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천승애-
dc.creator천승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8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7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ASSURE 모형을 적용한 7학년 음악 수업의 대중가요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로 최근 10년간의 대중음악 중 특히 대중가요에서 교육적으로 교수-학습될 수 있는 곡을 선별하고 ASSURE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 상황을 반영하고 적절한 교수매체를 선정한 지도안을 개발하여 보다 효과적인 음악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대중음악의 개념, 종류, 발달과정, 청소년과 대중음악, 대중음악과 교육에 대한 문헌 연구를 하였고 지도안의 모형이 될 ASSURE모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수업을 실시할 지도안 개발을 위해 우선 교과서에 제시된 대중음악을 분석하고 실제 지도안에 사용될 곡들은 선별기준을 정하여 대중가요 50곡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50곡은 학습자 분석에 대한 내용과 함께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선호도가 높은 6곡을 지도안의 제재곡으로 활용하였다. ASSURE 모형에서 A에 해당되는 학습자 분석은 수업 적용 2주전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를 분석한 후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2차시 수업을 적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요소와 특징이 명확한 대중가요를 선별하여 수업에 활용 할 경우 음악교육적인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ASSURE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 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지도안에 반영함으로서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수-학습을 처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의 효과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곡으로 수업을 실시함에 따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에게 익숙한 곡으로 접근한 음악적 내용은 잘 습득되어 다른 곡과의 연계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ASSURE 모형을 적용하여 7학년 음악 수업에서 대중가요의 활용방안을 모색해본 연구로서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음악 개념을 학생들이 익숙한 대중가요와 적절한 교수매체를 선정하여 음악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통해 심미적 체험을 이루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음악교육에서 대중가요의 활용은 대중음악의 즐거움, 흥미만 강조하는 교육이 아닌 대중음악 속에 담겨있는 교육적인 가치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음악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이끌며 음악의 가치와 구성요소를 학습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제 대중음악은 청소년들과 공존해야할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교육적인 시각에서 대중음악을 비판적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음악 교육에 수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음악교육에서도 보다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대중음악들이 수용되어야 할 것이며, 대중음악 활용에 관한 훌륭한 음악교육의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is report is the study on the practical uses of popular songs applied to ASSURE model in 7th grade student music class in order to single out songs in pop music for 10 years lately and make music class more efficient for students by improving teaching plans, learner's status reflected and instruction media chosen, through ASSURE model. First, we began to study the document for a definition, type, and progression of pop music, a correlation between teenagers and pop music, pop music and instruction, and ASSURE model which can be a model of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develop teaching method, first of all, had analyzed pop music in text books and selected 50 songs with good lyrics and the contents adapted by the 7th curriculum. After a survey, only 6 songs out 50 songs were used in the class in order of student preferences. In ASSURE model, Analyze learner standing for “A” was made out in 2 weeks advance of the class, and teaching plans were completed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Hereunder you can find out the results out of the class at second time. First, if you make a practical use of popular songs having musical elements and unique features in the class, there is propriety for musical education. Seco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carrying out analysis of learners through ASSURE model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teaching plans for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Third, a high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can be leaded by songs that they are well known. Lately, musical knowledge basically learned by songs familiar with students can be correlated with other songs easi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with understanding music which they feel difficult to approach scientifically and let them have aesthetic experience from various activities through practical use of popular songs applied to ASSURE model in the 7^(th) student music class. In musical education, pop music should do its part not only pursuing fun and enjoyment but also helping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usic class and understand music what it is. Now it is plain to see pop music becomes more and more inseparable from juveniles. In a view of educational perception, we should make our efforts not only criticize pop music as a entertain fraction but accept it as a teaching method in musical education. In addition, researches on pop music in different time and various cultures are needed. Thus, in our musical education as well, we expect more outstanding researches on using pop music in musical class with diversity to be completed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및 대상 = 3 C.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대중음악의 이해 = 4 1. 대중음악의 개념과 종류 = 4 1) 대중음악의 개념 = 4 2) 대중음악의 종류 = 5 2. 우리나라 대중음악 발달과정 = 10 3. 청소년과 대중음악 = 12 1) 청소년기의 일반적 특징 = 12 2) 청소년과 대중음악 = 14 4. 대중음악과 교육 = 15 1) 음악교육과 대중음악 = 15 2) 대중음악교육에 대한 긍정론과 비판론 = 17 3) 대중가요 선별 기준 = 18 B. ASSURE 모형 = 22 Ⅲ. ASSURE 모형을 적용한 음악수업의 대중가요 활용방안 = 27 A. 교과서 대중음악 곡 분석 = 27 B. 대중가요 선별 = 29 C. ASSURE모형에 의한 수업 설계 = 32 D. 지도안 = 36 Ⅳ. 연구적용 = 52 A. 연구대상 = 52 B. 연구 방법 = 52 C. 수업 적용 및 평가 = 52 Ⅴ. 결론 및 제언 = 60 A. 결론 = 60 B. 제언 = 61 참고문헌 = 62 부록 = 66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801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ASSURE모형을 적용한 7학년 음악수업의 대중가요 활용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practical uses of popular songs through ASSURE model in the 7th grade student music class-
dc.creator.othernameCheon, Seung Ae-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