는 사회분위기에서 도덕교육 또한 지(知)의 발달을 위한 교육에만 치중해 왔던 과오를 인정하고, 본래의 목적인 전인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본 논문은 배려 윤리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론을 연구하고, 그에 따라 “도덕적 대화 공동체”의 활용을 주장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자기존중감의 개념과 중요성을 파악해 보았다.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 형성과 관련한 교육 환경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지적기능 발달만을 추구한 기존의 교육 방식이 학생들의 자기존중감 발달을 저해한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이제 도덕 교육이 배려하는 관계 안에서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 때, 연구자는 도덕 교육이 주목해야 할 교육 이론으로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 윤리 교육을 제시하고 그에 관해 연구하였다. 배려 윤리 교육은 연민과 공감, 동정과 양육, 수용과 같은 가치를 강조하며 모든 관계가 배려하는 관계 속에 형성되는 것을 중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후,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배려 윤리의 교육적 적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배려 윤리 교육 과정에서 배려 관계 적용을 위한 “대화”방식에 주목하였고, 그것을 이끄는 교사의 자질과 태도를 연구하였다. 교사는 학생과 공감할 줄 알고, 진실해야 하고, 학생들을 존중하는 자이다. 배려가 숙련된 교사의 자질과 태도는 로저스(Carl Rogers)의 사람 중심 상담 심리학의 상담자의 태도에서 적용하였다. 로저스와 나딩스의 양 이론은 인간의 존엄한 가치를 긍정하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관계 회복을 중시하였다. 외부 관계 회복을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된다. 즉,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도덕적 대화 공동체”를 제안하며, 그것의 실현을 위해 숙련된 교사 육성의 중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This thesis explores a moral education methodology for the youth’s developing of self-esteem. Nowadays, it is noticeable how many youths suffer from not being able to adapt to the society. The youth formats a new role expectation through a sudden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 However, most of the youth fail to deal with the change properly and it naturally results in the youth’s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 about oneself. The more they have the negative emotion, the more they have the mental anguish and finally fail to adapt to the society. This research infer to the origin of youth’s mental anguish that comes from their unhealthy self-esteem. The term ‘self-esteem’ includes the concept of subjective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oneself. As a human’s intrinsic desire, self-esteem acts as a motivation for the action, so it becomes an essential value for sound development. Education in a important factor for development of one’s self-esteem. Especially, moral education has its goal in making one whole person. By the moral education, students can harmoniously develop their moral cognition, emotion, and active dimension. Furthermore, they can realize their potential abilities. However, the moral education of Korea tends to stress on cognition only and is considered as only part of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Korea’s moral education should change the line to the development for one whole being.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self-esteem. It redefines the notion and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social, and circumstantial context related to Korean youth’s molding of self-esteem. The researcher indicates that imbalanced moral education have deterred the development the youth’s self-esteem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Ethics of Care in moral education. The third chapter explores a new education theory of the Ethics of Care of Nel Noddings. The Care Education stresses on values like sympathy, fostering, and recep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to form a relationship among caring for each other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self-esteem by these processes. The fourth chapter is the study of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Care Education.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the conversation skills, qualities and attitudes of teacher for the application of the Care Education. The teacher should be able to sympathize with students, be sincere, and respect stud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qualities of the veteran for Care Education is Person-centered counseling psychology of Carl Rogers. Both Noddings and Rogers acknowledges the dignity of man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olving the core problem in improvement of relations. Through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the youth can evaluate oneself positively and thus well develop one’s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suggests "moral conversation community" and stresse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veteran teachers in this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2 C. 연구의 배경 = 4 Ⅱ. 도덕 교육과 자기존중감 = 6 A. 자기존중감의 개념 및 중요성 = 6 1. 자기존중감의 의미 = 6 2. 자기존중감의 중요성 = 8 B.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 C.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 17 1. 우리나라 교육과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 = 18 2.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도덕 교육 = 21 Ⅲ. 자기존중감과 배려 윤리 교육 = 24 A. 나딩스의 배려 윤리 = 25 1. 배려의 의미 = 25 2. 나딩스의 배려 윤리 = 28 3. 배려의 도덕 교육 방법 = 32 B.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배려 윤리 = 41 Ⅳ. 배려적 대화 공동체와 사람 중심 상담 이론 = 46 A. 배려 윤리 교육과 사람 중심 상담 이론 = 47 1. 사람 중심 상담 이론 = 49 2. 사람 중심 상담자의 태도 조건 = 52 3. 배려 윤리 교육과 사람 중심 상담 이론 = 54 B. 사람 중심 상담 이론을 통한 교육적 적용 = 56 1. 숙련된 교사와 대화 공동체 = 56 2. 교사 교육 과정 = 60 3. 사람 중심 상담 이론 적용 사례 = 62 Ⅴ. 결론 = 67 A. 요약 = 67 B. 제언 = 68 참고문헌 = 70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66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배려 윤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ral Education Methodology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 Focusing on Car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Na, Hye Rim-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